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에티오피아 물류 운송, 이것만은 알아두자
- 내륙 국가로 ESL 이용 -
- 선적국-지부티(Djibouti)-에티오피아 Dry Port 운송 -
약자 정리
ESL | Ethiopian Shipping & Logistics Services Enterprise |
RO-RO | Roll-on / Roll-off |
T/S Port | Transshipment Port |
CIQ | Customs, Immigration and Quarantine |
D/O | Delivery Order |
□ 에티오피아-지부티 물류 운송 개요
○ 1996년 에리트리아(Eritrea) 독립 후 에티오피아 내륙 국가가 됐음.
○ 에리트리아 Assab항 대신 지부티 항구를 환적항으로 이용
- 1966년부터 국영 해운 회사인 ESL 운영 중
- 에티오피아향 모든 화물은 지부티를 경유해 모조(Modjo) Dry Port 등 내륙 운송
- 지부티항은 아시아와 지중해를 잊는 교통의 요지에 위치해 있으며, 모든 종류의 선박 접안이 가능하며 에티오피아향 화물의 해상 운송에는 문제가 없음.
내륙 지부티-모조 소요시간
자료원: Google Map
○ 지부티 Port 개요
- Container, RO-RO, Bulk등 Service 가능
- 24시간 운용 체제
- Max Draft 12m, Heavy Cargo Handling 가능
- 2015년 container 910,165TEU 처리
- 50Ton Capacity의 Shore Crane 4기 보유
- 각종 하역 장비 보유(Reach Stacker, Forklift등
지부티 Port
자료원: Google Map
□ 해상 운송 루트(Route)
○ 컨테이너 Route
- 아시아, 중국, 중동, 유럽 주요 항구 → 지부티(T/S port) 구간에는 사선과 타사 선복 임차해 서비스 제공
- 한국 → 지부티(T/S port) 구간에는 타사 선복 임차해 서비스 제공
- ESL에서 Inland Dry Port까지 운송
- 2015년도까지 미국 서비스는 없었으나, 서비스 준비 중
- 선적 지역에 따라 ESL 측과 서비스 및 운임 개별 확인 필요함.
○ Break Bulk Route
- 아시아, 중국, 중동, 유럽 주요 항구에 투입되는 사선은 Semi-Container 선박으로 Bulk 화물 선적 가능
- Bulk 화물량에 따라 비정기 서비스 항구에 대한 직접 기항 여부 결정
· Min. Inducement 2500~3000cbm
- 한국발 Bulk 화물인 경우, Bulk 서비스 불가하며 RORO 선박을 이용하거나 ESL 측과 별도 협의 필요
- Bulk 화물인 경우, 지부티까지 서비스 이용 가능
○ RORO Route
- 지부티까지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컨테이너 선사 및 지부티에서의 T/S Operation
○ 에티오피아 은행과 연계된 수출입 화물인 경우
- 반드시 ESL 이용해야 함.
○ 에티오피아 은행과 연계되지 않은 수출입 화물인 경우
- 반드시 ESL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여러 선사 중 한곳을 이용할 수 있음.
- 단, 이 같은 경우에는 해상 운송이 지부티까지 이루어지고, 수입자가 직접 컨테이너를 Addis Ababa까지 운송해 통관 후, 화물 인도 및 공컨테이너 반납을 해야 함(Single Window Processing).
· 지부티에서의 통관 지연에 따른 화물의 장기 보관 우려
○ 지부티에서의 T/S Operation 관련 사항
- 에티오피아, 지부티에서 보세운송을 위한 통관을 진행. 화물 도착 전 원본 서류로 사전 관련 업무 진행
- 지부티 무료 장치 기간은 8일이고, Over-storage 비용이 높으며, 사전에 정확한 서류 작성이 필수
· 원본 서류 수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임.
- M.B/L로만 진행하고, 서류 변경의 어려움으로 Switch B/L 발행을 선호하지 않음.
· Switch B/L 변경으로 인해 지부티에서의 장기 보관 경우 발생 다수 있음.
- 컨테이너 화물인 경우에는 ESL 이용해 모조 Dry Port 또는 내륙 Dry Port까지 운송하는 것이 지부티에서의 T/S Operation(Multimodal Processing)으로 인한 문제를 피할 수 있는 방법임.
