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두바이도로교통청(RTA), 오는 2026년까지 두바이 내 운행 중인 리무진 90%를 하이브리드·전기차로 교체 예정 -
- 두바이 내 운영 중인 택시에 대해서도 2021년 내 하이브리드 차량 비율을 50%까지 확대할 계획 -
□ 두바이도로교통청, 친환경 녹색 리무진·택시 비율 확대 추진
ㅇ 두바이도로교통청은 오는 2026년까지 두바이 내 서비스 중인 리무진 차량의 90%를 친환경 차량으로 교체할 계획이며 마타르 알 타예르 두바이 도로교통청(RTA, Road and Transport Authority) 청장은 해당 프로젝트가 역내 최초로 실시됨을 강조.
- 두바이를 비롯한 UAE 내에는 UBER와 Careem 등 자동차 배차서비스 제공 기업들이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 형태로 리무진 차량을 운영하고 있음.
ㅇ 총 7년 간 추진될 해당 계획에 따르면, 프로젝트가 종료되는 2026년에 이르러 두바이 내 리무진 차량 중 90%가 친환경으로 대체되며 구체적으로 65%가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25%로는 전기차량으로 대체될 예정임.
- 해당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현재 6% 수준인 그린 리무진(하이브리드·전기차량)의 비율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10%, 20%, 30%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이후 2023년부터 2025년까지는 40%와 55%, 70%로 비중 확대에 속도를 내 2026년 내 그린 리무진 비율 90%라는 목표에 근접할 계획.
* 하이브리드 차량 : 화석연료와 전기모터를 동시에 동력으로 사용하는 차량
두바이 친환경 리무진 도입 계획
자료원 : Dubai Media Office
ㅇ RTA에 따르면 이번 리무진 차량 그린화는 두바이 통치자이며 UAE 총리 겸 부통령인 셰이크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이 지시한 에너지 소비 절감 목표의 일환으로 계획된 것임.
- 마타르 청장 RTA 청장에 따르면 최근 추진 중인 친환경 차량 도입 프로젝트는 택시와 리무진의 탄소 배출량 2% 감소라는 두바이 최고에너지위원회 측의 제시 목표에 부합하기 위한 계획의 일부라고 밝힘.
친환경 리무진 도입 관련 Dubai Media Office 트윗내용
자료원 : Dubai Media Office
ㅇ 한편, RTA 측 조사에 따르면 두바이 내에서만 100개사 이상의 기업에서 6,500대 가량의 리무진을 운영하고 있음. 차량 1대당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400Km로 연간 탄소배출량이 44톤에 달함.
- RTA는 관련 연구를 통해 전기 차량 사용을 통한 차량 1대 당 절감되는 비용이20,000 디르함 (한화 약 600만원)에 달하며 하이브리드 차량을 사용할 경우 절약되는 비용이 30,000 디르함 (한화 약 900만원)이라 밝힘. 아울러, 환경적인 관점에서도 전기차량은 유해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으며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일반 차량 대비 유해물질 배출이 40% 낮음.
ㅇ RTA는 전기차량 도입을 장려하기 위해 경우 첫 해에 한해 리무진 운전자들이 부담하는 프랜차이즈 비용(monthly franchise fees) 중 25% 할인 적용하고 있으며 버스 전용 차선에 대한 이용 권한도 부여하고 있음.
ㅇ 또한, RTA에서는 오는 2021년까지 두바이 택시의 50%를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교체하는 계획에 대해서도 발표한 바 있음.
- 이러한 목표에 맞춰, 두바이 내 하이브리드 택시의 차량 수는 2016년 791대에서 2021년 4,750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두바이에서 영업 중인 택시 중 하이브리드 차량의 비율은 28%이며 두바이 내 택시 운영회사 5개사 중 Dubai Taxi Corporation이 하이브리드 택시 총 2,280대를 운영하며 친환경 택시 도입을 주도하고 있음.
- 앞서, RTA는 지난 2008년부터 4년 간 내 최초로 하이브리드/전기 택시를 시험적으로 운영했으며 이를 통해 RTA는 경제·환경적인 측면에서 친환경 택시 도입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림.
ㅇ 최근 RTA에서는 전기/하이브리드 택시 도입 이후 수소 택시 도입을 추진하고자 시험 운영 중에 있음.
- 시험 운영에는 Toyota Mirai 모델이 사용되고 있으며 배기가스와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1회 충전으로 500Km 운행이 가능하고 충전에는 통상 5분이 소요됨.
