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섬유기계 및 건설중장비 관세 3%로 하향 – - 제조업 부양 및 세수 증대를 위한 조치 – □ 관세변동 개요 ㅇ 개요 및 배경 - 파키스탄 정부는 기계, 설비를 중심으로 약 2000개 제품에 대한 수입관세 인하 관련 내용을 10월 중 발표함. 제품 대부분의 관세율이 인하(5% → 3%)된 것으로 나타남. 이는 2016/17 회계연도(2016년 7월~2017년 6월) 관세율표에 반영돼 이미 적용되고 있음. -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번 대규모 관세 인하의 취지는 제조업 활성화 및 투자유치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으로 풀이됨. 이는 이 조치의 적용대상 품목이 대부분 파키스탄의 주요 산업에 사용되는 기계류라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음. 또한, 높은 관세율로 인해 파키스탄으로의 투자진출을 꺼렸던 일부 외국기업의 ..
- 수입규모 감소에도 한국 제품은 선전 중 – - 현지 인기품목에 집중해 본격적인 마케팅활동 필요 – □ 바이어 기본 정보 - Unisons International은 산업용 톱(cutting saw), 절단기계(cutting machinery), 연삭기(grinder) 등을 수입, 유통하는 업체로 2000년부터 영업 중 - 파키스탄 최대 도시인 카라치 빈 카심항(Bin Qasim) 인근에 소재하며 연매출은 약 450만 달러(2015년) 수준임. 현재 한국, 중국, 미국, 독일 등 주요국에서 톱 제품을 수입하고 있음. 2015년 기준 전체 수입규모는 250만 달러에 달하며, 그 중 톱 수입규모는 약 15만 달러로 집계됨. - 이에 KOTRA 카라치 무역관은 Unisons International 사무실을..
- 최근 2년간 시장규모 두 배 이상 증가 – - 현지 특성을 고려한 세심한 마케팅 전략 필요 – □ 시장 현황 ㅇ 시장 수요 -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파키스탄 담요 시장은 연간 5000만 달러 규모로 추정됨. 이는 공식통계로 집계되지 않는 밀수, 언더밸류(under value) 관행을 감안한 수치임. 현지 생산도 일부 이뤄지고 있으나, 소비자들은 수입산 담요를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색채, 디자인, 품질 등 종합적인 면에서 수입산이 우수하다는 인식이 일반적이기 때문임. - 파키스탄에서 담요는 가정용으로 구입할 뿐만 아니라 선물용 혹은 결혼 시 혼수품으로도 구매하는 풍습이 존재함. 겨울이 긴 파키스탄 북부지역에서는 특히 생필품으로 취급하는 제품이며 지진, 홍수 등으로 발생한 이재민에게 구호..
한국산 PVC 가소제, 파키스탄 시장 휩쓸다 - 현지 수입시장 점유율 40%에 육박 - - 대형 수요업체 대상 직수출 시 실적 개선 기대 – □ 시장 현황 ○ 시장 수요 - PVC 가소제(plasticizer)는 흔히 PVC(Polyvinyl chloride)로 불리는 폴리염화비닐을 가공 시 유연성, 탄력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화학물질임. 파이프, 필름, 시트, 창틀 등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 이용하는 상당수의 플라스틱 제품이 가소제를 첨가한 PVC 소재로 만들어지고 있음. - 원재료 및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파키스탄에서는 PVC 가소제가 생산되지 않고 있음. 이에 따라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2014/15 회계연도 기준 연간 시장규모는 약 1240만 달러로 공식 집계됨. - 파키스탄에서..
파키스탄 주사기 시장, 진입을 위한 열쇠는?- 최근 3년간 현지 수입시장 꾸준한 증가세 기록 –- 이원화된 시장 특성 감안한 시장진출 필요 – □ 시장 현황 ○ 시장 수요 - 파키스탄의 의료체계는 정부가 운영하는 국립병원과 일반 민간병원으로 이원화돼 있으며, 2억에 가까운 인구를 수용하고 있어 의료용 소모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임. 주요 수요처는 병원, 진료소, 기타 의료기관이며, 대체로 국립병원의 경우 농촌지역의 서민층을 대상으로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대도시에 소재한 일부 민간병원은 고가의 의료시술도 시행하고 있음. - 의료서비스 수요 증가와 관련기술 발달에 따라 주사기를 비롯한 의료용 소모품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주사기 시장 규모(연간)는 약 ..
한국산 벽지, 파키스탄에서 중국산과 각축- 한·중 양국이 벽지 수입시장의 86% 점유 –- 현지 시장 전망 밝아, 향후에도 수출 증가 기대 – □ 시장 현황 ○ 시장 수요 - 파키스탄에서는 약 20년 전부터 벽지가 본격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했음. 이처럼 벽지 보급이 늦어진 이유는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벽을 페인트로 칠하는 방식이 현지에서 널리 통용됐기 때문임. 하지만 2007년부터 벽지시장 규모가 연평균 8% 성장하면서 오늘날에는 가정, 사무실 등 상당수의 건물에서 벽지를 사용하고 있음. -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2016년 현재 파키스탄 벽지 시장규모는 약 750만~800만 달러로 추산됨. 아울러 파키스탄 국내 생산이 전무해 벽지 수요는 전량 해외수입으로 충당하고 있음. 현지 전문가에 따르면, 파키스탄 벽..
- 중국
- 브라질
- 칠레
- 브렉시트
- 싱가포르
- 독일
- 미얀마
- 자동차
- 스페인
- 전시회
- 홍콩
- 네델란드
- 리우
- 남아공
- 미국
- 올림픽
- 이집트
- 콜롬비아
- 코로나
- 멕시코
- 삼성전자
- 베트남
- 캐나다
- 삼성
- 화장품
- 이스라엘
- 인도네시아
- 프랑스
- 태국
- 인도
- 러시아
- 이란
- 일본
- 터키
- 필리핀
- 호주
- 에콰도르
- 영국
- 리우올림픽
- 말레이시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