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독일 스포츠웨어 시장은 연 평균 4% 성장을 통해 2023년 약 120억 유로의 규모를 이룰 것으로 전망 -
- 월드컵 등 거대규모의 대회 스폰서, 인플루언서 마케팅 등을 통해 운동복 개념을 넘어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고 있는 중 –
- 독일 바이에른 소재 기업인 Adidas, 주식시장에서 최고기록을 경신하며, 독일 스포츠웨어분야 리드 중 -
□ 지속 성장하는 독일 스포츠웨어 시장
ㅇ 스포츠웨어의 가치는 서유럽에서 꾸준히 안정된 성장세를 보이며 다른 시장 대비 높은 수준을 형성하고 있음
타국 대비 독일 내 스포츠웨어 시장규모(단위 : 백만 불)
자료 : Euromonitor
- 서유럽 시장은 스포츠웨어 분야에서 북미, 아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시장으로 약 20%를 점유하고 있고, 생활스포츠 등 개인의 웰빙에 관심이 많음
- 축구, 핸드볼 등 팀스포츠 뿐만 아니라 웰빙라이프, 건강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가미한 스포츠웨어가 인기를 끌고 있음
- 조깅, 등산 등 종목별 퍼포먼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스포츠웨어를 찾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음
- 올림픽 등 갈수록 규모가 커지는 스포츠 이벤트에 힘입어 스포츠웨어는 지속적으로 성장 중이며, 실제로 2018년에는 월드컵의 영향으로 축구 관련 제품의 수요가 특히 많았음
ㅇ 스포츠웨어 시장은 Spa브랜드 등으로 현재 인기를 끌고 있는 FMCG 시장(Fast Moving Consumer goods, 일용소비재)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스포츠웨어vsFMCG 산업 성장세(2013~2023)
자료 : Euromonitor
- 기능성, 실용성뿐 아니라 디자인까지 가미된 스포츠웨어는 생활스포츠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입을 수 있는 라이프 스타일로써 자리를 잡음
- 러닝, 자전거, 수영 등 일상생활에서 즐길 수 있는 종목들이 주로 선호되고 있으며, 성별, 나이에 관계없이 많은 국민이 운동을 즐김
□ 스포츠웨어 시장을 키우는 주요 브랜드들의 마케팅과 독일 내 생활스포츠의 증가
ㅇ 스포츠웨어브랜드의 성공 마케팅 주요 사례
- 아디다스 : 바이에른 뮌헨, 레알마드리드 등 거대구단들과의 스폰서 계약을 통한 유니폼 판매 등의 증가가 아디다스 전체 매출 증가에 큰 영향을 끼침
* 주요 축구구단들과의 스폰서를 맺은 아디다스는 축구 의류 뿐만 아니라 구단 로고가 들어간 일상 스포츠웨어를 내놓으며 마케팅 극대화 중
- 퓨마 : 팝가수 셀레나 고메즈, 육상선수 우사인볼트 등 세계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퓨마제품을 착용하면서 기업 브랜드 이미지 및 매출 제고
* Puma by Selena Gomez라는 스포츠웨어 콜라보 브랜드 런칭
- 퓨마 대표 비요른 굴덴(Bjorn Gulden)은 “스포츠웨어와 평상복의 융합은 계속 진전될 걸로 확신한다”고 하였으며, 퓨마는 현재 사무실에서 스포츠웨어 착용을 허용하였음(독일 일간지 Welt 보도)
ㅇ 독일 생활스포츠의 증가
2015~2018년 자유시간에 스포츠활동을 즐기는 인구 수 (가로축 : 연도, 세로축 : 백만 명)
자료 : statista
- 독일사람들은 자유시간에 스포츠활동을 인구의 반인 약 4천만명이 하고 있으며, 이 중 2천 5백만명 이상은 한 달에 수차례 운동을 즐김
2003~ 2018년 독일 내 피트니스센터 회원 수(가로축 : 연도, 세로축 : 백만 명)
자료 : Statista
- 위 그래프와 같이 2003년 약 4백만명에서 2018년 약 1천 1백만 명까지 약 3배 만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피트니스센터 회원 수를 보듯이 독일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상함
한 해 스포츠 의류, 장비 등 스포츠활동 투자 비용(단위 : 유로/1년)
자료 : Statista
- 위 그래프와 같이 독일 사람들은 한 해 스포츠웨어에 약 120유로, 장비 포함 200유로를 투자하고 있으며, 라이프스타일까지 침투하고 있는 스포츠웨어산업시장은 갈수록 커져갈 것으로 전망
□ 독일 스포츠웨어 유통구조
ㅇ 독일 내 스포츠웨어 주요 판매형태와 매장 및 브랜드
독일 스포츠웨어 유통구조 분류
연번 | 분류 | 점유율(%, 2018년) |
1 | 매장 기반(Store-Based Retailing) | 70.2 |
- 식료품점 내 판매(Grocery Retailers) | 3.3 | |
- 스포츠용품점 형태 판매 | 63.5 | |
- 융합형태(백화점, 아울렛 등) | 3.4 | |
2 | 매장 없는 판매(Non-Store Retailing) | 29.8 |
- 홈쇼핑 | 0.4 | |
- 인터넷 판매 | 29.4 |
자료 : Euromonitor
