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이란 내 자동차 인구의 증가에 따라 운전중 사용 가능한 핸즈프리 제품 수요 증가 추세 -

- 지난 3년간 이란 스피커 수입규모 하락 중인 중국, UAE, 오만과 달리, 한국은 지난해에 비해 67.8% 증가  -




[안 내 말 씀]

 

미국의 이란 제재 예외인정기간이 5213(미국시각 5124) 부로 종료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 및 기업은행의 원화결제시스템 운영이 중단되어, 한국과 이란 간 원화결제계좌를 이용한 수출입 교역이 불가함을 알려드립니다. (53일자 정부 공고문 게재 내용)

 

따라서, 동 보고서는 비록 현시점 이란 진출이 불가능한 상황이나 평소 이란 시장에 관심이 있으신 기업들의 현지 시장 동향 업데이트 수요를 위해 작성되었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시장 개요 및 동향


   ㅇ 스마트폰이 필수품이 된 요즘, 헤드셋 등 핸즈프리 장치와 같은 다양한 편의성 액세서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가 중요한 시대가 됨.

    - 현지 주요 일간지 ISNA는 현재 이란 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택시 앱 '스냅(Snapp)' 사용자는 올해 5월 기준 2,400만 명으로 그 중 150만 명이 택시 운전자이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고 보도함.

    - 이란은 국내 교통법에 따라 운전 중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실제 운전자 중 네비게이션을 별도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적고 대부분 핸즈프리 제품을 사용함.


   ㅇ 제스처 인식 및 제어, 능동 헤드 트레킹, 생체 모니터링, 3D 서라운드 사운드 전달 등 신기술 통합의 시대를 목격하고 있는 현재, 이란 헤드셋 제품은 아래와 같이 분류 가능

     - 종류: On-ear, Over-ear, 이어버드, 인이어 헤드폰 등

     - 응용 프로그램: 스포츠, 음악,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등


□ 수입규모


   ㅇ 2018년 이란 스피커 전체 수입 통계는 약 1,800만 달러이며, 이 중 한국에서 약 144만 달러 규모의 수입액을 기록

     - 작년 중국이 약 1,100만 달러의 수입량으로 1위를 차지했고, 아랍에미리트와 오만이 각각 2, 3위를 차지함.

     - 중국, 아랍에미리트, 오만의 시장점유율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대폭 증가

 

이란 스피커 수입액 동향(HS code: 851829)

국가명

미국 달러(USD)

점유율(%)

증감률(%)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8/2017

전체

17,970,583

25,048,427

18,116,357

100.00

100.00

100.00

- 27.67

중국

6,890,398

14,645,733

11,181,183

38.34

58.47

61.72

- 23.66

UAE

5,042,984

5,760,867

3,342,139

28.06

23.00

18.45

- 41.99

오만

2,871,804

2,627,278

1,682,436

15.98

10.49

9.29

- 35.96

한국

2,823,553

858,002

1,439,733

15.71

3.43

7.95

67.80

대만

66,560

50,636

141,057

0.37

0.20

0.78

178.57

인도네시아

71,500

96,440

72,581

0.40

0.39

0.40

- 24.74

홍콩

2,090

900

54,443

0.01

0.00

0.30

5949.22

터키

26,079

26,505

45,142

0.15

0.11

0.25

70.32

러시아

33,993

40,459

34,207

0.19

0.16

0.19

- 15.45

이탈리아

6,738

12,147

29,481

0.04

0.05

0.16

142.70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국가별 이란 내 수입시장 점유율(2016~2018)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현지 주요 헤드폰 브랜드 목록


