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현재까지는 원자재, 중간재, 금형 위주로 수출 –
- 플라스틱 완제품, 기계류로도 수출 확대 필요 -
□ 아르헨티나 전체 플라스틱 수요가 연 148만 톤 규모
ㅇ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아르헨티나의 플라스틱 생산량은 137만 톤 수준이었으며 수입 74만 톤, 수출 62만 6000톤을 기록함. 아르헨티나 시장 내 총 수요는 148만 3000톤 규모임.
ㅇ 아르헨티나 내 약 2650여 개의 기업과 5만 명 이상의 근로자가 플라스틱산업에 종사하며, 그중 80% 이상의 기업이 부에노스아이레스시와 근교에 위치함.(아르헨티나 주요 산업지역인 Córdoba, Santa Fe에도 플라스틱 관련 기업이 다수 존재함.)
ㅇ 아르헨티나가 생산하는 플라스틱 제품은 주로 식품, 건설, 전자전기, 자동차 산업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LDPE(23%), HDPE(16%), PVC(8%), PP(19%), PET(14%), PS(5%) 등 원자재 수요가 가장 큼.
그래프1: 아르헨티나 생산 플라스틱 제품의 용도
(단위: USD 백만)
자료: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
ㅇ 2018년 기준 아르헨티나 국민 1인당 플라스틱 사용량은 40.1kg으로 200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증가했음. 그러나 아직까지 폐플라스틱 규제나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사용 독려와 같은 아르헨티나 정부의 조치는 많지 않음.
ㅇ 부에노스아이레스시 정부는 일회용 비닐봉지, 빨대 사용을 규제하고 있으나 이것은 아직까지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황임.
□ 원자재·반제품·금형 수출은 활발하고 완제품·기계 수출은 부진
ㅇ 아르헨티나의 2018년 플라스틱 원자재 수입량은 74만 톤임. 금액으로는 12억9900만 달러 규모이며, 2017년 대비 약 2.3% 가량 줄었음.(표1 참조) 2010년 사상 최대 수입량인 90만 톤을 기록한 이후 연간 수입량은 70만 톤에서 80만 톤 사이를 유지하고 있음.
ㅇ 대아르헨티나 주요 플라스틱 원자재 수출국은 브라질(38%)·미국(24%)이며, 중국·독일·콜롬비아·한국·스페인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는바 2018년 기준 한국의 수출액은 약 5100만 달러로 전체 수출국가 중 5위를 기록했음. (표1 참조)
ㅇ 아르헨티나도 자국 내 생산 플라스틱 원자재를 수출하는바 수출 대상국은 대부분 중남미 인근 국가인 브라질, 칠레, 볼리비아,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임.
표1: 아르헨티나의 원산지별 플라스틱 원자재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순위 | 원산지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1 | 브라질 | 495,203 | 438,066 | 506,896 | 430,230 |
2 | 미국 | 430,620 | 341,033 | 313,525 | 352,370 |
3 | 중국 | 79,850 | 62,762 | 54,206 | 66,373 |
4 | 독일 | 62,779 | 52,734 | 53,916 | 61,237 |
5 | 한국 | 78,194 | 46,743 | 46,640 | 51,053 |
6 | 콜롬비아 | 35,259 | 32,568 | 53,851 | 38,095 |
7 | 스페인 | 35,551 | 40,396 | 31,328 | 21,094 |
8 | 우루과이 | 26,94 | 19,538 | 24,308 | 22,037 |
9 | 대만 | 44,017 | 27,558 | 24,011 | 19,286 |
10 | 멕시코 | 37,414 | 19,118 | 22,861 | 27,122 |
11 | 기타 | 314,759 | 182,676 | 198,112 | 209,973 |
합계 | 1,613,646 | 1,263,192 | 1,329,654 | 1,298,870 |
ㅇ 아르헨티나 내 플라스틱 원자재 생산량은 수입량의 2배에 달하며, 2019년 12월 집권한 알베르토 페르난데스(Alberto Fernández) 정부는 국내생산을 장려한다는 취지로 원자재에 대한 수입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아보임.
ㅇ 뿐만 아니라 브라질, 미국 다국적 기업의 경우 아르헨티나 내 법인 및 생산공장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아 아르헨티나 내 생산 및 일자리 창출 등 명목 하에 수입규제를 피하는 등 유리한 위치에 있으므로 투자가 아닌 수출만 하는 한국의 점유율 확대는 매우 어려움.