□ 면세 서류 준비 및 승인 절차, 통관 서류
Flow Chart | Contents |
ㅇ 면세 화물 통관 시 필요 서류 - 원본 B/L, 원본 P/L & C/I, C/O, 운임 송금증, Bank Permit, Duty Exemption Letter, CIQ 서류(중국발 화물에만 해당)
ㅇ 면세 List상에 'set' 등으로 전체 제품을 표기된 경우, 제조자 및 물품 상세(제조번호, 제원 등) 요청이 있을 수 있으니 물품별로 사전 확인 필요
ㅇ 면세 서류는 B/L건별로 발급 요청 권고 |
자료원: 현지 로지스틱 업체
□ ESL 기준 해상 운임 및 현지 수수료(통상적인 수준의 수수료로서 선사별로는 차이가 있음)
○ 해상 운임
(단위: 달러)
컨테이너 규격 | 가격 |
20ft Dry Container | 899 |
40ft Dry Container | 1,552 |
40ft High Cubic | 1,652 |
주: 선사에 지급하는 실 운임으로, handling fee 추가 협의 필요
자료원: 현지 로지스틱 업체
○ 지부티-모조 운송료
(단위: 달러)
20ft | 596 |
40ft | 976 |
주1: 모조까지 내륙 운송료: 화물 무게에 따라 변동
주2: T/S Customs fee, 모조까지 내륙 운송료는 계약 조건에 따라 Shipper or Consignee 지급 가능
자료원: 현지 로지스틱 업체
○ 특이사항
- 6개월마다 운임은 Revise되며, 모든 화주사에게 동일한 운임 적용
- 특수 컨테이너 및 Bulk 화물은 지부티까지 운송하며, 운임은 선적 시점에 별도 협의 필요
- CNTR Deposit 금액 지급을 해야만 D/O 발행 가능(수입자 직접 선사에 지급)
□ Dry Port까지의 내륙 운송 및 선적 관련 특이사항
○ 지부티에서 에티오피아까지의 트럭 운송
- 에티오피아 내 Dry Port로 보세 운송(예: 모조 Port, 칼리티(Kality) etc)
- 수화인 공장에 보세구역으로 지정된 경우, 에티오피아 선사에서는 지부티에서 직접적으로 수화인 지정 보세구역으로 운송 서비스 가능(예약 시, 사전에 서비스 제공 가능 및 비용 확인 필수)
○ 지부터에서 에티오피아까지의 철도 운송(2016년 8월 19일 기준)
- 지부티에서 Addis Ababa까지 시범 운송을 시행한다고 하나,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나지 않은 상황임.
- 모조 Station은 아직 공사 중이며, 지부티-모조 Dry Port 구간 시범 운송 일정은 미정
- 투자청에서는 9월 중에 서비스 제공 가능하다고 했으나, 현재까지 지부티 및 모조 Dry Port 공사 중
· 금년 말이나 내년 초에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전반적인 물류 업체들의 의견
· 현재까지 운영사 및 관련 운송료 확정, 공표된 것이 없음.
○ 에티오피아 선사 선적 시 특이사항
- 예약 시 사전 확인 사항: Consignee의 TIN Number, Area Code, 주소, 담당자 및 연락처
- 화물의 실제 선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L/C copy 또는 T/T 계약서 등을 요청하는 경우 있음.
- 국영 선사로 6개월 단위로 단일 운임이 적용되며, 운임 구성으로는 해상 운임+ 지부티 T/S cost+지부티 Dry Port 간 내륙 운송료(매년 4월, 10월 운임 및 내륙 운송료 갱신)
- 지부티 및 에티오피아 내륙 Dry Port 경유한 화물 운송이 이루어지는 복잡성을 고려해, 통관과 운송 경험이 있는 운송업체를 통해 공사 현장 또는 공장까지 일괄 운송하는 것을 추천
자료원: 현지 로지스틱 인터뷰, 주재원 자료 모음 및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 나무에서 얻는 철보다 5배 강한 신소재 ‘CNF’ 주목 (0) | 2016.08.31 |
---|---|
독일, EU 에코라벨 기준 강화 (0) | 2016.08.31 |
일본 기업, 지구상 마지막 기회의 땅 아프리카에 주목 (0) | 2016.08.31 |
케냐 수출 시 컨테이너에 수입표준인증 스티커 봉인 의무화 (0) | 2016.08.31 |
[무역관 르포] 장수의 나라, 불가리아 요구르트 (0) | 2016.08.30 |
- 삼성
- 리우올림픽
- 에콰도르
- 홍콩
- 캐나다
- 브라질
- 코로나
- 인도
- 이집트
- 필리핀
- 자동차
- 이스라엘
- 스페인
- 미얀마
- 독일
- 말레이시아
- 호주
- 이란
- 베트남
- 프랑스
- 태국
- 터키
- 일본
- 화장품
- 칠레
- 러시아
- 미국
- 영국
- 네델란드
- 싱가포르
- 콜롬비아
- 리우
- 삼성전자
- 남아공
- 중국
- 브렉시트
- 올림픽
- 멕시코
- 전시회
- 인도네시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