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저스틴 트뤼도 총리, 자유당 소수정부를 이끌 새 내각 발표 -
-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전 외교부장관,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으로 새롭게 임명 -
- 중산층을 위한 경제 성장 문제, 기후변화 대응, 지역사회 안전 등에 초점을 맞춰 내각 구성 -
□ 캐나다 연방정부 새 내각 개요
◦ 트뤼도 정부 새 내각 발표하며 본격적인 국정 운영에 돌입
- 11월 20일 저스틴 트뤼도(Justin Trudeau) 총리는 자유당 소수정부를 이끌 새로운 각료들을 발표하고 첫 집권 당시와 동일하게 남녀 동수를 유지하며 내각을 구성함.
- 총리를 포함한 총 37명으로 구성된 새 내각의 각 장관들은 대다수가 캐나다 동부지역인 온타리오와 퀘백주 출신이며,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출신 의원 4명과 매니토바주 출신 의원 1명, 대서양 지역 출신 의원 1명 등으로 구성
- 이번 새 내각 구성은 성별로 평등할 뿐만 아니라 이민자의 나라답게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이 골고루 포함됨.
- 총리는 새 각료들과 중산층을 위한 경제 성장 문제, 기후변화 등에 대응하며 지역 사회 안전에 초점을 맞춰 일하겠다고 표명함.
임명된 장관들과 총리 및 총독 단체 사진
자료: 캐나다 총리실(Prime Minister of Canada)
□ 부총리 및 내무부 장관: 크리스티아 프릴랜드(Chrystia Freeland)
◦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전 외무장관,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으로 새롭게 임명
- 앨버타주 출신인 프릴랜드 전 외무장관은 신설 부총리 겸 정부 간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돼 동·서지역 주 정부 관계에 화합과 갈등 조정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프릴랜드 전 외무장관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를 대체하는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관련 협상을 이끌면서 정치권에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이번 연방총선거에서 트뤼도 총리의 후임으로도 거론된 바 있음.
- 부총리 및 내무장관직을 맡으면서 동시에 아직 비준 절차가 남아있는 USMCA와 대미국 외교 업무를 계속 담당할 전망
- 석유산업 의존도가 높은 서부 지역 유권자들은 온실가스 배출규제와 탄소세 도입 등 강경한 환경 정책을 유지하는 트뤼도 정부에 반대하는 입장
- 트뤼도 총리가 서부 출신인 여성 정치인 프릴랜드를 부총리로 발탁한 것은 서부의 반발과 소외감을 해소하며, 동∙서 간 국민 화합을 도모하려는 의지로 분석됨.
□ 외교부 장관: 프랑소와-필립 샴페인(François-Philippe Champagne)
◦ 프릴랜드의 뒤를 이은 새 외교부 장관으로는 퀘벡주 출신 국제 변호사 프랑소와-필립 샴페인이 임명됨.
- 정계에 2015년에 입문한 샴페인 외교부장관은 지난 20년간 사업가, 변호사, 국제 무역 전문가 등으로 활동한 이력이 있음.
- 특히 로봇∙에너지∙자동화 기술분야를 주된 사업으로 하는 글로벌 기업인 ABB Group사의 부회장, 수석 변호사 등으로 역임한 바 있음.
- 샴페인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의 새 미국 정부출범을 앞둔 2017년에 트뤼도 1기 정부의 개각 단행 시 약 1년 반 동안 통상부장관(Minister of International Trade)으로 역임했었음.
- 그 후 2018년부터 현재 외교부장관을 맡기 직전까지는 인프라장관(Minister of Infrastructure and Communities)직을 수행함.
- 2019년 11월 22일부터 23일까지 샴페인 장관은 일본 나고야에서 개최된 G20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해 중국에 억류된 캐나다인 2명에 대한 처우 문제를 제기함.
- 장관은 중국 화웨이 멍완저우(Meng Wanzhou) 부회장의 체포 사건의 여파로 중국에 역류된 캐나다인 2명의 석방이 외교분쟁에서 해결해야 할 절대 우선순위라고 표명함.
