티스토리 뷰
- 2017년 시멘트 국내생산 100톤에서 200톤까지 확대 예상 –
- 아스팔트 원료 100% 수입에 의존 -
□ 개요
ㅇ 지속적인 건설업 성장에 따른 시멘트 및 아스팔트 수요 증가
- 파라과이 건설분야는 최근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앙은행(BCP)은 2016년 말까지 8%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민간기업의 건축 및 신규 쇼핑센터 건설이 지속되고 있으며, 파라과이 정부도 도로, 하수처리, 주택건설 등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 강화에 노력하고 있음. 이에 따라 시멘트 및 아스팔트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현재 파라과이 시멘트 시장의 수요는 일일 약 12만 봉지로 계산됨. 건설업의 성장으로 차후 시멘트 수요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됨.
ㅇ 시멘트 시장 생산∙수입 관련 규제기관
- 파라과이 기술∙표준화∙도량형 검사소(INTN, Instituto Nacional de Tecnología, Normalización y Metrología)는 시멘트 생산 및 수입 관련 품질기준 평가, 수입상표 검사, 수입허가증 발급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ㅇ 시멘트 밀수 증가세
- 주변국인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경제위기로, 파라과이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두 국가의 물가가 낮은 상황이므로 파라과이로의 시멘트 밀수 및 불법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 현재 주변국에서의 밀수 시멘트가 시장점유율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 2016년 파라과이 정부는 국영 시멘트 기업(INC)의 생산시스템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생산량를 증가시키면서 소비자가격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음.
□ 생산동향
ㅇ 시멘트 생산동향
- 현재 파라과이의 시멘트 생산업체는 국영 시멘트기업(INC)과 이과수 시멘트(Yguazu Cementos) 기업 2개사가 있으며, 일일 7만5000~9만5000개의 시멘트 봉지(봉지당 50㎏)를 생산하고 있음.
- 국내 수요를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파라과이 시멘트 업체들은 수출은 하지 않고 있음.
- INC는 생산가능용량은 민간기업보다 높지만, 다양한 인프라 장애요인으로 인해 생산량이 떨어져 민간기업인 Yguazu Cementos보다 낮은 생산 점유율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음.
- 2016년 8월, 파라과이 산업통상부는 2017년 상반기에 이탈리아 시멘트 업체인 Colacem사가 Vallemi 지역에 공장을 세워 파라과이에 진출할 거라고 발표했음.
· 진출 자본금은 2억2000만 달러이며, 연간 예상 생산량은 100만 톤으로 기존 두 생산업체들보다 높다고 밝힘.
- 향후 파라과이 시멘트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수입되는 시멘트 양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ㅇ 파라과이 시멘트 생산업체
① 국영 시멘트기업 - INDUSTRIA NACIONAL DEL CEMENTO(INC)
자료원: INC 홈페이지
- INC는 파라과이의 국영 시멘트 기업이며, 1969년부터 운영되고 있음.
· 현재 최대 생산용량은 1년 기준 60만 톤, 일일 5만5000봉지이나, 낡은 기계와 생산 기계용 연료유 부족 등 열악한 인프라 문제로 생산량이 일일 2000~1만 봉지로 많이 감소되거나 아예 생산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음.
· 그러나 2016년 1~7월 기준 744만 봉지(일일 평균 약 5만3000봉지)가 생산됐으며, 전년동기대비 24% 증가세를 보임.
· 2016년 1월부터 7월까지 64억 과라니(약 116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함.
- 현재 INC가 생산하는 시멘트 종류는 3가지가 있으며, 복합 포틀랜드 시멘트(PC II C-32),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PC IV-32), 석회석 미분말을 함유한 포틀랜드 시멘트(PC II F-32)임.
· 대규모 인프라 건설에 종사는 건설업체들이 선호하는 시멘트 CP-40의 경우 INC에서 생산하지 않아 수입해서 판매하고 있음.
- 2016년 9월, INC는 시멘트 생산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1500만 달러 투자로 공장에 새로운 기계 및 기술을 도입했음.
· 30년 이상 공장 인프라를 확장시키지 못했던 INC는 올해부터 생산용량을 높일 예정이며, 2017년 일일 90만 봉지를 제조할 계획임.
· 또한, 더욱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가격도 하향 조정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음.
② 이과수 시멘트 – YGUAZU CEMENTOS
자료원: Yguazu Cementos 홈페이지
- 브라질-파라과이 합작 자본으로 2000년에 설립됐으며, 시멘트 생산과 수입을 주요 업무로 운영하고 있음.
