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경제침체로 자동차용 A/S 부품은 오히려 수입 증가 -
- 자동차부품 전문 수출업체 진입상태로 가격경쟁력, 소량 및 빠른 납기가 수출 Key Point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자동차부품(HS Code 8708) 하위 제품 14개품
HS Code | 제품명 | 비고 |
8708.10 | Bumpers and parts thereof, for the vehicles of no. 8701 to 8705 | 범퍼류 |
8708.21 | Parts of bodies, safety seat belts | 바디류 |
8708.29 | Parts and accessories, of bodies, other than safety seat belts. | 차량 차체의 기타부품 및 부속품 |
8708.30 | Brakes, servo-brakes and parts thereof. | 브레이크 부품 |
8708.40 | Gearboxes and parts thereof. | 기어박스, 관련 부품 |
8708.50 | drive-axles with differential, Transmission components | 차축, 미션, 부품 |
8708.70 | Road wheels and parts and accessories thereof. | 타이어 |
8708.80 | Suspension systems and parts thereof(including shock absorbers) | 서스펜션 |
8708.91 | Radiators and parts thereof. | 라디에이터 |
8708.92 | Silencers(mufflers) and exhaust pipes; parts thereof. | 소음기, 배기관부품 |
8708.93 | Clutches and parts thereof. | 클러치 |
8708.94 | Steering wheels, steering columns and steering boxes; parts thereof. | 운전대, 조향부품류 |
8708.95 | Safety airbags with inflater system; parts thereof | 에어백 |
8708.99 | Vehicle parts and accessories; n.e.c. in heading no. 8708. | 기타자동차부품 |
자료원: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관세청
□ 선정 사유
ㅇ 아제르바이잔은 대부분의 완성차를 수입 중. 2015~2016년 경제위기로 완성차 판매는 침체됐으나 반대급부로 차량 수리용 A/S 부품이 증가함.
- 현지에 벨라루스, 중국 기업과 합작으로 설립한 차량 생산공장이 2개 있음.
- 벨라루스와의 합작 공장은 대형 트럭을 생산하며 중국 합작공장은 승용차 LIFAN 820, 720, SUV 차량인 X50, X60을 조립생산 중. 그러나 아직까지 판매량은 저조함.
ㅇ 중소형 승용차 시장에서 현대·기아차의 높은 시장 비중
- 2016년 통계청 기준 아제르바이잔 내 차량 브랜드별 비중은 현대·기아차가 8.1%인 것으로 조사되나, 신차 판매를 기준할 때 현대·기아차는 13~15%를 차지하는 등 한국차의 시장 비중이 큼.
ㅇ 10년 이상된 차량 비중이 높아 A/S 부품 수요 많음.
- 2016년 현지에 등록된 승용차 대수는 113만6983대로 5년 미만 14만1601대(12%), 5~10년 미만 23만7740대(21%), 10년 이상 75만7642대(67%)로 대부분의 차량이 노후화돼 이에 대한 부품 수요 역시 큼.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자동차부품(HS Code 8708 하위제품 14개품)의 수입 규모는 4684만4000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71.7%가 증가함.
- 현지 경제위기로 2015년 크게 수입량이 감소했으나 2016년부터 빠르게 회복 중
ㅇ 2017년 1~9월 수입액은 3699만 달러를 기록 중. 이러한 추세라면 2017년 총 수입액이 전년보다 약 5%가 증가한 4931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 수입동향(HS Code 8708 기준)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1~9월 |
수입 규모(만 달러) | 2,729.0 | 4,684.4 | 3,699.8 |
자료원: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 최근 3년 수입 상위 10개국 및 대한 수입 동향
ㅇ 2017년 1~9월 기준, HS Code 8708 하위제품 14개품 중에서 가장 수입이 많은 부품은 HS Code 8708.99 제품으로 총 1528만 달러가 수입됨.
- 여러 자동차부품이 편의상 HS Code 8708.99로 분류돼 수입돼 수입액이 큰 것으로 추정됨.
- 2015~2015년에도 HS Code 8708.99 제품의 수입이 가장 많았음.
- 수입 상위 5개국은 터키, 독일, 중국, 일본, 독일이며 한국은 7위를 차지(2017년 1~9월 기준)
ㅇ 두 번째로 수입이 많은 제품은 브레이크(Brake: HS Code 8708.40)로 총 565만 달러가 수입됨.
- 현지에서 운행 중인 완성차용 A/S용 수요로 독일, 중국, 일본, 한국, 멕시코가 주요 수입국임.
ㅇ 그 다음으로 수입이 많은 제품은 차량 차제(Body: HS Code 8708.29)로 주요 수입국은 중국 한국, 터키, 독일 순임.
ㅇ 한국은 러시아, 중국, 터키, 독일, 일본과 함께 전 품목에서 상위를 차지하고 있음.
