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올해 5회째 맞는 베트남 최대 식품 박람회 -
- 베트남은 우리나라 4대 식품 수출시장, 성장잠재력 높아 관심 필요 -
□ 전시회 개요
행사명 | 제 5회 Vietnam Foodexpo |
개최일시 | 2019년 11월 13~16일 |
장소 | 베트남 호찌민시 SECC 전시장 |
주관 | Vietnam Trade Promotion Agency (VIETRADE) |
규모 | 24개국 444개 업체 참가(2018년 기준) |
□ 전시회 주요 특징
ㅇ 박람회 소개
- 2015년 최초로 개최되어 올해 5회째를 맞는 2019 베트남 푸드엑스포(Vietnam Foodexpo)는 베트남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국제적인 식품 박람회
- 베트남 주요 특산품(캐슈넛, 쌀제품, 해산물 등)을 소개하고 해외 국가ㆍ해외 기업들이 베트남으로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 주요 제품을 전시하고 소개함.
- 뿐 만 아니라 식품 관련 기자재들도 함께 전시돼 최신 식품 기술 트렌드도 엿볼 수 있는 자리
ㅇ 전시장 구성 및 프로그램
- 이번 행사 전시장은 크게 1) 식품 원료, 2) 과일ㆍ야채, 3) 음료, 4) 가공식품, 고부가가치 식품, 5) 국제관, 6) 식품 포장·가공용 기계 및 설비 등 6개 분야로 구성됐음.
- 올해 베트남 푸드엑스포는 4일 동안 개최됐으며, B2B 미팅, 세미나(식품 산업 투자, 하이테크 가공 기술, 현지 동향 관련), 바리스타 대회 등의 부대행사가 동시에 열림.
2019 베트남 푸드엑스포 전시장 도면
자료 : foodexpo.vn, KOTRA 호치민무역관 정리
2019 베트남 푸드엑스포 현장 모습
(입구 및 등록창구)
(포럼 및 세미나 현장)
(실내 모습)
자료: KOTRA 호치민무역관 촬영, Foodexpo.vn
□ 우리 참가기업 인터뷰
ㅇ 홍삼제품 전문 업체 G사 관계자
- 현재 거래 중인 베트남 바이어가 있으며, 제품 홍보 및 인지도 상승 등을 위해 행사에 참가함.
- 베트남 홍삼제품 시장은 주변 아세안국가와 비교해봤을 때 긍정적임. 음료, 사탕, 절편 등 모든 제품 군이 고루고루 판매되고 있음. 앞으로도 베트남 내 홍삼제품 수요는 계속 커질 것이라 예상함.
- 홍삼제품 인기로 관련 한국 업체들의 베트남 진출 역시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경쟁도 심화되는 양상. 그러나 신규 업체의 등장은 시장규모를 키우는 데 일조한다고 생각함. 현재는 시장 규모를 좀 더 키워야 할 필요가 있으며, 신규 업체 진출 증가 및 경쟁 심화를 또 다른 기회요인으로 여기고 베트남 시장 적극 개발 계획 중
ㅇ 즉석식품 전문업체 H사 관계자
- 베트남 내 한인 마트를 중심으로 현재 거래 중. 신규 바이어 발굴을 위해 참석함.
- 레토르트 식품(삼계탕, 육개장 등)을 주로 거래하고 있으나 몇몇 베트남 바이어들과 미팅을 해본 결과 몇 가지 의견 차이 및 애로사항이 존재함.
- 첫째는 제품 가격이 다소 높아 베트남 바이어들이 거래를 꺼려함. 예를 들어 500g 제품이 약 8000원(약 16만 동)인데 이는 일반 베트남 소비자들이 식사 3끼를 해결할 수 있는 가격임. 둘째는 국물이 있는 레토르트 식품을 낯설어했음. 베트남 인기 즉석식품, 간편식품은 대부분 냉동제품이거나 편의점 식품(즉석어묵, 삼각김밥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음.
ㅇ 차 제품 전문업체 S사 관계자
- 전통차, 허브차, 꽃차 등 차류를 주로 유통ㆍ판매함.
- 베트남 소비자들이 대체로 차 마시는 문화에 익숙해 제품 자체에 대한 거부감은 덜한 것으로 생각됨.
- 꽃차(목련티, 아카시아티, 매화티 등)는 베트남 젊은 여성들의 시음 요청 및 구매가 많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
- 바이어 상담을 해본 결과, 베트남에도 여러 종류의 허브티와 꽃차가 있지만, 종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베트남에서 판매되지 않는 꽃차와 새로운 향에 많은 관심을 보였음.
- 각 차의 효능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으며, 제품 구매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임.
□ 한국 식품 대베트남 수출 현황
ㅇ 2019년 1~10월 한국은 베트남으로 4억7,300만 달러어치의 농림수산물(각종 기호식품 포함)을 수출함.