- 또한 샴페인 장관은 프릴랜드 부총리와 함께 NAFTA 협정의 비준을 통과하기 위한 캐나다-미국 간 외교 업무를 이어갈 전망
- 캐나다는 2020년 6월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에 참여해 노르웨이, 아일랜드와 경합을 벌일 예정으로 외교부의 구체적인 세부 방안과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됨.
-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가 국제 평화유지 노력을 재개하고 분쟁 방지와 안보 증진을 위해 국제무대의 주도적인 역할에 나설 준비를 계획 하고 있다고 발표한바 있음.
주: 캐나다는 유엔 창설 초기부터 총 6차례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했으나 지난 1999~2000년 임기를 끝으로 지금까지 안보리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2021~2022년 임기를 목표로 재진출할 계획임.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하게 될 경우 외교부 장관인 프랑소와-필립 샴페인 장관이 유엔 총회에 참석하게 될 예정
□ 중소기업 수출 홍보 및 통상부 장관: 메리 잉(Mary Ng)
◦ 중소기업 수출 홍보 및 통상부 장관으로 임명된 메리 잉
- 2017년 정계에 입문한 메리 잉 장관은 2018년부터 중소기업 수출 홍보 장관으로 역임했으며, 이번 내각에서는 중소기업 수출 홍보부 및 통상부 장관직을 겸임하게 됨.
- 홍콩 이민자 출신으로 지난 20년간 교육, 여성 리더십, 고용창출 및 창업 등 공직에서 일한 경험 다수
- 온타리오 법무장관실, 교육부, 라이얼슨 대학교(Ryerson University) 총장실 등에서 재직했음. 특히 라이얼슨 대학교 산하 기관인 DMZ 엑셀러레이터를 개설하는데 기여한바 있음.
- 메리 잉 장관은 지난 4월 22일에 토론토무역위원회(Toronto Region Board of Trade)를 통해 온타리오주에 C$ 500만 투자로 무역 가속화 프로그램(Trade Accelerator Program)을 확대할 계획을 발표함.
- 또한 연방정부는 캐나다의 해외 수출을 2025년까지 50% 가량 늘릴 계획으로 FTA 무역협정국과의 교류 증가 및 수출 확대를 통한 경제를 활성에 힘쓸 것으로 전망됨.
캐나다 연방정부 주요 장관
사진 | 직위 | 이름 |
|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Intergovernmental Affairs | Chrystia Freeland |
| Minister of Foreign Affairs | François-Philippe Champagne |
| Minister of Small Business, Export Promotion and International Trade | Mary Ng |
| Minister of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 Marco E. L. Mendicino |
| Minister of Innovation, Science and Industry | Navdeep Bains |
| Minister of Agriculture and Agri-Food | Marie-Claude Bibeau |
| Minister of Health | Patty Hajdu |
주: 전체 장관 리스트 첨부파일 참조
자료: 캐나다 총리실(Prime Minister of Canada)
자료: 캐나다 총리실(Prime Minister of Canada), CBC News,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떠오르는 말레이시아 건강보조식품 시장 (0) | 2019.11.30 |
---|---|
스페인, 11월 10일 재 총선 결과 및 향후 전망 (0) | 2019.11.29 |
2019년 스리랑카 대선 결과 및 향후 전망 (0) | 2019.11.29 |
베트남 국제 건축전시회 2019 Vietbuild 개최 (0) | 2019.11.29 |
홍콩 사이버포트 스마트 스페이스 세미나 참관기 (0) | 2019.11.29 |
- 미국
- 싱가포르
- 러시아
- 홍콩
- 전시회
- 말레이시아
- 남아공
- 코로나
- 인도네시아
- 삼성
- 필리핀
- 중국
- 칠레
- 프랑스
- 이스라엘
- 리우
- 독일
- 베트남
- 자동차
- 브라질
- 스페인
- 멕시코
- 올림픽
- 호주
- 터키
- 콜롬비아
- 이란
- 리우올림픽
- 이집트
- 인도
- 에콰도르
- 영국
- 브렉시트
- 태국
- 일본
- 화장품
- 미얀마
- 삼성전자
- 네델란드
- 캐나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