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탈석유, 경제 다각화를 위한 관광 프로젝트 본격 추진 -
- 호텔, 주거단지, 공항 등 28,000㎢ 규모 복합 관광단지 건설 -
□ 추진 배경
ㅇ 사우디 비전 2030 일환, 탈석유, 경제 다각화 위한 관광산업 육성
- 모하메드 빈 살만(MBS) 왕세자, 사우디 경제, 사호, 국가경영 목표 설정한 중장기 국가운영 계획인 ‘사우디 비전 2030’ 발표
- 비전 2030, 에너지, 제조업, 보건의료, ICT, 관광 등 非석유부문 육성을 통한 Post-Oil 시대 新경제성장동력 확보
- 모하메드 빈 살만(MBS) 왕세자, 2017년 7월 홍해 관광 프로젝트 발표 및 왕세자 주도 하에 프로젝트 관리 및 추진 중
- 홍해 연안 22개섬 개발 통해 2030년까지 연 관광객 100만명 유치, 사우디 GDP 58억 달러 증가, 70,000개 일자리 창출 등 목표
□ 홍해개발회사(TRSDC) 개요
o 홍해개발회사(TRSDC) 이사회, 사우디 최고위층 인사로 구성
- 모하메드 빈 살만(MBS) 왕세자가 의장으로 있으며, 이사회는 상무투자부 장관, 환경수자원농업부 장관, 교통부 장관, 국부펀드(PIF) 의장 등 사우디 최고위층 인사로 구성
o 프로젝트 투자유치, 마스터플랜 수립, 발주, 승인 등 총괄
- 홍해 관광 프로젝트 관련 모든 승인 권한을 보유
- 2018년 국제 관광도시 개발 전문가인 존 파가노 CEO 영입 이후 프로젝트 1단계(Phase 1) 본격 추진
홍해개발회사(TRSDC) 존 파가노 CEO, 살만 국왕 영접 사진
주: 왼쪽부터 모하메드 킹 살만(MBS) 왕세자, 살만 국왕, 존 파가노 CEO
자료: Saudi Gazette
□ 홍해 관광 프로젝트(Red Sea Tourism Project) 개요
o 레저 중심 대규모 복합 관광 단지
- 사우디 서부 움루즈(Imluj)와 알 와즈흐(Al-Wajh) 사이 홍해에 위치한 22개 섬에 총 면적 28,000㎢ 관광단지 조성
- 총 면적 28,000㎢는 주거용 42%, 엔터테인먼트 및 쇼핑 35%, 사무실 12%, 호텔 및 관광 관련시설 11%로 구성
- 프로젝트 개발 및 완공 이후 상주 인구를 위한 12,000호 주택 건설 추진
홍해 관광 프로젝트 조감도
자료: Bahrain News Agency
o 사우디 국부펀드(PIF, Public Investment Fund) 통한 프로젝트 투자와 외국 및 현지 투자자 통해 100억 달러 조달 예정
- 홍해개발회사(TRSDC)에 따르면, 사우디 국부펀드 투자금액의 전체의 약 50%를 차지할 것이며, 나머지는 채권발행 및 직접 투자 등의 형태로 조달될 예정
o Phase-1 2022년, Pahse-2 2030년 완공 목표
- 국내외 관광객 유치 위해 2022년까지 공항, 요트 정박지, 주택단지, 관광 시설, 호텔 14개(3,000실 규모) 등 Phase-1 완공 목표
- Phase-1 완료 이후 2030년까지 Phase-2 완료 및 프로젝트 최종 완공 목표
□ 프로젝트 추진 경과
o 2017년 7월 프로젝트 발표 이후 마스터플랜 수립, 홍해개발회사 설립 및 메인컨트랙터 선정 완료
주요 추진 경과
날짜 | 내용 |
2017년 7월 | 빈 살만(MBS) 왕세자, 홍해 관광 프로젝트 계획 발표 |
2017년 11월 | 사우디 국부펀드(PIF), 프로젝트관리사 선정(Arcadis社) |
2018년 10월 | 홍해개발회사(TRSDC) 설립 |
2018년 12월 | 홍해개발회사(TRSDC), 프로젝트 마스터플랜 공개 |
2019년 7월 | 메인컨트랙터 선정 완료(Archirodon Ltd社) |
2019년 7월 | 근무자용 주거단지 건설 착공(150객실 규모) |
2019년 10월 | 홍해 관광단지 전용공항 활주로 공사 진행 |
* 자료: Arab News, Saudi Gazette, Asharq Al-Awsat 등 현지언론
□ 시사점
o 아람코 기업공개(IPO) 이후 프로젝트 본격 추진 전망