· 공장은 Villa Hayes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최대 생산용량은 연간 40만 톤, 일일 3만5000봉지임.
· 현재 Yguazu Cementos사가 생산하는 시멘트 종류는 시멘트 PC II C-40와 시멘트 PC II C-32임.
ㅇ 아스팔트 생산 동향
- 파라과이는 석유 산업이 전무해 석유 코크스 등 아스팔트 제조에 필요한 석유 유도체를 100% 수입하고 있음.
- 파라과이에서는 아스팔트가 주로 도로 포장에 활용되나, 최근 정부는 아스팔트 대신 국내산 시멘트를 활용하도록 법안을 마련하는 중임.
- 현재 아스팔트 원료를 수입해서 다양한 아스팔트 블렌드를 준비하는 주요 업체는 Petrobras Paraguay, Eco Asfaltos S.A., Compasa S.A. 등임.
□ 수입동향
ㅇ 시멘트 수입동향
- 파라과이의 시멘트(HS Code 2523) 수입시장 규모는 2016년 1~8월 기준 2016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3% 감소함.
· 파라과이는 시멘트 생산용 원료가 풍부히 존재하나, 수요에 비해 현지 생산이 부족하므로 수입도 많이 함.
- 주변국인 브라질과 우루과이가 주요 시멘트 수입국가로 나타나며, 2015년부터 그리스가 3위를 차지해 옴.
- 주요 시멘트 수입업체는 파라과이 국영 시멘트 기업(INC)이 1위를 차지함. Yguazu Cementos는 2015년에 27.7%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으나, 2016년 1~8월 기준 6위로 내려감.
파라과이 주요 시멘트 수입 규모(HS Code 2523)
(단위: 천 달러, %)
HS Code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1~8월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2523 | 56,093 | -3.08 | 54,655 | -5.56 | 36,214 | -33.7 | 20,165 | -14.3 |
자료원: Penta Transaction
파라과이 주요 시멘트 수입 국가(HS Code 2523)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2014년 | 2015년 | 2016년 (1~8월)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1 | 브라질 | 3,436 | 118.2 | 9,370 | 172.6 | 10,776 | 158.0 |
2 | 우루과이 | 1,392 | - | 7,098 | 409.7 | 4,780 | 18.0 |
3 | 그리스 | 0 | - | 3,213 | - | 3,657 | - |
4 | 칠레 | 1,687 | 7.7 | 789 | -53.3 | 717 | 52.2 |
5 | 멕시코 | 130 | 10.8 | 157 | 20.3 | 70 | -32.0 |
6 | 독일 | 0 | - | 0.80 | - | 69 | - |
7 | 포르투갈 | 23,272 | -30.9 | 13,403 | -42.4 | 52 | -99.6 |
8 | 콜롬비아 | 0 | - | 0 | - | 23 | - |
9 | 중국 | 0 | - | 8 | - | 12 | 300.0 |
10 | 아르헨티나 | 12,268 | -32.1 | 2,150 | -82.5 | 2 | -99.9 |
| 합계 | 54,655 | -5.56 | 36,214 | -33.7 | 20,165 | -14.3 |
자료원: Penta Transaction(순위 2016년 1월~8월 기준)
파라과이 주요 시멘트 수입업체(HS Code 2523)
(단위: 천 달러, %)
순위 | 업체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5년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점유율 | ||
1 | INDUSTRIA NACIONAL DEL CEMENTO(INC) | 0 | -100.0 | 7,006 | - | 5,963 | 77.2 | 19.4 |
2 | INTERMIX SOCIEDAD ANONIMA | 5,504 | 4.74 | 7,643 | 38.9 | 3,822 | -15.6 | 21.1 |
3 | BORDON RODAS HAYDEE MARIA | 1,061 | - | 4,961 | 367.2 | 3,597 | 32.7 | 13.7 |
4 | COMPUGRAF INFORMATICA SRL | 712 | 1,643.8 | 1,278 | 79.4 | 1,394 | 133.9 | 3.5 |
5 | FAMILY GLOBAL S.A. | 0 | - | 247 | - | 1,024 | - | 0.7 |
6 | YGUAZU CEMENTOS SA | 36,783 | -2.3 | 10,037 | -72.2 | 882 | -90.9 | 27.7 |
7 | LOS TRIGALES SA | 1,687 | 7.7 | 789 | -53.3 | 717 | 52.3 | 2.2 |
8 | ITAPOPO MATERIALES DE CONSTRUCCION S.A. | 0 | - | 10 | - | 662 | - | 0.0 |
9 | MSB GROUP S.A. | 152 | - | 669 | 338.3 | 588 | 305.5 | 1.8 |
10 | PANDOLFO S.A. | 0 | - | 335 | - | 571 | - | 0.9 |
| 합계 | 54,655 | -5.56 | 36,214 | -33.7 | 20,165 | -14.3 | |
자료원: Penta Transaction(순위 2016년 1~8월 기준)
ㅇ 아스팔트 수입동향
- 시멘트와는 달리 파라과이에 아스팔트 원료가 없기 때문에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아스팔트 주요 원료인 석유코크스(HS Code 2713) 수입시장 규모는 2016년 1~8월 기준 2154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년동기대비 0.7% 감소세를 보임.