표2: 플라스틱 종류별 원자재 수입현황
(단위: 톤)
순위 | 플라스틱 타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1 | PVC | 49,212 | 64,189 | 58,244 | 52,490 | 468,554 |
2 | LDPE | 170,545 | 188,057 | 250,659 | 218,501 | 185,004 |
3 | 기타 | 154,057 | 198,905 | 168,605 | 189,264 | 132,866 |
4 | PP | 52,077 | 42,808 | 53,714 | 74,919 | 98,321 |
5 | HDPE | 111,253 | 116,778 | 105,518 | 104,523 | 98,095 |
6 | PET | 67,692 | 104,379 | 58,235 | 52,646 | 45,189 |
7 | 폴리에테르 | 25,025 | 30,908 | 23,204 | 30,520 | 26,448 |
8 | 폴리아미드 | 10,046 | 18,570 | 21,917 | 20,024 | 21,702 |
9 | 멜라민 수지 | 13,018 | 15,851 | 13,067 | 16,119 | 16,339 |
10 | 폴리에스터 수지 | 9,677 | 9,872 | 9,011 | 11,722 | 12,179 |
11 | EVA 코폴리머 | 15,682 | 16,111 | 13,679 | 12,293 | 11,056 |
12 | PS | 1,458 | 4,499 | 1,451 | 1,480 | 10,252 |
13 | 페놀수지 | 4,128 | 4,513 | 3,777 | 7,135 | 9,506 |
14 | 폴리카보네이트 | 10,907 | 11,243 | 9,235 | 11,910 | 9,245 |
15 | EPS | 13,855 | 11,494 | 9,309 | 9,702 | 8,879 |
16 | ABS | 6,877 | 7,647 | 7,559 | 7,849 | 7,070 |
17 | SAN | 2,682 | 3,180 | 2,043 | 2,511 | 1,029 |
총계 | 718,191 | 849,004 | 809,227 | 823,608 | 740,034 |
자료: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
ㅇ 2018년 기준 플라스틱 반제품 및 완제품의 수입량은 24만 톤이며 수출은 반제품 7만 3000톤, 완제품 3만 톤이어서 수출 대비 수입이 상당히 큼.
ㅇ 반제품 수입의 경우 브라질과 중국 제품의 수입이 총 수입량의 50% 가량을 차지했고 그 뒤로 칠레, 미국, 독일, 페루 등이 경쟁함. 한국산 반제품은 2018년 2595톤을 수입해 한국산 반제품의 2018년 아르헨티나 수입시장 점유율은 2.2%임.(그래프2 참조)
그래프2: 아르헨티나 플라스틱 반제품 수입시장 점유율(2018년 기준)
자료: 아르헨티나 통계청(INDEC)
표3: 플라스틱 종류별 반제품 수입현황
(단위: 톤)
순위 | 플라스틱 종류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1 | PVC | 17,754 | 17,689 | 21,145 | 20,880 | 30,075 |
2 | 그 외의 재질 | 23,824 | 24,399 | 21,809 | 26,954 | 28,372 |
3 | PP | 9,088 | 12,080 | 12,935 | 8,278 | 16,751 |
4 | PE | 12,030 | 14,230 | 13,778 | 21,027 | 14,347 |
5 | Self Adhesives | 13,135 | 14,015 | 12,953 | 14,143 | 13,240 |
6 | PET | 9,626 | 10,476 | 9,321 | 10,323 | 9,364 |
7 | Cellular Products | 4,522 | 8,738 | 7,252 | 7,433 | 5,924 |
8 | 폴리카보네이트 | 1,199 | 1,337 | 1,023 | 1,453 | 1,126 |
9 | PS | 600 | 1,014 | 909 | 406 | 738 |
합계 | 91,778 | 103,978 | 101,125 | 110,897 | 119,937 |
자료: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
ㅇ 완제품의 경우 중국 제품이 총 수입량의 52% 가량 차지하며, 그 뒤로 브라질이 있음.(그래프 2 참조) 완제품의 경우에는 가격이 중요하므로 저렴한 중국 제품과 관세혜택의 이점을 가지고 있는 남미공동시장(Mercosur) 회원국(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파라과이) 생산제품이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그래프3 참조)
그래프3: 對아르헨티나 플라스틱 완제품 수출국별 시장 점유율(2018년 기준)
자료: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
ㅇ 포장재, 플라스틱 가죽, 건설 배관용 제품, 화방용품, 생활용품 등이 완제품으로 가장 많이 수입하는 품목임. 한국 업체의 제품 또한 기술,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면 시장진출 가능성을 충분히 획득할 수 있음.
