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V, 영화, 출판시장을 중심으로 살펴본 인도 엔터테인먼트 산업

  - 한류를 활용한 한국의 문화 콘텐츠 수출전략 수립 필요 -

 

 

 

□ 인도 엔터테인먼트 산업 현황

 

 ○ 2015년 인도의 엔터테인먼트 산업 규모는 190억 달러로, 2014년 대비 11.76% 성장

 

 ○ 매년 12%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해 2025년 시장규모는 622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엔터테인먼트 산업시장 규모

(단위: 십억 달러)

연도

시장 규모

2014년

17

2015년

19

2016년(예상치)

22.2

2017년(예상치)

25.5

2018(예상치)

29

2019년(예상치)

32.7

2025년(예상치)

62.2

자료원: 2016 IBEG Report, TechSci Report

 

  최근 10년간 인도의 1인당 국민총생산은 평균 성장률 8.87%를 기록했고, 이에 따른 평균 임금의 상승이 중산층 확대로 이어져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큰 호재로 작용

 

  향후 모디 총리의 ‘Digital India' 정책과 함께 인터넷 환경 개선 및 스마트폰 보급의 확대 또한 엔터테인먼트 산업 성장의 큰 원동력이 될 것임.

 

  그러나 시장규모와 성장세에 비해 인도는 콘텐츠를 직접 개발하기보다는 외국에서 흥행한 콘텐츠를 현지화시키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등 콘텐츠 개도국의 특성을 보임.

 

  TV, 영화, 출판분야가 인도 전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분야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음.

 

엔터테인먼트 산업 시장 점유율 현황

(단위: %)

구분

시장 점유율

TV

46.3

출판

25

영화

12.5

애니메이션

4.4

게임

4.2

기타(라디오·음악 등)

7.6

전체

100

자료원: 2016 IBEG Report, TechSci Report

 

□ 인도 TV 시장 현황

 

  2015년 기준 전체 1억6800만 세대에 TV가 보급돼 있으며, 이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

 

  2010년 64억 달러에서 9%의 성장률을 기록해 2015년 시장규모는 약 89억 달러임.

 

  2016년 시장규모는 1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50%를 차지

 

  2011년, 인도 정부는 케이블 TV의 디지털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함. 2016년 12월 이 계획이 완료되면 인도 TV산업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모할 것이며, TV산업의 디지털화는 새로운 Value Chain 발굴로 수익성 개선 및 신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

 

  DTH(Direct to Home) 위성방송 가입자 수는 2015년 4800만 명이지만 2019년에는 7600만 명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이며, 2019년까지 DTH 위성방송 및 디지털 케이블 이용자 수가 전체 TV 수신 가정의 9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

 

TV 송신 플랫폼별 가입 세대 수

자료원: 2015 FICCI/KPMG Report

 

  OTT(Over-the-Top), VOD(Video-on-Demand) 등의 플랫폼들이 최근 인도에 도입되고 있으며, 양질의 신규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임.

   · OTT는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영화, 교육 등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함. (예: 넷플릭스, 네이버 TV 캐스트, CJ헬로비전 티빙 등)

 

  약 7000만 명 규모로 Star TV Network, Zee Entertainment 등에서 제공하던 OTT(Over-the-top) 플랫폼 비디오 시장은 세계 시장점유율 1위인 미국의 넷플릭스사의 인도 진출 선언과 맞물리며, 양질의 글로벌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 이는 콘텐츠 제작사들에게 큰 기회로 작용할 것임.

 

  외국인 투자의 경우 DTH 위성은 74%, 디지털 케이블은 49% 지분 확보 가능

 

□ 인도 영화시장 현황

 

  미국 LA의 Hollywood에 Bombay(뭄바이 구 지역명)의 B를 딴 Bollywood로 대표되는 인도의 영화산업은 연평균 약 2000개의 영화가 제작됨. 이는 세계 1위 규모임.

 

  시장규모는 2015년 기준 약 23억 달러, 12%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해 2019년에는 시장규모 36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

 

  2015년 인도 영화시장 매출의 약 75%가 현지 영화관 티켓 판매를 통해 나옴.

  - 연간 티켓 판매량은 40억 장 이상으로, 미국 시장의 약 2배의 수치임.

  - 연간 티켓 판매량의 60% 이상이 뭄바이, 델리 지역에서 소비됨.

 

  뭄바이, 뉴델리, 방갈로르와 같은 대도시 들을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단일 상영관 위주인 인도의 영화관들이 멀티플렉스 형태로 바뀌고 있음.

 

  유네스코 통계에 따르면, 인도의 인구 100만 명당 영화관 수는 7개로 미국의 125개와 비교해 매우 적은 수준. 지난 5년간 약 2500개의 영화관이 새로 생겼지만, 아직까지 공급이 수요를 따라오지 못함.