- 주요 수입국은 브라질이며, 2016년 1~8월 기준 91%의 점유율을 기록함. 아르헨티나와 베네수엘라가 뒤따르고 있으나 브라질에 비해 수입액이 훨씬 낮음.
- 2016년의 8월 기준 수입업체 1위를 ALDIA사가 차지했으며, 2위와 3위는 BETUPAR사, PRODUPAR사가 차지
파라과이 석유코크스(아스팔트 원료) 수입규모(HS Code 2713)
(단위: 천 달러, %)
HS Code | 2013년 | 2014년 | 2015 년 | 2016년(1~8월)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2713 | 16,991 | 18.3 | 13,284 | -21.8 | 34,947 | 163.0 | 21,545 | -0.7 |
자료원: Penta Transaction
파라과이 주요 석유코크스 수입 국가(HS Code 2713)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2014 | 2015 | 2016 (1~8월)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1 | 브라질 | 11,112 | -34.6 | 28,232 | 154.0 | 18,929 | 4.5 |
2 | 아르헨티나 | 1,016 | - | 52 | -94.8 | 2,462 | 4,634.6 |
3 | 베네수엘라 | 0 | - | 3,431 | - | 151 | -78.5 |
4 | 미국 | 14 | - | 0 | -100.0 | 2 | - |
5 | 남아 공화국 | 1,073 | - | 3,156 | 194.1 | 0.08 | -99.9 |
6 | 에콰도르 | 0 | - | 75 | - | 0 | - |
7 | 포르투갈 | 0 | - | 0.08 | - | 0 | - |
합계 | 13,284 | -21.8 | 34,947 | 163.0 | 21,545 | -0.7 |
자료원: Penta Transaction(순위 2016년 1~8월 기준)
파라과이 주요 석유코크스 수입업체(HS Code 2713)
(단위: 천 달러, %)
순위 | 업체명 | 2014 | 2015 | 2016(1~8월) | 2015 점유율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1 | ALDIA | 3,379 | -34.3 | 6,320 | 87.1 | 8,273 | 30.9 | 18.1 |
2 | BETUPAR | 2,318 | -6.2 | 6,571 | 183.4 | 5,027 | -23.5 | 18.8 |
3 | PRODUPAR | 1,724 | -58.5 | 4,515 | 161.9 | 2,515 | -44.3 | 12.9 |
4 | PETROBRAS | 527 | -57.7 | 3,586 | 579.7 | 1,101 | -69.3 | 10.3 |
5 | ORISIS GROUP | 1,548 | - | 2,890 | 86.6 | 937 | -67.6 | 8.3 |
합계 | 13,284 | -21.8 | 34,947 | 163.0 | 21,545 | -0.7 | 100 |
자료원: Penta Transaction(순위는 2016년 1~8월 기준)
□ 제품 트렌드
ㅇ 시멘트 제품 트렌드
제품명 및 사진 | 제품 정보 |
PC II C-40 시멘트
| 제품: 정 50㎏의 봉지 생산업체: Yguazu Cementos 클링커에 소량의 황산염 칼슘과 전체 비율의 35% 농도가 되도록 하는 두 가지 이상의 추가 물질이 혼합된 수경성의 응집되는 물질. 이 물질들은 미분쇄한 비자연원료들이며, 응결(凝結)되면 경화 되면서 물에 저항력을 가짐. |
PC II C-32 시멘트
| 제품: 정 50㎏ 봉지 생산업체: Yguazu Cementos / INC 신속하게 건조되며, 응용범위가 넓어 일반적인 사용 분야로는 토목 공사와 관련된 모든 작업에 추천됨. |
PC IV-32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 제품: 정 50㎏ 봉지 생산업체: INC 석고비율이 높은 클링커와 점토질 원료, 포졸란을 혼합해 미분쇄한 제품. 이 시멘트로 제조된 콘크리트는 작업성이 뛰어나며 응집력이 강해 시멘트가 구조물과 분리되는 경향이 낮음. |
석회석 미분말을 함유한 포틀랜드 시멘트(PC II F-32)
| 제품: 정 50㎏의 봉지 생산업체: INC 포틀랜드 클링커에 석고를 20% 혼합하여 미분쇄한 제품. 중요한 요건에 포함되는 물리적 저항력과 부피부동력이 향상됨.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효율, 작업성, 표면적 완성도 등이 우수함. |
