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가하락에 따른 재정적자 해소를 위한 세수확보 차원 - - 부가세 인상, 에너지세 신설로 소비심리 더욱 위축 우려 - □ 기존 세금 인상 및 에너지세 도입 배경 ㅇ 전체 수출의 98%를 원유 및 천연가스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알제리는 201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저유가 기조 지속으로 외환보유고 급감 및 재정적자 누적이 가속화되고 있음. ㅇ 이에 따라 2017년 알제리 재정법은 재정수입 증대와 재정적자 감축에 초점을 맞춤. - 2017년도 예산은 전년에 비해 약 9% 감축해 지자체 35%, 중앙정부 35%, 국가연대기금에 30%로 배분됨. - 2017년도 정부 총세수는 2.7조 디나르(약 250억 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2016년 대비 3.5% 증가한 수준임. ㅇ 특히 에너지와 관련된 ..
- 알제리 여성들의 화장품 선택 기준은 품질, 상표, 제조국가 순 - - 프랑스 화장품을 가장 많이 선호하며 주로 화장품 소매점에서 구입 - ㅇ 화장품 설문조사 - 실시 기관: KOTRA 알제무역관 - 대상: 한국화장품 홍보관 방문 알제리 여성 375명 - 방식: 문항별 다수항목 중 한가지만 선택 - 기간: 2016년 10월 5~8일 - 장소: 알제리 문화궁전 ㅇ 설문분석 -> 이번 조사에 응한 여성들의 연령대는 20대가 가장 많았고 10대, 50대, 40대, 30대 순이었다. 연령에 관계없이 한국화장품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표명했으며 홍보관에서 무료 배포한 샘플을 받고 매우 좋아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 많은 호기심을 보여주었다. -> 이번 설문조사에 응한 알제리 여성들의 절반 가..
갈수록 심해지는 알제리 비관세장벽 및 외환통제 - 수입품 할부구입 불허, T/T거래 금지, 수입쿼터 실시 등 - - 모든 수입 시 알제중앙은행 통제, 외환 송금 및 휴대 반출도 엄격 - □ 비관세장벽 및 외환통제 강화 배경 ○ 전체 수출의 98%를 원유 및 천연가스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알제리는 최근 저유가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재정수지 및 무역수지 악화와 외환보유고 급감으로 비관세장벽 및 외환통제를 강화하고 있음. ○ 알제리는 WTO 미가입국인 관계로 WTO 협정을 준수할 의무가 없음. 알제리 주요 거시경제지표 구분 2013년(실제) 2014년 (실제) 2015년 (추정) 2016년 (전망) 명목 GDP(십억 달러) 209.7 213.5 166.8 156.2 - 실질성장률(%) 2.8 3.8 3.9 ..
2016년 알제리 신차시장 초토화 직면- 2016년 쿼터, 작년 판매량 대비 현대차 90%, 기아차 55% 격감 -- 신차시장 규모 65% 급감 전망 - □ 알제리 신차시장 현재 상황 ○ 알제리 정부의 새로운 자동차 수입쿼터제 도입으로 2016년 알제리 국내 신차시장이 초토화 직전에 있음. - 최근 저유가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전체 수출의 98%를 원유 및 천연가스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알제리는 외환 감소 및 재정 악화로 대대적인 수입규제와 함께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한 제조업 육성을 최우선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완성차 수입은 최대한 억제하고, 현지 조립생산차량에 대해서는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있음(세금 감면, 할부 구입 허용 등). ○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BSCB는 2016년 알제리 신차 판매대수(수..
- 싱가포르
- 전시회
- 러시아
- 칠레
- 태국
- 리우올림픽
- 중국
- 스페인
- 일본
- 독일
- 삼성전자
- 이집트
- 영국
- 리우
- 브렉시트
- 필리핀
- 말레이시아
- 브라질
- 베트남
- 멕시코
- 네델란드
- 이란
- 삼성
- 미얀마
- 홍콩
- 올림픽
- 콜롬비아
- 이스라엘
- 화장품
- 자동차
- 인도네시아
- 호주
- 남아공
- 에콰도르
- 코로나
- 인도
- 캐나다
- 프랑스
- 미국
- 터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