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재청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南楊州 水鐘寺 舍利塔)’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수종사에 전해오는 석조 사리탑으로, 총 높이 2.3m로 전체적으로 8각을 기본 형태로 2단을 이루는 기단위에 둥근 구형의 탑신을 올리고 옥개석(屋蓋石,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 |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전경(맨 왼쪽)과 삼층석탑(가운데), 팔각오층석탑(오른쪽, 보물 제1808호). (사진=문화재청)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보물 제1808호)과 삼층석탑(비지정) 등과 함께 대웅전 옆에 자리한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1439년(세종 21년)에 왕실의 발원으로 제작되었으며 태종 이방원(1367∼1422)의 딸 정혜옹주(?~1424)를 위한 사리탑으로 확인된다.
처마가 두터운 옥개석의 낙수면에는 “태종의 첫 번째 후궁인 의빈 권씨(1384∼1446)가 정혜옹주의 사리탑을 조성했는데, 문화 류씨와 금성대군(1426∼1457)이 시주했으며, 정통 4년 기미년(1439년) 10월에 세움*”이라는 명문이 오목새김(음각)되어있다.
* 원문 : 太宗 太后/貞惠 翁主/舍利 造塔/施主 文化 柳氏/錦城 大君 正統/四年 己未 十月日(태종 태후/정혜 옹주/사리 조탑/시주 문화 류씨/금성 대군 정통/사년 기미 십월일)
이 사리탑은 지대석으로부터 기단부와 탑신부, 옥개석과 상륜부가 완전히 남아 있으며, 탑 안에 왕실에서 가지고 있던 사리가 봉안되었던 점을 비춰볼 때 조선 초기 왕실의 불교신앙과 그 조형의 새로운 경향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지난 10월 4일에 김홍도가 그린 8폭 병풍인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를 보물 제2000호로 지정한 바 있다.
문의 :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042-481-4918)
[자료제공 :

'정책 뉴스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34년 자격루와 우리가 기록한 시간 (0) | 2018.12.13 |
---|---|
응답하라 1960···그때 그 시절, 1960년대 문화영화 (0) | 2018.12.12 |
겨울이라서 더 신나는 농촌여행 떠나볼까 (0) | 2018.12.06 |
꼭 가보고 싶은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여행지는? (0) | 2018.12.06 |
서울독립영화제서 12월 1~6일 ‘통일영화기획전’ (0) | 2018.12.05 |
- 남아공
- 인도
- 중국
- 미국
- 미얀마
- 캐나다
- 전시회
- 홍콩
- 브렉시트
- 삼성전자
- 말레이시아
- 콜롬비아
- 삼성
- 터키
- 브라질
- 영국
- 올림픽
- 이란
- 태국
- 싱가포르
- 네델란드
- 호주
- 코로나
- 화장품
- 일본
- 리우올림픽
- 에콰도르
- 러시아
- 프랑스
- 칠레
- 리우
- 이스라엘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이집트
- 스페인
- 베트남
- 멕시코
- 자동차
- 독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