- 사우디 정부, 2019년 12월 국영석유회사 아람코(ARAMCO) 기업공개(IPO) 예정이며, 약 5%, 1,000억 달러(120조원) 규모
- 2019년 12월 사우디 국내증시 1차 상장 이후, 해외증시 2차 상장 추진
- 최근 사우디 에너지광물자원부를 에너지부로 독립하며 아람코 기업공개(IPO) 적극 추진
- 1,000억 달러 규모 자금 유입 시 홍해 관광 프로젝트 등 국가 대형 프로젝트 발주 본격 시작 전망
o 사우디 관광 프로젝트 활성화
- 2030년까지 연 관광객 1억 명 유치, GDP의 10% 관광수입 목표
- 현재 사우디 관광객은 연간 1,600만 명 수준이며, 이 중 약 1,300만 명인 80%가 성지순례 관광객
- 홍해 관광 프로젝트, 키디야(Qiddiya)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 등 국가 대형 프로젝트 추진 통한 관광수입 증대 및 일자리 창출 계획
- 사우디 비전 2030 일환으로 추진되는 관광 프로젝트 완료 시 중동지역 관광산업 중심 국가로 부상 전망
o 홍해 관광단지 주변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 기대
- 관광단지 운영을 위해서는 공항, 상하수도 시설, 교통, 담수화, 발전, 환경 등 산업 및 생활 인프라 구축 필수
- 특히, 공항, 도로 등 수송인프라, 담수화, 주거시설 관련 인프라 다수 발주 전망
o 프로젝트 기자재 및 관광 관련 품목 수출기회 모색 필요
- 프로젝트 추진에 따른 건설 기자재 시장 활성화 가능
- 주거시설, 사무실 및 호텔 개발로 인한 에어컨, TV 등 가전제품 진출 유망
-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LED 조명, CCTV 등 보안 솔루션, 타일, 내외장재 등 건축기자재 수요 증가 예상
ㅇ (인터뷰) 현지진출 국내 건설기업, 아람코 기업공개(IPO) 이후 본격 추진 기대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관련 A사, 아람코 올해 12월 사우디 증시 상장 이후 내년 상반기 해외증시 2차 상장 계획 발표
- 기업공개(IPO) 규모는 지분 5%, 약 1,000억 달러 이상 추정
- 기업공개(IPO)로 확보된 자금은 홍해 관광(Red Sea Tourism), 키디야 엔터테인먼트 등 국가 대형 프로젝트에 투입 전망
- 프로젝트 EPC 관련 B사, 홍해 프로젝트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호텔, 공항 등 모든 인프라에 스마트기술 접목 예정
- 국내 EPC 기업은 수주 참여를 위해 IT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입찰 참여 필요
자료: 홍해개발회사(TRSDC), Arab News, Saudi Gazette, Asharq Al-Awsat, Bahrain News Agency,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성장 시대에서 살아남은 일본 기업의 비결은? (0) | 2019.11.05 |
---|---|
일본 교육시장에 돌풍을 일으킨 AI학습, 아타마플러스 (0) | 2019.11.04 |
두바이, GITEX 2019로 보는 IT 트렌드 (0) | 2019.11.04 |
2019 페루 TECNOAGRO 참관기 (0) | 2019.11.04 |
필리핀 비관세조치 동향 ② (0) | 2019.11.04 |
- 화장품
- 콜롬비아
- 자동차
- 삼성
- 이란
- 중국
- 프랑스
- 태국
- 러시아
- 남아공
- 일본
- 미얀마
- 리우
- 호주
- 홍콩
- 리우올림픽
- 말레이시아
- 코로나
- 필리핀
- 멕시코
- 베트남
- 스페인
- 삼성전자
- 인도네시아
- 미국
- 싱가포르
- 영국
- 칠레
- 이스라엘
- 에콰도르
- 올림픽
- 이집트
- 터키
- 인도
- 브라질
- 독일
- 네델란드
- 전시회
- 브렉시트
- 캐나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