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라오스 운송업계, 높은 물류 운송비용 낮추기 위해 내륙항 건설 필요성 언급 -
- 우리나라 주요 항만 등 운영노하우 전수 희망한다고 전해 -
□ 내륙항 지정 현황
ㅇ 라오스는 2013년 UN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ESCAP)와 '내륙항에 관한 정부 간 협정'에 서명하고 비엔티안주 타날랭, 사바나켓주 사반 등 9개를 국제적 내륙항으로 지정함.
- 내륙항(Dry Port)란 국제무역 화물의 취급, 보관, 검역 및 통관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교통수단으로 연결된 내륙의 물류센터로서 내륙에 위치한 항을 일컬음.
- 수출입 화물의 통관에 필요한 업무를 취급하며 기지 주변의 편리한 교통망을 활용해 컨테이너 화물 등을 운송하고, 또한 컨테이너 야적장에 컨테이너를 대량 보관하는 항만 기능을 보유함.
ㅇ 현재 운영 중인 국제적 내륙항은 사반(사바나켓주) 1개이며, 나머지 8개는 개발을 검토 중이거나 개발 참여를 기다리는 상황임.
라오스 내륙항 지정현황
| |
자료원: 라오스 공공건설교통부(Ministry of Public Work and Transport)
□ 내륙항 개발 필요성 및 개발방향
ㅇ 내륙국인 라오스는 수출입 물류에서 태국 등 인근국을 경유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상운송 대비 과도한 물류비가 발생하는 점 등이 무역의 난점으로 꼽히고 있음.
- 내륙항은 국제화물 처리에 필요한 세관, 검역, 컨테이너 야적장 등의 기능이 집합돼 있어 화물 운송, 특히 육로 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또한 외국 연안국에 의존하던 항구기능을 부분적으로 라오스 당국의 통제하에 재배치시키기 때문에 외국 항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에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음.
일본 JETRO의 라오스 물류비용 분석
일본 JETRO는 2016년 라오스 물류비용 분석보고서를 통해 라오스와 태국 람차방 항구 간 빈 컨테이너의 이동을 라오스의 높은 물류비용의 원인 중 하나로 꼽음. 외국 선사의 컨테이너가 라오스로 배송될 때와는 달리, 태국 람차방 항구로 다시 돌아갈 때 빈 컨테이너로 운송되기 때문에 물류비용이 비싸다고 지적함. JETRO는 이를 포워더가 자국의 내륙항 또는 내륙물류기지의 컨테이너를 활용한다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함. |
자료원: JETRO, 라오스 물류비용 분석(2016)
- 라오스는 내륙항을 고속도로, 철도 등 주요 인프라와 연계해 △물류비용 및 시간 단축, △ 물동량 처리 증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경제적 효과를 실현하고, 나아가 아세안 물류네트워크 허브가 되고자 함.
내륙항 주요 인프라 연계 계획
도로 | 철도 |
자료원: 라오스 공공건설교통부(Ministry of Public Work and Transport)
□ 사반 내륙항(Savan Dry Port) 운영현황
ㅇ 사반 내륙항은 2016년 운영을 시작한 라오스 첫 내륙항으로, 라오스 최대 공업지역인 남부 사반나켓주 경제특구에 위치하고 있음.
- 운영주체: Savan Logistics Company(민간회사)
- 위치: 라오스 남부 사반나켓 경제특구 Zone C
- 처리물동량: 월 트럭 500대
- 주요 시설현황: 컨테이너 야적장, 보세화물창고, 운영 건물(세관, 검역소), 차량 및 컨테이너 정비고 등
- 특기사항: 사반나켓 경제특구에 위치한 기업 400여 개의 물류를 주로 처리하고 있음. 태국과 베트남을 잇는 동서회랑의 중심에 위치함.
| |
자료원: Savan Logistics
□ 관계자 인터뷰
ㅇ 지난 3월 28일, 라오스 산업부가 개최한 Public Private Partnership에서 라오스 국제운송연합회장인 Mr. Sakhone Philangam은 라오스의 높은 물류비용의 주요 원인은 각 세관에서 물동량을 처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언급함.
- 운송업계에서 시간은 곧 돈이라고 하며, 물동량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륙항 설치 등의 물류 인프라 개선과 외국 주요 항구의 운영 노하우 전수가 필요하다고 주장함.
- 특히 시설 투자보다는 운영 노하우 전수를 강조하며, 현재 라오스에는 Savan 내륙항이 운영 중이지만 노하우가 부족해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다고 언급함.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부산항 등의 운영 노하우 전수를 희망한다고 덧붙임.
ㅇ 익명을 요구한 라오스의 한 수입유통업체는 라오스 세관에서 모든 Dry 컨테이너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해 통관에 매우 오랜 시간이 든다고 언급함.
- 각 세관에서 수입품에 대한 조사를 Packing list와 일일이 대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어, 통관 과정에서 제품이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함.
□ 경쟁국 동향 및 우리나라 참여방안
ㅇ 일본은 수도인 비엔티안에 내륙물류기지(Vientiane Logistics Park, VLP) 건설을 민관합작투자(PPP) 형태*로 추진하기 위해 현재 F/S 절차를 진행 중임.
* 참여주체: JICA- Lao Government – Nippon Koei
ㅇ 우리나라는 현재 운영 중인 주요 항만, 내륙기지 운영 노하우 등을 KSP 등의 형태로 전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미얀마 2018 KSP 타당성 검토 진행 중).
일본 비엔티안 내륙물류기지 개발계획
자료원: 라오스 기획투자부(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17년 10월 30일)
자료원: 라오스 건설교통부, 기획투자부, 산업부,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6회 파나마 종합박람회 참관후기 (0) | 2018.04.04 |
---|---|
콜롬비아, 총선 결과에 따른 새 정책 방향 (0) | 2018.04.04 |
바이크 매니아들의 성지, 2018년 오사카 모터사이클 쇼 참관기 (0) | 2018.04.03 |
온라인으로 커가는 호주 주방 건강가전 시장 (0) | 2018.04.03 |
2018년 제14회 중국(톈진) 국제공업박람회(CIEX) 참관기 (0) | 2018.04.02 |
- 네델란드
- 멕시코
- 독일
- 호주
- 캐나다
- 리우
- 베트남
- 전시회
- 삼성전자
- 이집트
- 필리핀
- 리우올림픽
- 삼성
- 싱가포르
- 올림픽
- 화장품
- 홍콩
- 태국
- 인도네시아
- 중국
- 미얀마
- 터키
- 일본
- 브렉시트
- 미국
- 콜롬비아
- 이란
- 러시아
- 프랑스
- 스페인
- 이스라엘
- 코로나
- 영국
- 말레이시아
- 인도
- 브라질
- 남아공
- 자동차
- 에콰도르
- 칠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