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카자흐스탄 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0-03-27 이평화 카자흐스탄 알마티무역관 - WHO 팬데믹 선언 및 카자흐스탄 내 확진자 발생에 따른 국가 비상사태 선포 - - ’20년 카자흐스탄 경제성장률 전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 - □ 카자흐스탄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현황 ㅇ 3.20.(금) 09:00 기준 확진자 49명 - 카자흐스탄에는 현재 총 49명이 확진판정을 받았으며 수도 누르술탄에서 25명, 알마티 22명, 북부도시 카라간다에서 2명 발생 -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등 외국에서 귀국한 국민들로부터 확진자 발생 시작 □ 카자흐스탄 정부 대응 조치(일자별) ㅇ 카자흐스탄-중국 육로 및 항공편 중단 -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카자흐스탄은 중국과의 육로 및 항공 운행편을 순차적으로 중단 ..
- 카자흐스탄 내 의료기기, 의약품 판매·수출 위해서는 등록 및 인증절차 필수 - - 러시아어 가능 인력이 없을 경우 에이전트 이용 추천 - □ 의료장비, 의료기기, 의약품 등록·인증 ㅇ '등록'이란?: 카자흐스탄 내 제품을 판매(수출)하기 위해 보건사회개발부 산하 NCE(National Center for Expertise of medicines, medical devices and medical equipment, 이하 국립센터)에 이 제품이 현지 의료 관련 규정에 충족하는지 검토해 등록하는 필수 절차 ㅇ '인증'이란?: 국립센터에서 의약품 성분 분석 및 관련 법규/규정 준수 여부 검토 후, 카자흐스탄 내 약국 판매를 허가하는 절차 - 인증은 등록 절차 완료 후에만 진행 가능 ㅇ 발급 서류(등록 증명..
- 전체 교역량 감소에도 중국, 카자흐스탄과 전략적 협력관계 강화 돋보여 - □ 우즈베키스탄 교역동향 ㅇ (교역) 우즈베키스탄의 수입교역액은 2010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2014년부터 러시아발 경제위기로 인한 내수시장 부진, 외환사정 악화, 수입대체 및 자국 생산장려정책 등의 이유로 감소세로 전환됐음. 우즈베키스탄의 연도별 교역액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수출 15,027 15.2 14,258 -5.1 15,087 5.8 14,108 -6.5 12,870 -8.8 수입 10,509 19.5 12,027 14.4 13,798 14.7 13,959 1.1 12,415 -11..
- 올림픽
- 콜롬비아
- 멕시코
- 스페인
- 홍콩
- 화장품
- 리우
- 필리핀
- 브라질
- 러시아
- 네델란드
- 호주
- 미국
- 리우올림픽
- 프랑스
- 독일
- 터키
- 인도
- 에콰도르
- 이스라엘
- 삼성
- 브렉시트
- 코로나
- 미얀마
- 영국
- 베트남
- 자동차
- 전시회
- 일본
- 남아공
- 이란
- 칠레
- 캐나다
- 삼성전자
- 싱가포르
- 태국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중국
- 이집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