- 스포츠웨어에 있어 매장 기반형태가 70.2%로 가장 많은 점유를 차지하며 그 중 스포츠용품점이 가장 많기 때문에, 우리기업에게는 현지 스포츠용품 판매점 접촉을 통한 유통시장 진입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짐
독일 내 5대 스포츠용품점
순위 | 스포츠용품점 | 매출액(백만 유로, 2018년) |
1 | Decathlon(Oxylane Group) | 471 |
2 | SportScheck und HotSpot(Otto Group) | 300 |
3 | Karstadt Sports | 182 |
4 | Globetrotter | 174 |
5 | Intersport | 139 |
자료 : Statista
- 아울러, 독일 내 스포츠용품점들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 만족감을 주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 공간 연결을 시도를 통한 고객별 맞춤형 제품을 제안하는 New Store Concept을 시도 중임
독일 주요 스포츠웨어 브랜드(2018년 기준)
연번 | 기업명 | 매출액(십억 유로) | 점유율(%) |
1 | Adidas Group(아디다스) | 21.92 | 14.5 |
2 | Puma(퓨마) | 4.64 | 2.9 |
3 | Jack Wolfskin(잭 볼프스킨) | 0.35 | 1.9 |
4 | Trigema(트리게마) | 0.10 | 1.2 |
5 | Schoeffel(죄펠) | 0.10 | 0.5 |
자료 : Euromonitor
- 독일은 유럽 내 구매력이 가장 높은 시장으로써, 위 표의 독일 기업뿐 아니라 나이키, 뉴밸런스(미국), 아식스(일본) 등 세계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특히 나이키는 독일 내에서 아디다스를 넘어서기 위해 2018년에 독일본사를 베를린으로 옮기는 등 독일 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중임
□ 관세율
ㅇ HS Code : 일반관세율 16%, 한EU FTA에 따른 무관세
□ 전망 및 시사점
ㅇ 이제 스포츠웨어는 지속적으로 평상복과의 융합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라이프스타일 의류로, 운동 기능 뿐 아니라 디자인도 중요해짐
- 바이에른 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둔 아디다스 관계자 A씨에 의하면, 기존 칸예웨스트에 이어 비욘세와의 콜라보레이션 진행 등 계속해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강화를 통해 스포츠웨어가 운동복뿐 아니라 일상의 기능성 패션아이템이 될 것이라고 함
- 독일에서는 환경, 채식 등에 관심을 갖는 웰빙라이프가 트레인드인만큼 운동에 대한 수요도 계속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 따라서 이제는 일반적인 운동복이 아닌 등산, 자전거 등 운동종목에 맞는 기능성, 내구성과 디자인, 그리고 가격 등 다방면의 특징들이 겸비되어야 함
ㅇ 독일 내 70%를 점유하고 있는 스포츠웨어 판매망인 SportScheck, Karstadt와 같은 독일 스포츠웨어 전문 판매점을 이용한 유통채널 진입을 시도하면서 온라인망도 함께 두드리는 게 독일 내 활로 개척에 적합함
ㅇ 유망전시회를 이용한다면 주요기업들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협력 수요를 찾는데 용이
- 뮌헨에서 매년 2월과 7월에 아웃도어 전문 전시회인 ISPO와 Outdoor by ISPO가 각각 개최됨
ㅇ 스포츠웨어 주요기업들이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하듯, 한류 마케팅을 이용해 접근해 볼 필요도 있어 보임
자료 : 유로모니터, Statista, 현지 일간지 (Welt) 및 KOTRA 뮌헨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항저우 종합 보세구 크로스보더 입점 유치 포럼 참관기 (0) | 2019.09.06 |
---|---|
인도 학생을 노려라, 인도 필기구 시장 트렌드 (0) | 2019.09.06 |
오스트리아, 꾸준한 투자로 성장세가 기대되는 풍력발전 부문 (0) | 2019.09.06 |
케냐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시장을 묻다 (0) | 2019.09.06 |
2019성남시 러시아 시장개척단(모스크바) 참관기 (0) | 2019.09.05 |
- 독일
- 태국
- 중국
- 삼성전자
- 캐나다
- 이란
- 베트남
- 코로나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말레이시아
- 네델란드
- 인도
- 영국
- 이집트
- 필리핀
- 프랑스
- 호주
- 삼성
- 남아공
- 리우
- 홍콩
- 리우올림픽
- 터키
- 인도네시아
- 올림픽
- 칠레
- 전시회
- 브라질
- 미얀마
- 이스라엘
- 멕시코
- 자동차
- 화장품
- 싱가포르
- 미국
- 스페인
- 일본
- 브렉시트
- 러시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