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일본 사회 변화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는 서비스 로봇시장 -
- 일본 정부, '로봇 신(新)전략' 통해 적극적인 로봇산업 육성 노력 -
□ 일본의 서비스 로봇의 정의 및 관련 시장 전망
ㅇ 서비스 로봇이란?
- 일본에서 로봇은 공장과 같은 생산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과 이를 제외한 '서비스 로봇'으로 나뉨. 전자는 생산효율의 증대를 목적으로 하며, 후자는 주로 인간의 생활환경에서 부족한 능력 보조 및 각종 지원의 목적으로 사용됨.
- 서비스 로봇은 주로 의료, 경비, 개호 및 복지, 접객(고객 대응) 및 안내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음. 특히 소프트뱅크 사가 제작한 'Pepper'로 유명한 커뮤니케이션 로봇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음.
- 소프트뱅크가 발매한 로봇 Pepper는 지난 2014년 6월에 공개됐으며 전 세계 최초로 인간의 감정을 인식할 수 있는 로봇으로 제작됨. 현재 약 500개 이상의 일본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음.
일본 로봇상품의 분류 및 주요 모델
소프트뱅크의 접객용 로봇 Pepper
자료원: KOTRA 나고야 무역관 자체촬영
산업용 로봇 메이커 KUKA의 LBR iiwa
자료원: 전자디바이스 신문
Intuitive Surgical의 의료수술용 자동화 시스템 로봇 da Vinci
자료원: Intuitive Surgical, Inc.
경비보안업체 SECOM의 로봇 SECOM Robot X
자료원: livedoor 뉴스
다이와 하우스 공업의 자동배설물 처리 로봇 Minelet Sawayaka
자료원: 다이와 하우스 공업
ㅇ 일본 서비스 로봇 시장의 성장전망
- 일본의 연구기관 NEDO*가 발표한 '로봇의 장래시장 예측'에 따르면, 일본 서비스 로봇의 시장규모는 오는 2020년에 산업용 로봇의 시장규모와 비슷한 약 1조 엔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음.
- 일본의 로봇 시장은 점점 성장해 오는 2035년에는 로봇 산업 전체 시장규모는 9조7000억 엔까지 늘어날 전망임. 이 중에서도 특히 서비스 로봇은 가파르게 성장해 산업용 로봇의 약 2배인 5조 엔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됨.
- 현재 일본의 서비스 로봇 시장은 산업용 로봇에 비해 성장이 더디지만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수요, 노동인구의 절감 등의 배경을 바탕으로 고속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NEDO(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일본 국립연구개발법인 신에너지산업기술 종합개발기구
2015~2035년 일본 로봇산업 시장규모 추이
주: 1) 로봇테크 제품(Robot Technology製品)이란 로봇 기술을 사용해 움직이는 기기를 의미함.
자동 운전 시스템 등 로봇 형상을 갖고 있지 않음, 2) 자료원: NEDO '로봇의 장래시장예측'
ㅇ 일본 정부 '로봇 신(新)전략' 통한 로봇산업 육성계획 의지
- 일본 정부는 2014년에 발표한 일본 재흥전략*을 통해 로봇을 통한 새로운 산업혁명의 실현할 것이라고 의향을 밝혔고, 이후 관련해 '로봇혁명 실현회의'를 개최함.
- 일본 정부 수상관저과 경제산업성 등을 주축으로 지난 2014년 9월부터 이듬해인 2015년 1월까지 총 6회에 걸쳐 회의가 개최됐으며, 2015년 1월 6회차 회의에서 '로봇 신(新)전략'이 발표됨.
* 일본 재흥전략: 아베정권 출범 이후 일본 경제 재건을 목적으로 수립된 전략
□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로봇 신(新) 전략이란?
ㅇ 일본이 로봇혁명을 추진하는 이유
- 일본은 1980년대 이후 탄탄한 제조업을 기반으로 이미 세계 로봇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보유하고 있었고, 최근 들어서는 인구의 고령화 및 출산율 감소 등의 사회보장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로봇산업을 활용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음.