국가명

브랜드명

모델명 및 이미지

비고

중국

Jabra

 - Jabra Style Bluetooth Hands-free

 - Jabra WAVE Bluetooth Hands-free

 - HOCO E7 Bluetooth Hands-free


헤드폰 관련 유명 브랜드 중 하나로

고품질 제품 생산을 통해

이란 내 광범위한 사용자 보유

중국

Hoco

 - Hoco E10 Bluetooth Hands-free

 - Jabra Steel Bluetooth Hands-free

 - HOCO E13 Bluetooth Hands-free

 - Hoco E1 Bluetooth Hands-free

 사용자의 귀에 적합한 사이즈로 디자인 되어 현지인들이 많이 찾는 헤드폰 생산 브랜드

중국

Remax

 Remax RB-T3 Bluetooth Hands-free


가격 대비 우수한 품질의 헤드폰을 생산해 이란 시장 내 좋은 점유율을 보유 중인

핸즈프리 브랜드

중국

TSCO

 TSCO TH 5325 Bluetooth Hands-free


 높은 음성 전송 기술을 이용하는

유명 핸즈프리 브랜드

중국

Havit

 Havit H961BT Bluetooth Hands-free


기술 애호가들에게 유명한 브랜드로

 적절한 가격과 품질이 제품의 성공요인

한국

AWEI

 AWEI Bluetooth Headset A830BL


이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수준의 가격과 품질을 제공해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자료원: www.plaza.ir


□ 유통 구조


   ㅇ 이란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에 따르면, 무선 헤드셋 제품에 대한 현지 유통 구조는 아래와 같음.

 

자료원: KOTRA 테헤란무역관


□ 가격


   ㅇ 헤드셋 제품의 가격은 품질, 모델, 종류에 따라 가격차이가 존재함.

    - 이란의 온라인 매장 D사에 따르면, 저품질의 경우 4~10 USD에서 고품질의 경우 15~80 USD정도로 측정되나, 이에 벗어난 가격의 제품도 있음. (시장환율 143,000리얄 기준)


□ 수입 정책 및 관세율


   ㅇ 국가의 수입 정책 규정에 의하면, 해당 제품 수입 시 아래의 정부 산하 기관 승인을 받아야 함. 

    - 이란 산업통상자원부 허가(www.mimt.gov.ir)

    - 이란 표준연구소(www.isiri.org)

    - 이란 Code Organization  내 수입업체 등록(www.irancode.ir)

    - 이란 통신관리국(www.cra.ir): 무선제품만 해당되며, 계약 하에 있는 이란 업체는 무선 서비스 등록 라이선스 소지 필수

 

   ㅇ 최근 이란 관세청에 의해 발표된 수출입 규정에 따르면, 수입세액과 부가가치세는 아래와 같으며 해당 분야는 국경무역할인(border trade discount)이나 관세사용자의 선호도(tariff user preferences)가 없음.

 

HS 코드

부가가치세(VAT)

수입 관세

총 수입세

8518.29

9%

10%

19% (U)

자료원: 이란 관세청


□ 이란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


   ㅇ A사

     - 동사의 대표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란 내 헤드셋 소비자는 크게 세 분류로 구분 가능하며 이 중 첫 번째와 세 번째 소비자층이 이란 내 대다수를 이룸.

     - 첫 번째, 가격에 상관없이 유명 브랜드를 선호하는 층

     - 두 번쨰, 저렴한 가격에 좋은 브랜드를 원해 모조품을 구매하는 층

     - 세 번째, 저렴한 가격의 제품만을 선호하는 층

     - 동사는 이란 내 비즈니스를 원하는 우리 기업과 협업을 희망함.

 

    ㅇ R사

     - 동사는 고급 브랜드를 수입하고 유통업체로부터 중국 브랜드를 공급하고 있는 자회사

     - 이란 내 핸즈프리 시장은 제품의 소비재적 특성 및 젊은 층의 수요 증가로 인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라고 언급함.


□ 시사점


   ㅇ 이란 내 자동차 운전 인구수가 증가함에 따라 운전 중 모바일 사용을 위해 핸즈프리 헤드셋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면서 이에 대한 수요 또한 점점 증가하는 추세

  

    ㅇ 이란 상황을 고려해 이란 기업들은 외국제품 수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우리 기업도 이란과의 교역조건에 대해 이해하고 추후 거래를 위해 현지 시장에 대한 정보를 꾸준히 조사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현지 주요 일간지 ISNA, Global Trade Atlas, 이란 관세청,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 및 KOTRA 테헤란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산업 상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