자료원: 각 생산업체의 홈페이지
ㅇ 아스팔트 제품 트렌드
- 아스팔트 제조업체들은 용도에 따라 스트레이트(Straight) 아스팔트, 컷백(Cutback) 아스팔트, 그리고 유화(Emulsified) 아스팔트를 제공함.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ㅇ 조세율: 관세율, 부가세율, 소비세율 등
HS Code | 품목 | 관세 | 특소세 | 부가세 | 소비세 |
2523 | 4% | 0% | 10% | 0% | |
2713 | 0%~2% | 0% | 10% | 0% |
자료원: Mercosur External Common Tariff 자료
□ 시사점
ㅇ 시멘트 국내 생산 증가에 따른 수입 감소세
- 최근 몇 년간 파라과이 건설업이 성장해 시멘트 수요가 계속 증가해왔으며, 당분간 이 추세가 지속될 전망임. 이에 따라 기존 공장 인프라 개선 및 해외업체 투자진출을 통해 현지 공급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현지 생산량이 더욱 커질수록 수입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임.
· 특히 2017년에 진출할 Colacem 시멘트 제조업체의 생산용량이 연간 100만 톤으로, 총 파라과이 시멘트 공급량은 현재 100만 톤에서 200만 톤으로 증가할 예정임
- 그러나, 2016년 현재 파라과이 국내 시멘트 업체의 낙후된 시설 및 미약한 공급능력 개선이 시급한 상황임. 국내 수요, 특히 일부 종류의 시멘트(예: PCII C-40)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또한, 콘크리트 생산용 시멘트에 있어서는 국내산 시멘트가 아직까지 품질 수준을 달성하지 못해, 주로 포르투갈이나 우루과이 수입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임.
ㅇ 콘크리트 산업 확대에 따라 시멘트 수요 증가, 아스팔트 수요 감소
- 시멘트의 2차 생산품인 콘크리트의 수요가 지속 증가할 예정임. 파라과이 정부는 도로 건설 및 정비를 국내산 콘크리트로 수행해야 한다는 법안을 마련하는 중이며, 이는 콘크리트 산업을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또한, 콘크리트 생산용 장비 등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예정으로 예상됨.
ㅇ 파라과이 시장 진출전략
- 건설업 성장에 힘입어 시멘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원재료나 이 제품 제조에 활용되는 기계 수출에 대한 시장성 검토도 필요함.
- 파라과이는 아직 품질보다 가격에 민감한 시장이므로 가격경쟁력이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고 있음. 따라서 시장 진입 이전에 가격경쟁력 확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유력 현지업체와의 제휴를 통한 파라과이 시멘트 및 콘트리트 산업에 대한 투자 가능성도 검토할 만함.
자료원: 파라과이 관세청, Penta Transaction, 5Dias 일간지 및 KOTRA 아순시온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전북 중동 무역사절단 바이어 인터뷰(1) (0) | 2016.09.30 |
---|---|
일본, 아이돌 콘서트에 티켓 없이 얼굴로 입장 (0) | 2016.09.30 |
스페인 신정부 출범 지연, 우리 기업에도 악영향 (0) | 2016.09.30 |
스위스니스 법안, 對스위스 수출에 위협이자 기회 (0) | 2016.09.29 |
경기침체에도 떠오르는 아제르바이잔 화장품시장 (0) | 2016.09.29 |
- 인도
- 멕시코
- 화장품
- 미얀마
- 스페인
- 독일
- 일본
- 러시아
- 칠레
- 브렉시트
- 필리핀
- 리우
- 올림픽
- 호주
- 미국
- 이란
- 터키
- 중국
- 삼성
- 코로나
- 이스라엘
- 에콰도르
- 남아공
- 프랑스
- 영국
- 홍콩
- 싱가포르
- 전시회
- 네델란드
- 브라질
- 베트남
- 삼성전자
- 캐나다
- 콜롬비아
- 이집트
- 태국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리우올림픽
- 자동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