- 한편 미국, 유럽 등의 기타 선진국 및 중국은 로봇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국의 정부 주도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 일본 정부는 경쟁심화의 배경에 디지털 데이터, 가상현실 네트워크 등이 중심이 되는 IOT시대가 현실화되는 점이라고 판단함. 막대한 데이터를 로봇 진화의 핵심으로 연결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음.
- 이에 지금까지 개발한 로봇분야 기술력과 로봇을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사회 문제의 수요를 연결시켜 새로운 산업혁명의 방식으로 세계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것이 주 목표임.
ㅇ 일본의 로봇혁명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
- 일본 정부가 생각하는 로봇혁명 구성의 첫 번째는 센서, AI 등의 기술발전으로 기존에는 로봇으로 정의할 수 없었던 물건까지 로봇화시킴(자동차, 가전제품, 휴대전화 및 주택 등이 로봇과 일체화됨).
- 두 번째는 제조현장에서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로봇이 활용되는 것임.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일본 사회의 문제의 해결 및 제조, 서비스면에서 국제경쟁력의 강화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생산, 결과적으로 편리성과 부를 창출하는 사회를 실현하는 것임.
ㅇ 로봇혁명의 실현을 위한 3가지 축
- 일본 정부는 로봇혁명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다음의 3가지 축을 마련코자 함. 이것은 이른바 로봇산업 발전을 통해 일본 사회가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로 볼 수 있음.
- 첫 번째는 일본을 세계 로봇이노베이션의 거점으로 만드는 '로봇 창출력의 근본강화'임. 두 번째는 세계최고의 로봇 이용 및 활용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일본 전국 어디에나 로봇이 존재하는 일상생활을 실현하는 '로봇의 활용 및 보급(로봇의 쇼케이스화)'
-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로봇이 상호 간에 접촉해 보유하는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축적,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비즈니스를 추진하기 위해 규칙과 국제표준을 만들고 나아가 더 넓은 분야에서 발전을 목표로 하는 '세계수준을 넘어서는 로봇혁명의 전개 및 발전'임.
- 이를 위해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5년 동안 정부에 의한 규제개혁 등의 제도환경정비를 포함한 다방면의 정책적인 활동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로봇개발에 관한 민간의 투자를 확대를 도모해 약 1000억 엔 규모의 신규 로봇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함.
* 2편에서는 민간기업들의 서비스로봇 사례와 주요 기업들의 향후 계획 등을 소개할 예정
자료원: 노무라종합연구소, 소프트뱅크, NEDO, 일본 정부 수상관저, 경제산업성 및 KOTRA 나고야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가포르 친환경 건축 전시회(BEX Asia 2017) 방문기 (0) | 2017.10.11 |
---|---|
한국 자동차, 이스라엘 시장에서 점유율 1위 (0) | 2017.10.11 |
김치 스타트업 '오나미 김치', 네덜란드 슈퍼에 입점! (0) | 2017.10.10 |
아세안, 반세기 안에 세계 무대에서 우뚝 서다 (0) | 2017.10.10 |
중국 모바일 게임시장 진출, 이 점을 유의해라 (0) | 2017.10.10 |
- 자동차
- 네델란드
- 베트남
- 독일
- 화장품
- 브렉시트
- 이란
- 이스라엘
- 러시아
- 코로나
- 중국
- 리우
- 필리핀
- 호주
- 전시회
- 터키
- 인도
- 인도네시아
- 이집트
- 남아공
- 브라질
- 올림픽
- 태국
- 홍콩
- 삼성전자
- 스페인
- 싱가포르
- 에콰도르
- 말레이시아
- 캐나다
- 영국
- 칠레
- 프랑스
- 멕시코
- 미얀마
- 삼성
- 리우올림픽
- 미국
- 일본
- 콜롬비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