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018년도 이스라엘 수출은 전년도 대비 1.25%, 수입은 15.84% 증가

- 주요 수출품은 다이아몬드, 의약품, 전자집적회로, 주요 수입품은 원유, 다이아몬드(원석), 승용차

 

 


2019-2020 경제 전망

 

  ㅇ 정치적 불확실성에도 불구, ▲내수시장 성장(낮은 실업율, 임금상승) ▲가스전 개발 ▲하이테크 산업의 호황으로 당분간 경제 성장을 지속해 갈 전망

     * (19.1) 인텔, 이스라엘內 반도체 제조설비 신규투자 계획(110억 달러) 발표

 

  ㅇ ’20년 최대 고객인 미국의 수요 감소로 서비스산업 수출이 주춤할 것으로 예상되나, 레비아탄(leviathan) 가스전 수출이 본격화되면서 이를 상쇄하고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

     * GDP 성장률은 (19) 3.3%, (20) 2.9%, (21-23) 4.2% 예상

 

  ㅇ 미-중 갈등, 영국-EU 관계, 이스라엘-이란(시리아, 레바논) 관계는 이스라엘 경제 성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 가능

     * 국내 정치 갈등, 가자지구發 위협, 이·팔 관계의 불확실성, 자국통화 강세 등도 잠재 위협 요인

 

□ 주요 경제지표

 

주요지표

단 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a

2020b

인구

만명

822

838

855

871

888

900

920

명목 GDP

억달러

3,100

3,005

3,194

3,533

3,697

3,908

4,153

1인당 GDP

달러

37,734

35,855

37,372

40,544

41,614

41,838

43,129

실질성장률

%

3.9

2.6

4.0

3.4

3.3

3.3

2.9

실업률

%

5.9

5.3

4.8

4.2

4.0

3.8

3.8

소비자물가상승률

%

0.5

-0.6

-0.5

0.2

0.8

1.0

0.9

재정수지(GDP대비)

%

-2.7

-2.1

-2.2

-2.0

-3.0

-4.1

-3.5

경상수지

억달러

136

160

121

100

108

112

122

환율(연평균)

현지화/US$

3.89

3.90

3.85

3.47

3.59

3.57

3.49

해외직접투자

억달러

67

115

123

190

n/a

n/a

n/a

외국인직접투자

억달러

36

98

125

170

n/a

n/a

n/a

* a : EIU 추산 / b : EIU 예상

* 자료원: World Bank (2019.6), EIU, IMF, 이스라엘 중앙은행

 

최근 5년간 수출입 동향

 

  ㅇ 2018년 기준 이스라엘 수출입 증가세

    - 수출은 전년도 대비 1.25% 증가한 619억 달러, 수입은 전년도 대비 15.84% 증가한 800억 달러

    - (전문가 코멘트) 이스라엘 중앙은행 연구부장 Mr. Mishel은 총수입 규모가 2017년 대비 15% 이상 크게 증가한 원인으로 현지 완성차 딜러사의 수입 물량 확대를 지목

    - 실제로 2018년 기준 이스라엘의 자동차 수입 규모는 직 전년도 대비 22.4% 증가한 267,070대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20194월로 시행이 예고된 자동차 친환경 등급 및 과세 변경으로 차량 판매 가격이 인상될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

 

* 이스라엘은 자국내 판매되는 모든 차종에 대해 CO2 5개 주요 대기오염 인자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가중평균 반영하여 15단계의 환경 등급(낮을수록 친환경)을 부여

- 등급에 따라 그린세(Green Tax)로 통칭되는 자동차 구매세를 차등 부과 (친환경일수록 저세율)

- 2년마다 구매세를 책정하는 과세 산식을 변경하여 친환경 차량의 보급을 지속 확대함과 동시에 적절한 세수를 유지

 

<이스라엘 수출입 규모>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수출

68,969

63,753

59,890

61,149

61,912

수입

72,329

62,065

65,706

69,127

80,079

무역수지

-3,360

1,688

-5,816

-,7978

-18,167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2016-2018 국가별 교역동향

 

  ㅇ 이스라엘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27.11%), 중국(7.74%), 영국(7.12%), 홍콩(6.77%)

    - 한국은 점유율 1.57%로 이스라엘의 수출 대상국 중 14위 차지

 

<국가별 수출 규모>

(단위: 백만달러,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증감률

1

미국

17,657

17,045

16,784

-1.53

2

중국

3,322

3,309

4,794

44.85

3

영국

3,913

5,168

4,409

-14.68

4

홍콩

4,416

4,216

4,190

-0.64

5

네덜란드

2,128

2,303

2,272

1.37

6

벨기에

2,502

2,704

2,176

-19.51

7

인도

2,398

1,934

2,146

10.96

8

터키

1,290

1,428

1,916

34.20

9

독일

1,518

1,638

1,786

9.06

10

프랑스

1,422

1,767

1,578

-10.71

14

한국

595

886

972

9.72

기타

19,103

19,152

18,793

-1.87

합계

59,890

61,149

61,912

1.25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이스라엘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13.72%), 미국(13.68%), 터키(8.15%), 러시아(6.08%)

    - 한국은 점유율 2.03%로 이스라엘의 수입 대상국 14

 