표4: 아르헨티나의 플라스틱 완제품 수입현황
(단위: 톤)
분야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포장재 및 관련 부품 | 25,062 | 24,061 | 25,708 | 29,166 |
플라스틱 가죽 | 7,741 | 9,781 | 12,722 | 13,135 |
건설, 배관 | 5,259 | 5,753 | 7,703 | 9,533 |
생활용품 | 4,110 | 4,806 | 5,674 | 6,841 |
플라스틱 원단 | 4,581 | 3,942 | 5,413 | 5,747 |
의약용품 | 1,775 | 4,563 | 4,273 | 4,780 |
가구, 의자 | 2,783 | 3,033 | 4,278 | 4,692 |
화방용품 | 4,629 | 3,450 | 3,821 | 3,540 |
학용품 | 2,178 | 1,968 | 2,512 | 2,219 |
인테리어 소품 | 1,343 | 1,393 | 2,182 | 2,009 |
위생백, 비닐봉투 | 564 | 755 | 839 | 897 |
이 외 (HS CODE 39) | 25,544 | 25,229 | 31,730 | 30,588 |
기타 | 8,418 | 7,993 | 9,183 | 8,692 |
합계 | 93,987 | 96,727 | 116,038 | 121,839 |
자료: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
ㅇ 자본재에 속하는 플라스틱 산업용 기기(사출, 압출기, 성형기 등) 및 부품, 사출금형의 경우 아르헨티나 자국 내 생산보다는 수입품이 더 큼. 몰드에서는 중국, 브라질에 이어 한국 금형이 아르헨티나 금형 수입시장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의 2018년 대아르헨티나 금형 수출은 395만 달러임.
ㅇ 아르헨티나의 2016년 한국산 금형 수입이 총 수입액 대비 17.2%를 차지했던 것에 비하면 국내산 금형에 대한 수요가 대폭 줄어든 상황임을 유추해볼 수 있음.
표5: 아르헨티나의 연도별 플라스틱 생산용 자본재(기계, 부분품, 금형 등) 수입액
(단위: USD, %)
연도 | 수입액 | 증감률 |
2014 | 239,033,035 | 11.6 |
2015 | 245,795,092 | 2.8 |
2016 | 211,770,591 | -13.8 |
2017 | 198,708,892 | -6.2 |
2018 | 197,035,449 | -0.8 |
자료: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
그래프4: 주요국별 대아르헨티나 플라스틱 금형시장 점유율(2018년 기준)
자료: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
□ 수입관세율은 CIF가격의 14-18%, 그 외에도 다수의 세금 부과
ㅇ 플라스틱 제품(HS CODE 3901~3926 기준) 남미공동시장(Mercosur) 회원국(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생산제품의 경우 관세율이 0%이며, 이외의 국가가 생산한 제품의 경우 14~18%의 수입관세율을 부과함. 수입관세 외에 부과하는 다양한 세금이 존재함.(아래 표6 참조)
표6: 관세율 계산표(HS CODE 3918.10 기준)
자료: KOTRA 부에노스아이레스 무역관 자체자료
□ 아르헨플라스(ARGENPLAS)가 가장 좋은 시장개척 기회
ㅇ 아르헨티나 관련 인사(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장 Sergio Hilbrecht) 면담 내용
Q1.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에 대해 소개를 부탁한다. A1. 아르헨티나플라스틱산업협회(Cámara Argentina de la Industria Plástica-CAIP)는 1944년 설립한 협회로 아르헨티나 내 관련 산업협회 중 최대 규모와 역사를 자랑한다. 원자재 생산기업과 반제품, 완제품 생산기업을 총괄하고 있다. 약 1500여 개사를 회원으로 두고 있는데 그 대부분이 직원 수 50명 이하의 중소기업이다.
