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수입맥주가 대세인 중국 맥주시장
- 각 지역 소규모 브랜드를 인수합병하는 방식이 진출에 효과적 -
□ 중국 맥주시장 현황
○ 수입 맥주가 대세
- 2010년에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맥주 소비시장이 됐으며, 그 중 외국수입 맥주가 70%를 차지함.
- 연구조사기관인 롤랜드 버거(Roland Berger)에 따르면, 중국 수입맥주의 판매량은 2011년의 50만4000㎘에서 2014년의 316만8000㎘까지 급증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62%임.
- 톈진시 검험검역국(天津市检验检疫局)에 따르면, 주로 벨기에·프랑스·독일·한국·미국·네덜란드·영국·멕시코 등 국가에서 맥주가 수입됨.
- 2015년 기준 중국에 수입된 한국 맥주는 약 2만4700㎘이며, 수입액 1896만 달러임. 한국산 수입맥주는 중국 맥주시장의 3.5%를 점유함.
○ 중국 맥주시장의 구성
- 2014년에 중국 맥주산업의 총판매량은 494억ℓ이며, 전 세계 판매량에 약 26%를 차지했음. 2015년까지 중국 브랜드 설화맥주(雪花啤酒)의 시장점유율은 가장 크지만 23% 수준에 그침. 그 외 주요 브랜드는 칭다오맥주(青岛啤酒), 버드와이저(Budweiser), 연징맥주(燕京啤酒), 칼스버그 비어(Carlsberg Beer)이며, 각 18%, 14%, 11%, 5% 점유율을 차지함. 최근 5년간의 추세를 보면, 연징맥주(燕京啤酒)를 제외해 화윤설화(华润雪花), 칭다오맥주(青岛啤酒) 및 버드와이저(Budweiser)의 시장점유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음.
○ 중국 소비자의 선호
- Hoegaarden, Wiirenbacher, Franziskaner, Oettinger, PandaBrew 등 소수 브랜드는 월수입 만위안 이상의 소비자 및 '주링허우(90后: 90년대 출생자)' 소비자가 더 선호함. 한편, 설화맥주(雪花啤酒), 연징맥주(燕京啤酒) 및 하얼빈맥주(哈尔滨啤酒)는 가장 인기가 없는 3개 브랜드로 조사됨.
- 수입맥주는 빠르게 성장함과 동시에 크래프트 맥주(craft beer)도 중국 시장에 진출함. 중국 국내에 생산된 크래프트 맥주는 대부분 20~40위안 정도이며, 이런 가격은 젊은 소비자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임. 67%의 소비자들이 맥주 등급을 판단함에 있어서 원재료의 품질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절반 이상의 사람들은 크래프트 맥주는 고급맥주라고 판단하고 있음.
- 롤랜드 버거(Roland Berger)에 따르면, 중국 30세 미만의 소비자들은 절반 이상 맥주, 특히 도수가 높은 맥주를 더 선호함.
□ 주요 경쟁 브랜드
브랜드 | 특징 | 이미지 |
雪花啤酒 | - 1994년 설립됐음. 현재 중국에 95개 이상의 맥주 양조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산하에 '설화맥주' 외 30여 개 지역 맥주 브랜드도 보유하고 있음. - 주로 랴오닝성(辽宁省), 쓰촨성(四川省), 구이저우성(贵州省), 안후이성(安徽省) 및 장쑤성(江苏省)의 시장을 차지함. |
|
青岛啤酒 | - 1903년 설립됐으며, 세계에서 6번째 맥주기업 - 칭다오맥주(青岛啤酒)의 주요 시장은 산둥성(山东省)과 산시성(陕西省)이며, 그리고 허베이성(河北省), 안후이성(安徽省), 장쑤성(江苏省)에서도 시장을 개척하고 있음. |
|
燕京啤酒 | - 1980년 공장이 설립됐음. - 산하에 30여개 계열사 및 양조장을 보유하고 있음. '인민대회당 국빈연회 공급주(人民大会堂国宴特供酒)'로 지정됨. - 주로 베이징, 광시성(广西省), 네이멍구 자치구(内蒙古自治区)에 집중됨. |
|
버드와이저 (Budweiser) | - 1995년 중국으로 진출하며, 중국 12개 성에 30여 개 양조장을 보유하고 있음. - 산하에 버드와이저, 하얼빈맥주(哈尔滨啤酒), 설진맥주(雪津啤酒), KK맥주 등 9개 계열사를 보유함. - 현재 후베이성(湖北省), 푸젠성(福建省), 헤이룽장성(黑龙江省)의 시장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며, 지린성(吉林省), 랴오닝성(辽宁省), 저장성(浙江省)에서도 일정한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 |
|
칼스버그 비어 (Carlsberg Beer) | - 1995년 중국에서 칼스버그 비어를 생산하기 시작함. - 중국 국내의 맥주기업(충칭맥주, 맥주화, 란주황허 등)에 대한 인수합병을 통해 중국 서부시장의 50%를 차지함. |
|
□ 중국 시장 진출 시 고려할 점
○ 중국 맥주시장은 강한 지역성을 갖고 있음.
- 중국 각 지역에 맥주의 맛, 가격, 문화 등에 대한 인식에 큰 차이가 나타남. 이런 차이로 중국의 맥주시장은 단일 지역으로 보기 보다는 31개(省/市) 지역적 시장으로 접근해야 함.
-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고 싶으면 특정한 한 지역에 집중해야 하며, 그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함.
○ 각 지역 소규모 맥주기업 인수합병이 효과적
- 위의 5개 브랜드가 중국 맥주시장을 대부분을 선점하고 있으므로, 신규 브랜드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데 한계가 있음.
- 중국 전체 총 1500여 개 지역적 맥주 브랜드가 있지만 유명한 것은 많지 않으므로, 작은 맥주회사를 인수하는 것은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
자료원: 中国报告大厅, 中国食品网, 西楚网, 中国新闻网, 百度, 豆丁网, 中国产业信息网, 中国食品设备网, 第一财经周刊 및 KOTRA 샤먼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3회 베이징 국제도서전 참관기 (0) | 2016.09.04 |
---|---|
실리콘밸리에서 바라본 '입는 IoT' 현주소 (0) | 2016.09.03 |
일본 IT시장, 하반기에도 견조 추세 지속 (0) | 2016.09.03 |
한-베트남 간 ‘수출입 고속도로’ 뚫린다(1) (0) | 2016.09.03 |
한-베트남 간 ‘수출입 고속도로’ 뚫린다(2) (0) | 2016.09.03 |
- 호주
- 코로나
- 독일
- 필리핀
- 콜롬비아
- 프랑스
- 말레이시아
- 남아공
- 삼성
- 캐나다
- 홍콩
- 브라질
- 태국
- 러시아
- 인도
- 터키
- 베트남
- 자동차
- 이스라엘
- 네델란드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일본
- 화장품
- 멕시코
- 이집트
- 에콰도르
- 스페인
- 전시회
- 미국
- 삼성전자
- 칠레
- 미얀마
- 영국
- 리우올림픽
- 리우
- 중국
- 올림픽
- 브렉시트
- 이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