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전북소재 13개 기업, 우즈베키스탄 현지 바이어들과 수출 상담회 진행 –
-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현지화를 통한 제조 정책을 강조함에 따라 현지 투자, 진출 등의 협력 기회 증가할 것 -
□ 사절단 개요
ㅇ 2019년 7월 3일 타슈켄트 윈덤 호텔에서 전북 소재 우리 기업 13개사와 우즈베키스탄 현지 바이어간 총 58건의 상담이 진행됨. 국내 기업은 자동차 부품, 금형, 블랙박스, 특장차 등 자동차 산업 관련 기업들이 주로 참가하였음. GM 사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동차 관련 기업들의 새로운 수출 판로를 개척하고자 기획되었음.
ㅇ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자동차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구 3,200만의 소비시장이자 인근 CIS국가로도 자동차를 수출할 만큼 자동차 관련 산업이 발전해 있음.
- 우즈베키스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약 21만 대의 자동차가 생산되었으며 주요 생산 모델은 넥시아(59,343대), 코발트(R4) (37,626대), 다마스(34,618대), 라쎄티(젠트라) (33,314대), 스파크(R2) (29,092대), 말리부(6624대), 마티즈(5,200대) 등 이었음.
ㅇ 한국과는 1990년대 대우자동차 진출 이후 지속적인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국내 자동차 관련 기업들이 우즈베키스탄 기업과 합작 형태로 진출함. 더불어 수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2018년 한국의 대 우즈베키스탄 전체 수출액 21억 1,745달러 중, 자동차 부품 수출액이 약 38%에 달하는 8억 1,962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2019년에도 5월 현재 3억 4,902달러로 전년대비 35.8%가 늘었음.
최근 3개년 대 우즈베키스탄 수출 상위 15개품목
(단위 : 천 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