- 러시아산 부품 수요가 많은 것은 Lada 등 러시아산 저가 차량의 현지 비중이 큼. 러시아 딜러를 통해 해외 부품이 러시아를 통해 재수입되는 경우도 많은 것에서 기인함.
- 독일·일본·한국산 완성차 비중이 커 해당 국가로부터의 완성차용 A/S부품 수요가 꾸준함.
2017년 1~9월 자동차부품 수입 상위 5개국
(단위: US$ 천)
HS Code | 8708.10 | 8708.21 | 8708.29 | 8708.30 | 8708.40 |
총수입 | 924.26 | 225.42 | 3431.06 | 5650.84 | 1252.45 |
수입 상위 10개국 (수입액) | Turkey(212.6) Korea(191.2) Germany(189.4) Russia( 111.9) Japan(81.2) China(73.4) USA(35.7) Bulgaria(22.9) Australia(18.5) UK(17.0) | USA(92.1) Germany(50.0) Turkey(25.0) China(21.9) Korea(9.3) UK(8.33) France(4.8) Czech(2.85) Sweden(2.3) Malaysia(2.3) | Russia(1078.3) Turkey(476.4) Germany(448.0) China(445.9) Korea(323.0) Japan(215.0) France(76.4) UK(68.1) USA(60.4) Taiwan(52.7) | China(1,001) Korea(891.4) Turkey(818.1) Germany(711.6) Russia(397.6) Spain(310.0) Czech(263.1) Poland(247.7) USA(236.9) Italy(194.1) | Germany(609.5) China(137.5) Japan(98.2) Korea(87.2) Mexico(84.80 Turkey(45.4) USA(44.3) Russia(30.7) Czech(22.0) Thailand(18.5) |
HS Code | 8708.50 | 8708.70 | 8708.80 | 8708.91 | 8708.92 |
총수입 | 1208.71 | 1620.45 | 2577.74 | 1296.74 | 783.75 |
수입 상위 10개국 (수입액) | Germany(248.7) China(181.01) Turkey(175.42) Korea(167.98) Russia(72.05) Czech(66.84) Belarus(51.34) Austria(38.27) Japan(36.66) USA(30.68) | China(459.14) Turkey(296.84) Russia(257.69) Germany(155.1) Korea(124.95) Ukraine(113.08) Japan(46) Belarus(35.92) Italy(24.67) Bulgaria(14.85) | Russia(628.1) Turkey(406.89) Germany(389.8) China(314.8) Korea(255.5) Japan(139.2) USA(98.5) Spain(43.5) Romania(40.0) Ukraine(28.5) | Russia(279.32) China(267.19) Germany(183.0) Turkey(146.16) Korea(105.32) USA(67.79) Iran(60.1) India(34.35) Japan(27.75) Slovakia(20.86) | Russia(533.13) China(45.73) Korea(43.9) Germany(37.1) Turkey(33.2) UK(28.05) Slovenia(12.1) Japan(10.53) USA(9.53) Bulgaria(8.07) |
HS Code | 870893 | 870894 | 870895 | 870899 | - |
총 수입 | 1612.96 | 1036.96 | 93.23 | 15284.24 | - |
수입 상위 10개국 (수입액) | Russia(377.5) Turkey(345.75) China(179.98) Germany(154.1) Slovakia(150.6) Korea(94.45) Belarus(55.59) Ukraine(42.28) Hungary(40.6) Czech(36.76) | Korea(344.48) China(149.29) Germany(144) Russia(136.5) Japan(93.9) USA(38.3) Turkey(24.01) Czech(23.92) Italy(16.97) France(- 9.41) | Japan(35.82) Germany(13.85) Korea(10.31) China(8.38) Romania(5.04) Turkey(3.93) Italy(3.3) Poland(2.31) USA(2.21) Mexico(1.56) | Turkey(3460.0) Russia(3425.3) China(2725.7) Japan(1931.1) Germany(1,668) Taiwan(597.59) Korea(472.8) Belarus(159.8) USA(142.6) France(135.0) | - |
자료원: 아제르바이잔 관세청
ㅇ 2015~2016년 자동차부품 수입 상위 10개국 동향: 첨부 참조
□ 현지 시장 특성
ㅇ 차량 부품(A/S 부품)시장은 ① 해외 완성차 업체의 현지 공식 딜러로 순정(Origin) 부품만을 수입해 A/S센터에 공급하는 업체, ② 복제(Genuine) 부품을 수입하는 바이어로 크게 나눠짐.
ㅇ 복제(Genuine) 부품을 수입하는 바이어는 다시 ① 현지 사설 정비소에 공급하는 도매업체와 ② 자체 판매 매장을 보유해 A/S 부품을 직접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소매 업체로 나눠짐.
아제르바이잔 A/S 자동차부품 유통도
자료원: KOTRA 바쿠 무역관
ㅇ A/S용 부품을 수입하는 바이어들은 재고를 넉넉히 가지고 있기보다는 주문을 받고, 한국에 발주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이에 따라 소량 다품종 구매하는 특징이 있음. 이로 인해 빠른 공급이 필요해 항공 운송을 요구하기도 함.