Q2. 아르헨티나 시장 내 한국산 제품이 강점을 보이는 분야는 무엇인지? A2. 아르헨티나는 한국산 원자재와 반제품을 꾸준하게 수입하고 있다. 주로 식품용기 또는 포장재 제조사들이 한국에서 온 원자재와 반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또 플라스틱 사출 몰드에 대한 수요도 높은데 중국, 브라질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로 많이 수출하는 국가이다. 반면에 한국산 사출기기를 수입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보인다. 아마 가격과 기술적으로 중국산, 유럽산 기기에 비해 선호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Q3. 아르헨티나에 한국 제품을 더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있는지? A3.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가 주최하는 아르헨플라스(ARGENPLAS) 전시회가 있다. 격년으로 개최하는 전시회인데 매번 열 때마다 여러 중국 기업이 부스에 참가하고 있다. 한국의 기업도 참가한다면 아르헨티나 기업들에 한국 제품을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아르헨티나 기업들은 주로 K Show, Expo Plast, Chinaplas, Fakuma 등의 국제전시회에 참가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전시회에서 서로를 소개할 기회가 있을 것 같다. |
플라스틱산업 유망 전시회
전시회명 | 아르헨플라스(ARGENPLAS): 아르헨티나 플라스틱 산업 전시회 |
개요 |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가 주최하는 해당 분야 최대 전시회이며, 브라질 전시회와 겹치지 않도록 격년으로 열고 있다. 올해 17회를 맞이하며 2018년에는 88개의 아르헨티나 기업, 85개의 해외기업이 전시업체로 참가했고 약 1만 9000명이 방문했다. |
시기 | 2020년 6월 8~11일 |
장소 | Centro Costa Salguero, Buenos Aires |
홈페이지 |
□ 중간재, 원자재, 금형 수출에서 완제품, 기계로도 수출 다양화 필요
ㅇ 현재까지 한국산 플라스틱 제품은 원자재, 반제품, 몰드 위주로 아르헨티나에 수출하며 호평을 받고 있으나 앞으로 더욱 시장점유율 확대가 필요함.
ㅇ 아르헨티나 플라스틱 관련 제품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위의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전시회(ARGENPLAS) 참가이며, 한국관은 참가하고 있지 않으므로 개별 참가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임.
ㅇ 아르헨티나가 아닌 유럽이나 중국의 플라스틱 전시회에도 아르헨티나 업체가 다수 참가하므로 이러한 전시회 참가를 통해 아르헨티나시장 진출을 시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임.
ㅇ 아르헨티나의 경우 플라스틱 폐기물이나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규제를 부에노스아이레스시가 일부 시행하고 있으나 최근 국제사회에서 나오고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머지않아 아르헨티나 정부도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임.
ㅇ 플라스틱 사용규제를 구체화할 경우 아르헨티나 내에서도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사용하던 일회용 플라스틱 수요가 급격히 줄 가능성이 큼.
ㅇ 스타벅스와 맥도날드를 비롯한 유명 패스트푸드점, 슈퍼마켓은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와 비닐봉지를 취급하고 있지 않아 종이 또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된 대체품목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음.
ㅇ 현재까지 한국이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원자재, 반제품, 몰드뿐만 아니라 생활용품, 인테리어 용품, 자동차부품 등 아르헨티나가 생산하지 않는 완제품이나 현지생산에 필요한 사출기, 송풍기, 성형기 등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것도 필요함.
자료: 아르헨티나 플라스틱산업협회(CAIP), 아르헨티나 통계청 (INDEC), KOTRA 부에노스아이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디이치처 혁신기술 자동차부품 쇼케이스 참관기 (2) | 2020.02.12 |
---|---|
중국 중고시장 성장 (0) | 2020.02.12 |
2020년 스페인 경제전망 (0) | 2020.02.12 |
중국-파키스탄 FTA 2단계 협정 발효와 전망 (0) | 2020.02.12 |
"한국-캐나다 경제무역 협력 잠재력 풍부하다" (0) | 2020.02.11 |
- 자동차
- 홍콩
- 미국
- 전시회
- 리우올림픽
- 베트남
- 태국
- 싱가포르
- 러시아
- 화장품
- 이란
- 말레이시아
- 독일
- 인도네시아
- 일본
- 칠레
- 호주
- 올림픽
- 필리핀
- 에콰도르
- 삼성전자
- 이집트
- 코로나
- 리우
- 터키
- 인도
- 멕시코
- 이스라엘
- 브렉시트
- 중국
- 남아공
- 스페인
- 브라질
- 프랑스
- 캐나다
- 삼성
- 네델란드
- 미얀마
- 영국
- 콜롬비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