RTA의 Toyota Mirai 수소택시 시험 운행
자료원 : RTA
□ 친환경 차량도입 및 탄소저감 관련 정부 정책
ㅇ 두바이 정보는 단기적으로 오는 2021년 내로 탄소 배출량을 16% 저감하고 장기적으로는 2050년까지 두바이를 탄소발자국(이산화탄소 배출량) 최저 지역으로 도약시키고자 ‘Dubai Clean Energy Strategy 2050’을 추진하고 있음.
- 1,000억 디르함(USD 270억) 규모의 기금이 두바이의 녹색산업에 책정됐으며 정부에서는 녹색 교통수단(전기/하이브리드/수소) 개발 및 도입에 대한 다양한 장려책을 내놓고 있음.
- 탄소배출 저감 계획의 일환으로 두바이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두바이 내 신규 등록 차량 중 하이브리드/전기 차량의 비율을 10%로 확대할 계획이며, 같은 해 두바이 내 전체 차량 중 하이브리드/전기 차량의 비율을 2%로 늘릴 계획임.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오는 2030년까지 이러한 비율을 10%까지 확대할 것이라 발표함.
ㅇ 특히, 두바이 최고에너지위원회는 두바이수전력청(DEWA, Dubai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 및 RTA와 2021년 내 총 탄소 배출량의 16%를 절감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목표와 지원정책을 발표
- 정부 산하 기관에는 운영하는 차량에 대한 하이브리드/전기 차량의 최소 비중이 주어졌으며 민간에서도 S.S Lootah Group과 같은 대기업이 ‘Green Car Programme’과 같은 자체 캠페인을 통해 기업 소유의 차량을 전수 전기/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대체하는 등 목표 달성을 위한 민관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음.
- 아울러, DEWA 측에서도 ‘Dubai Clean Energy Strategy 2050’의 일환으로 2015년 ‘EV Green Charger Initiative’를 발표하고 전기차 충전소 100개소를 두바이 내 설치한 바 있으며 2018년 10월에는 신규 충전소 100개소를 추가 설치해 현재 두바이 내 전기차 충전소는 200개소가 운영되고 있음. 충전소는 두바이 공항과 시청, RTA 및 주요 쇼핑몰, 주유소, 호텔 및 주차장 등이며 향후 충전소 설치 지역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시사점
ㅇ 최근 영국과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들이 화석연료를 태우는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금지 및 비율 축소 계획을 연달아 발표함에 따라, 중국과 인도 등 후발국에서도 관련 계획을 검토하거나 발표하고 있음. UAE에서도 관련 전략과 정책을 내놓으며 친환경 차량 도입을 장려하고 있으며 UAE 내 친환경 차량 관련 수요는 향후 더욱 증가할 것이라 예상됨.
- UAE 정부의 친환경 차량 개발 및 도입은 포스트 오일시대를 대비한 대체에너지 부문 개발과 화석연료 사용량 감축을 통한 탄소배출량 저감이라는 산업·환경의 양 부문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정부의 관심과 투자는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것이라 판단됨.
ㅇ DEWA와 RTA 측에서는 연도별 하이브리드/전기 차량 도입 목표(비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이러한 비율에 맞춰 두바이 내 친환경 차량의 숫자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완성차뿐만 아니라 부속·부품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이라 판단됨.
- 여타 토후들에서도 친환경 차량 도입에 점차 적극적인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UAE 전역에서 관련 수요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됨.
자료원 : RTA, DEWA, 현지언론(걸프뉴스, 더 네셔널), Dubai Media Office. Dubai Economic Report 2018 및 KOTRA 두바이무역관 자료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인식부터 인공지능까지, 무한한 가능성의 자연어 처리 시장 (0) | 2019.07.17 |
---|---|
미국 유모차 및 카시트 시장동향 (0) | 2019.07.16 |
현장에서 듣는 중일합자병원 진출사례 (0) | 2019.07.16 |
맥주 강국 체코, 최근 맥주 소비 트렌드는? (0) | 2019.07.15 |
러시아 유통업체, 의약품 온라인 판매 추진 (0) | 2019.07.15 |
- 인도네시아
- 화장품
- 브라질
- 코로나
- 미국
- 남아공
- 콜롬비아
- 영국
- 미얀마
- 중국
- 스페인
- 리우올림픽
- 태국
- 싱가포르
- 독일
- 네델란드
- 이란
- 칠레
- 자동차
- 리우
- 프랑스
- 에콰도르
- 홍콩
- 말레이시아
- 베트남
- 필리핀
- 러시아
- 이스라엘
- 캐나다
- 이집트
- 일본
- 삼성
- 인도
- 올림픽
- 전시회
- 삼성전자
- 터키
- 호주
- 멕시코
- 브렉시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