ㅇ 이러한 특징으로 현재까지는 단품 생산업체보다는 소량 다품종 공급이 가능한 자동차부품 전문 무역회사와 거래를 많이 함.
ㅇ 경제위기의 여파가 아직 가시지 않았고 일반 소비자들의 소득 수준과 구매력이 낮아, 바이어들 역시 가격에 민감한 특징이 있으며 일부 바이어들은 가격 인하를 자주 요구하기도 함.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거의 모든 A/S부품 브랜드가 현지에서 판매 중임.
- Delphi, GMB(미국), Brembo, LPR(이탈리아), FAG, INA, LUK, Optimal, Elring, Mahle(독일), AirTex(스페인), Delsa Filder(터키), Depo(대만), Delsa Filder, Texnorot(터키), Pilenga(러시아), Febest(에스토니아) 등
ㅇ 한국 부품 브랜드도 기 진입한 상태로 특히 복제(Genuine) 부품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부품 전문 수출 한국회사의 제품도 직간접적으로 현지에 공급되고 있음(Onuri, Korea Star, KAP 등).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상기 14개 자동차부품의 수입관세율은 5%이며 부가가치세는 18%임.
ㅇ 자동차부품 수입 관련 특별한 수입 규제 없음.
-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기존 벨라루스, 중국 기업과의 합작 차량 생산공장 외에 체코 Tarta사와 트럭생산 공장 협정을 체결(2017년 12월 19일)하는 등 자동차산업 육성을 추진 중이나 아직까지 현지 생산량 및 판매량은 적음.
ㅇ 부품 수출을 위해서는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을 포함한 선적서류와 적합성 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와 안전증명서 (List of Product Safety)를 필요하나 현지 세관은 적합성 인증서와 안전증명서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도 많음.
- 바이어 확인 결과, 법적으로는 적합성 인증서가 필요하나 세관에서 요구하지 않는 경우 많으며 안전증명서 경우 엔진오일, 배터리 등 발화성 부품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고 함.
ㅇ 적합성 인증서와 안전증명서는 아제르바이잔 정부 기관인 SCSMPA(The State Committee on Standardization, Metrology and Patents of Azerbaijan)에서 발행하며 한국 기업이 발급받기 어려워 통상 현지 바이어가 발급을 받음.
- 적합성 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신청서·샘플·원산지 증명서, 계약서, 인보이스 등이 필요
- 제출서류에 하자가 없을 경우 통상 3일 내 발급 받음.
□ 시사점
ㅇ 아제르바이잔은 거의 모든 차량을 수입 중이고 자국 내 부품 생산업체도 없어, 자동차용 A/S부품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할 것으로 예상됨.
ㅇ 한국 완성차의 높은 시장 비중과 품질에 대한 좋은 평가로 앞으로도 시장 점유율이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한국산 자동차용 A/S 부품 수요 역시 확대될 수 있는 시장임.
ㅇ 그러나 현지 바이어들은 재고를 넉넉히 보유하기보다는 일정 수준의 주문을 받은 후 구매하는 특징을 보유해 A/S 부품 구매 시 다품종 소량 구매하는 경향이 일반적임.
ㅇ 아울러 가격에 민감해 지속적으로 가격을 인하해달라는 요구도 빈번한 편이며 자주 가격을 비교함.
ㅇ 이에 따라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일정수준의 가격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면 소량 공급도 할 수 있는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함.
- 1~2개 특정 부품을 만을 생산하는 OEM 업체인 경우 향후 대량 수출을 위해서는 브랜드 홍보가 중요함. 초기 거래 시에는 최소 주문 수량을 낮추는 등의 탄력적인 대응이 필요함.
자료원: 현지 언론 보도 자료 및 KOTRA 바쿠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집트 광전지 시장동향 (0) | 2018.01.11 |
---|---|
남아공 자동차시장, 글로벌 제조사들 투자 확대 중 (0) | 2018.01.11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식품전 'Peterfood 2017' 참관기 (0) | 2018.01.11 |
코트디부아르, 중고차 연식에 따른 수입제한 시행 (0) | 2018.01.11 |
왕홍(网红), 중국의 모바일 소비를 이끌다: (2) 왕홍 인터뷰 (0) | 2018.01.11 |
- 인도
- 캐나다
- 필리핀
- 중국
- 태국
- 에콰도르
- 미얀마
- 브렉시트
- 호주
- 독일
- 남아공
- 콜롬비아
- 미국
- 베트남
- 네델란드
- 리우
- 올림픽
- 삼성
- 멕시코
- 홍콩
- 전시회
- 리우올림픽
- 브라질
- 터키
- 화장품
- 이스라엘
- 이집트
- 자동차
- 스페인
- 인도네시아
- 삼성전자
- 싱가포르
- 일본
- 칠레
- 영국
- 코로나
- 프랑스
- 말레이시아
- 러시아
- 이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