<국가별 수입 규모>

(단위: 백만달러,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증감률

1

중국

7,890

9,017

10,987

15.84

2

미국

7,870

7,937

10,956

21,84

3

터키

2,755

2,936

6,523

38.02

4

러시아

1,909

2,115

4,871

122.15

5

독일

4,287

4,943

4,867

130.27

6

이탈리아

3,186

3,258

3,163

-1.53

7

벨기에

3,216

3,353

3,116

-2.91

8

일본

2,688

2,385

2,858

-57.48

9

영국

1,848

1,896

2,211

19.80

10

인도

1,843

1,946

1,982

1,.85

14

한국

1,530

1,279

1,626

27.05

기타

26,594

28,062

26,919

-4.07

합계

65,706

69,127

80,079

15.84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2016-2018 품목별 교역동향

 

  ㅇ 이스라엘의 주요 수출 품목은 다이아몬드, 의약품, 전자집적회로 등

    - 다이아몬드는 국가 전체 수출의 23.1%의 비중을 차지한 주요 수출 품목으로, 주로 다이아몬드 원석을 수입하여 현지에서 세공 한 뒤에 다시 해외로 재수출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이아몬드 수요가 다소 위축되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이스라엘의 다이아몬드 수출도 2016년 대비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수출품목 1위를 유지

    - 이스라엘 전체 수출의 7.27%를 점유한 의약품의 경우, 글로벌 제약 회사인 TEVA의 생산량이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2018TEVA의 사업 부진으로 2017년도에 비해 다소 하락

     * 그러나, 호르몬제의 수출은 전년 대비 크게 상승

    - 수출의 5.26%를 차지한 전자집적회로는 대부분 INTEL ISRAEL의 수출에 의존(전자집적회로 총 수출의 약 80% 이상)하고 있으며, 2018년 인텔의 대 중국 수출이 2017년도에 비해 80% 상승하면서 품목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

 

<이스라엘 주요 수출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HS code

품목명

2016

2017

2018

증감률

1

7102

다이아몬드(세공후)

15,621

14,693

14,373

-2.18

2

3004

의약품(호르몬제)

3,893

3,152

4,503

42.85

3

8542

전자집적회로(CPU)

3,460

2,764

3,259

17.91

4

8803

항공기 부품

2,172

2,667

2,143

-19.62

5

3824

조제점결제(첨가제, 비료, 등 화학제)

934

1,383

1,948

40.79

6

8517

전화기 휴대폰(무선통신장비)

1,602

1,691

1,780

5.30

7

9018

의료기기

1,553

1,672

1,763

5.43

8

2710

석유, 원유 역청유(가스오일)

569

852

1,358

59.30

9

3808

살충제, 살사제, 살균제,

943

1,313

1,261

-4.00

10

9031

측정용 검사용 기기

847

1,104

1,162

5.21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이스라엘 주요 수입 품목은 석유, 역청유, 다이아몬드(원석), 승용차 등

    - 다이아몬드 원석은 이스라엘 전체 수입의 7.8%를 차지하는 주요 수입 품목으로 가공 후 재수출 할 목적으로 수입하고 있으나, 최근 다이아몬드 시장의 수요 감소로 이스라엘 수입 규모도 동반 축소

    - 전체 수입의 5.9%를 차지한 자동차 수입은 2019년도 그린세 변경에 따른 가격인상을 앞두고 2018년도 수입이 크게 증가

     * 이스라엘은 자국내 자동차 생산이 없어 전량을 수입에 의존

    - 국가 수입의 3%를 차지한 반도체 제조용 장비는 대부분 INTEL ISRAEL에서 사용되는 물량으로, 최근 신규공장 설립 등 공장 확장에 따른 수요를 반영하여 증가한 것으로 추정

 

<이스라엘 주요 수입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HS code

품목명

2016

2017

2018

증감률

1

2709

석유, 원유의 역청유

3,261

4,490

6,430

43.21

2

7102

다이아몬드(원석)

7,079

6,738

6,314

-6.30

3

8703

승용차

4,960

3,689

4,740

28.50

4

2710

석유, 원유 역청유(등유, 경질유)

1,720

1,932

2,672

38.29

5

8486

반도체 제조용 장비

1,764

2,165

2,410

11.35

6

8517

전화기, 휴대폰

1,612

1,970

2,164

9.86

7

3004

의약품

1,333

1,349

1,624

20.39

8

8471

자동처리기기

1,296

1,442

1,615

12.04

9

8802

항공기(비행기 헬리콥터 등)

485

357

1,441

303.16

10

8542

전자집적회로

2,724

1,044

1,221

16.97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제무역 전망 및 시사점

 

  ㅇ 이스라엘 경제지 The Marker의 분석에 따르면, 2016년 이후 이스라엘의 수출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2019년 수출은 현상유지, 수입은 다소 하락할 것으로 전망

    - (수출) 최대 고객인 미국과 EU에 대한 수출이 정체국면을 맞고 있는 가운데, 대 중국 수출이 전년도에 이어 지속 증가함에 따라 2019년도 수출은 전년과 비슷하거나 혹은 약간 증가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

    - (수입) 원유, 다이아몬드, 자동차,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주요 품목의 수요는 2019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20194월 시행된 자동차 그린세 변경으로 자동차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축소가 불가피 할 전망이며, 전체 수입 규모는 전년보다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

 

자료원: 이스라엘 중앙은행, Global Trade Atlas, 이스라엘 경제지(The Marker), 텔아비브 무역관 종합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경제 무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