- 이는 전년동기대비 14.3% 증가한 것으로 베트남 식품시장 성장, 한류 인기, 한-베트남 FTA 체결 등에 힙입어 베트남에서 한국식품 수요가 지속 성장하는 추세
최근 5년간 한국 식품(농수축산물) 대베트남 수출 추이
(단위: MTI 2단위, 백만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 통계, KOTRA 호치민 무역관 정리
ㅇ 우리나라의 대베트남 식품 수출은 농산물이 50.1%, 수산물 27.9%, 축산물 22%를 차지하고 있음(2019년 1~10월 기준)
- 올해 대베트남 주요 수출증가식품은 닭고기(86.2%), 어류(24.9%), 음료(16.6%) 등이며 수출감소품목은 참치(-13%), 커피조제품(-5%), 소주(-17.6%) 등임.
- (참고) 식품 분류별 주요 상품
ㆍ 농산물: 담배, 음료, 당류, 면류, 인삼류, 배, 농산가공품, 소스류, 사료, 빙과류 등
ㆍ 수산물: 참치, 수산가공품, 명란, 게, 해조류, 명태 등
ㆍ 축산물: 닭고기, 로얄제리, 모류, 분유, 기타축산물부산물 등
베트남에 많이 수출하는 우리나라 농축수산물(2019.1~10월)
(단위: MTI 6단위 기준, 백만 달러, 전년동기비 %)
순위 | 품목명 | 수출금액 | 증감률 |
1 | 닭고기 | 38 | 86.2 |
2 | 제조담배 | 33 | -10.6 |
3 | 기타 어류 | 29 | 24.9 |
4 | 기타 음료 | 27 | 16.6 |
5 | 참치 | 26 | -13.0 |
6 | 기타 수산가공품 | 22 | 35.0 |
7 | 기타 당류 | 22 | 58.4 |
8 | 로얄제리 | 19 | 56.6 |
9 | 면류 | 19 | 19.7 |
10 | 명란 | 13 | 9.6 |
11 | 모류 | 12 | -3.1 |
12 | 분유 | 12 | 56.0 |
13 | 인삼류 | 11 | 16.5 |
14 | 배 | 11 | -8.9 |
15 | 기타 게 | 10 | 63.1 |
16 | 면 | 10 | 142.8 |
17 | 기타 농산가공품 | 9 | 28.8 |
18 | 기타 축산물부산물 | 9 | 78.6 |
19 | 기타 소스류 | 8 | 65.2 |
20 | 사료 | 8 | -66.4 |
총계 | 473 | 14.3 |
자료: 한국무역협회 통계, KOTRA 호치민무역관 정리
□ 시사점
ㅇ 베트남 푸드엑스포는 타 전시회와 달리 대기업들 중심의 전시 및 판매보다는, 베트남 각 지방 특산품을 소개하고 전시하는 성격이 짙은 행사였음.
- 여러 지역의 다양한 베트남 식품을 소개해 방문객 입장에서 다채롭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음.
ㅇ 독일,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홍콩, 태국 등 10여 개국 해외 식품기업들 역시 이번 베트남 푸드엑스포에 참가해 바이어 발굴 및 제품 홍보
- 우리나라 식품기업들도 홍삼, 어묵, 즉석식품, 김치, 음료, 차 등 다양한 식품을 들고 현지 브랜드 홍보 및 바이어 발굴 활동을 전개함.
ㅇ 한편 베트남의 두터운 젊은 인구층, 경제 성장 및 소득 증가 등이 베트남 식품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음.
- 베트남은 우리나라가 일본, 중국, 미국 다음으로 식품을 많이 수출하는 국가이며, 아직 성장 잠재력이 높은 국가로 평가됨.
- 우리 식품 기업들은 베트남 푸드엑스포와 같은 현지 식품 전시회 참가에 관심을 가지고 현지 시장 개발에 주목해야 함.
- (참고) 2020년 베트남 식품 관련 전시회
① 2020 Food Ingredients Vietnam : 2020년 7월 1~3일(호찌민시 SECC 전시장)
② 2020 Food expo: 2020년 11월 18~21일(호찌민시 SECC 전시장)
자료: KOTRA 호치민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매트리스 시장을 흔드는 박스 포장 매트리스(bed-in-a-box) (0) | 2019.12.02 |
---|---|
일본 고령화 사회, 데이 서비스로 즐겁고 알차게 (0) | 2019.12.02 |
호주는 공사 중, 바이어에게 듣는 건설재 진출전략 (0) | 2019.11.30 |
실리콘밸리 스타트업들은 어떻게 인재를 채용하고 있을까 (0) | 2019.11.30 |
IMF가 분석한 '미-중 무역협상 결과에 따른 파급효과' (0) | 2019.11.30 |
- 미국
- 러시아
- 호주
- 태국
- 터키
- 베트남
- 중국
- 콜롬비아
- 화장품
- 네델란드
- 캐나다
- 이스라엘
- 전시회
- 브렉시트
- 말레이시아
- 이집트
- 칠레
- 브라질
- 필리핀
- 자동차
- 싱가포르
- 올림픽
- 리우
- 이란
- 영국
- 코로나
- 일본
- 프랑스
- 삼성전자
- 미얀마
- 멕시코
- 스페인
- 인도
- 독일
- 홍콩
- 인도네시아
- 삼성
- 남아공
- 에콰도르
- 리우올림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