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부가 내년 약 3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해 생활용품의 프리미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2021년까지 2000억원의 R&D 예산을 투입해 고부가가치 소재·제품 개발을 본격화하면서 패션·의류 분야도 프리미엄화 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두타면세점에서 이 같은 내용의 ‘생활용품과 패션·의류 프리미엄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3월 1차 소비재 수출활성화 대책과 7월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 ‘신규 유망 수출품목 창출방안’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생활용품의 경우 기술과 감성, 한류 열풍을 융합해 ▲가구 ▲가방 ▲주방용품 ▲문구 ▲운동·레저 ▲안경 ▲시계 7대 품목을 ‘K-리빙 프로젝트’란 이름으로 고급화한다.  

이를 위해 오는 8월부터 가구를 시작으로 업종별 기업 및 업계 전문가, 디자인 전문기업, 유관기관 관계자 등으로 소비재 융합 얼라이언스를 순차적으로 출범해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내년에는 3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생활용품 프리미엄 R&D에 투입할 방침이다.

또 서울 상암동 사물인터넷(IoT) 협업센터를 통해 IT 융합 시제품 제작과 관련 기술 컨설팅을 신규로 실시하기로 했다.  

아울러 국내 유명 아티스트와의 매칭을 2배 이상 확대하고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6개월 이상 장기로 디자이너를 파견하는 사업도 확대하기로 했다.  

팝업스토어 등 체험형 융합 마케팅을 9월 이후 동남아 지역 등에서 새롭게 시작하고 PPL 등 한류를 활용한 마케팅도 확대한다.  

패션·의류의 프리미엄화도 추진한다. 5대 핵심요소인 ▲디자이너 역량 강화 ▲신유통 플랫폼 활용 ▲고기능 소재 개발 ▲생산기반 강화 ▲협업 생태계 조성을 집중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우선 2020년까지 200명의 유망 디자이너를 월드 스타 디자이너로 육성한다.

새로운 유통 플랫폼도 활용해 2020년까지 300개 브랜드를 해외 온라인 몰에 입점시키고 150개 브랜드는 중국 대형 쇼핑몰에 진출시키기로 했다. 온라인, 모바일, 편집숍 등 새로운 유통 플랫폼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이다.  

또 고부가가치 소재와 제품 개발을 위해 2021년까지 2000억원 규모의 R&D 예산을 투입하고 소비자 맞춤형 의류의 국내 생산을 위해 2020년까지 1000명의 봉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이와 함께 한류 드라마 속 히트의류를 가상현실에서 입어보고 구매하는 시스템을 하반기에 오픈해 중국 관광객과 바이어 등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K-패션을 홍보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의 강점인 IT 기술력, 한류 열풍을 바탕으로 글로벌 패션·의류 트렌드를 적극 공략함으로써 국산 패션·의류가 새로운 수출 유망품목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이날 대책 발표에 앞서 ‘글로벌 생활명품 육성사업’에 선정된 30개 제품에 선정증을 수여했다.

이 사업은 세계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이 큰 국내 생활 소비재 제품을 발굴해 디자인·R&D·판로 개척 등의 맞춤형 지원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관섭 산업부 차관은 “시가총액이 현대차의 3배 가까이 되는 86조원에 이르는 루이뷔통 그룹(LVMH)의 출발 역시 생활용품이었던 여행 가방 제작이었다”며 “생활용품과 섬유패션 산업이 새로운 수출동력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정부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협력과/섬유세라믹과 044-203-4844/4293


[자료제공 :(www.korea.kr)]


자료출처 : KOREA 정책브리핑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