 

인구 100만 명당 스크린 수(2014년)

                                    (단위: 개)

나라

스크린 갯수

미국

125

프랑스

85

스페인

82

영국

61

일본

26

중국

13

인도

7

자료원: UNESCO

 

  외국인 투자의 경우, 100% 지분 확보 가능

 

  비제이 싱 Fox Star사 CEO는 2015년 FICCI(인도상공회의소)와의 인터뷰에서 "Bollywood는 인도의 문화 그 자체이며, 정부와 긴밀하게 협의해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고 함. 또한 그는 "특히 인도 전 지역의 영화관 수가 매우 모자라기 때문에 정부는 멀티플렉스 영화관 사업자들에게 더 많은 특혜를 제공해야 하며, 글로벌 영화 제작사들이 더 활발히 인도에 투자하도록 세금 혜택을 주어야 한다"고 강조함, 아울러 현재의 영화시장을 보면 특정 인기 배우에 의존하는 경향이 두드러지지만, 이제는 콘텐츠의 차별화를 도모해야 할 때라는 의견을 밝힘.

 

  향후 OTT, VOD와 같은 TV 플랫폼의 성장이 영화산업과 어떻게 상생하면서 성장해 나갈지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인도 출판시장 현황

     

  2015년 인도 출판시장의 시장규모는 약 46억 달러이며, 연평균 8.5%의 성장률을 기록해 2019년에는 64억 달러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인도는 각 지방에 따른 다양한 인종과 더불어 180여 종이 넘는 언어가 사용되는 나라로, 대표적으로 힌디어 및 14개의 공용어를 정부에서 지정하고 있고, 영어는 상용어로 사용됨. 2014년의 경우 전체 출판물의 52%가 힌디어, 15%는 영어이며, 나머지 34%는 15개 이상의 다양한 토착어로 출판됨.

 

출판시장 언어별 비율

 

자료원: 인도 신문 기록원 2014 Report

 

  인도는 아직까지 종이로 된 신문이 선호되며, 신문이 전체 출판산업의 약 95%, 잡지가 나머지 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함.

 

인도 매출 대비 출판시장 점유율

(단위: %)

 

신문

잡지

2012년

94.2

5.8

2013년

94.4

5.6

2014년

94.6

5.4

2015년

95.0

5.1

2016년(예상치)

95.4

4.6

2017년(예상치)

95.8

4.2

2018년(예상치)

96.2

3.9

자료원: 2015 FICCI/KPMG Report

 

  전체 매출의 65% 이상이 광고수익, 나머지는 발행부수를 통해서 나옴. 광고는 꾸준히 출판시장의 매출 견인차 역할을 이어나갈 것임.

 

출판시장 매출 구분

자료원: 2015 FICCI/KPMG Report

 

  미국, 한국 등의 선진국과 비교해 출판물의 콘텐츠가 다양하지 않은 인도는 현재 평균임금 인상 및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출판시장의 다양화로 이어질 것임.

 

  외국인 투자율의 경우 26%로 제한. 단 기술, 과학 및 특수한 정보를 다루는 잡지 및 주간지의 경우 지분 100% 확보 가능

 

□ 시사점

 

  한국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OTT, VOD 등 콘텐츠 유통 플랫폼의 다양화로 콘텐츠 수출과 판매가 더 용이해질 전망

  - 과거 ‘추격자’, ‘올드보이’ 등의 한국 영화를 무단으로 리메이크 한 적도 있으나, 최근 합법적으로 판권을 구매하고 있음. 영화, 방송 제작사들의 리메이크 판권에 대한 수요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미국에서 설립된 글로벌 게이트사와 같은 다국 합작 콘텐츠 제작기업이 점차 생기는 추세. 인도의 엔터테인먼트 관계사들도 이러한 다국 합작 콘텐츠 제작에 큰 관심을 보이며, 앞으로 더 쉽게 고차원적인 해외 콘텐츠 제작사업이 가능해질 전망

 

  인도는 거대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멀티플렉스 영화관에 대한 높은 수요를 가지고 있으며, 관련 한국 기업들의 현지 진출을 고려해볼 만한 시장임.

 

  향후 한류를 활용한 한국의 문화 콘텐츠 수출전략 수립이 필요

  - 한국 영화와 드라마 등 한류의 영향을 받은 북동부 지역 인도인들은 한국 패션 아이템 및 화장품 등에 큰 관심을 보임. 한국 제품이 프리미엄 제품이라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문화 콘텐츠 수출 및 이에 따른 관련 제품의 인도 진출전략 수립이 시급함.

 

 

자료원: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출처 : KOTRA 글로벌윈도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