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중국 정부, 전자상거래로 국내 소비시장 활성화 효과 겨냥 –
- 중국의 통관우대정책 지속으로 일-중 전자상거래 교역 급증 예상 –
□ 중국의 국제 전자상거래 정책 변화
ㅇ 중국 정부, 2016년 4월부터 국제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센티브제도 폐지 결정 및 시행 - 쇼핑몰 기업들 대응 애로 및 통관 장기화, 늦은 배달 등 전자상거래시장에 혼란 초래 ㅇ 2016년 4월, 인센티브 제도를 1년 연장해 2017년 5월까지 시행 결정 ㅇ 2016년 11월, 인센티브제 시행기간 2017년 말까지 재연장 발표 |
ㅇ 중국 정부, 인터넷 쇼핑몰에서 해외 제품을 직접 구입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의 통관 시 우대하는 현행 인센티브 제도를 2017년 말까지 재연장하기로 발표
- 당초 2016년 4월까지로 인센티브를 제한하고, 5월부터 일반 무역 수준으로 엄격화할 방침이었으나, 성장이 지속되는 인터넷 쇼핑몰을 지렛대로 소비를 유도해 국내 경기에 대한 파급효과를 누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급선회함.
- 중국 정부는 2016년 4월에 인센티브 제도를 폐지하기로 결정하고 일시적으로 중단했으나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이 대응하지 못하고, 통관 장기화 및 상품의 늦은 배달 등의 혼란이 초래됨에 따라 이행기간을 1년 연장하기로 결정하고, 2017년 5월까지 재차 실시함.
- 그러나, 지난 2016년 11월 16일에 인센티브 제도를 2017년 말까지 추가 연장함을 발표함.
ㅇ 소비를 지렛대로 하는 경기부양이 목표
- 중국은 제조업 중심의 경제성장이 정체를 맞아 소비를 지렛대로 하는 경제부양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2016년 10월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전년 동월대비 10% 증가에 머물러, 강력하게 소비를 부양할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위기임.
- 이번 인센티브 제도 재연장 조치와 관련, ‘현행 제도 하에서 국제 전자상거래가 혼란없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성장하지 않는 국내소비에 대한 위기감의 표현’이라는 견해가 강함.
- 소비 확대의 견인차였던 인터넷 쇼핑몰은 전년대비 25% 정도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으나, 2015년도의 40% 가까운 성장에 비해 기세가 꺾인 편으로, 인센티브 제도 폐지 시 인터넷 쇼핑몰의 침체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 결과임.
□ 중국의 국제 전자상거래 교역규모
ㅇ 중국의 국제 전자상거래 교역규모는 2016년 기준 6조5000억 위안으로, 2008년 8000억 위안에 대비 8배 이상의 증가를 보이고 있고, 수출입 교역규모 대비 18.9%를 차지하는 등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음.
중국 국제 전자상거래 교역규모 추이
자료원: KOTRA 중국산업정보
□ 중국의 통관우대 지속 정책, 일본 전자상거래 교역실적에 긍정적 영향
ㅇ 중국이 일본으로부터 구입하는 전자상거래 규모는 2015년 기준 7965억 엔이었고, 2019년에는 2조3359억 엔으로 약 3배 확대될 것으로 추산됨.
- 중국이 일본에서 구입하는 전자상거래 규모는 매년 2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일본-중국 간 전자상거래 교역 현황
(단위: 억 엔, %)
소비국 | 판매국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19/2015 |
중국 | 일본 | 7,956 | 10,788 | 14,305 | 18,568 | 23,359 | - |
미국 | 8,442 | 11,447 | 15,179 | 19,793 | 24,786 | - | |
합계 | 16,398 | 22,236 | 29,484 | 38,271 | 48,145 | 2.94 | |
일본 | 미국 | 2,019 | 2,261 | 2,510 | 2,761 | 3,023 | - |
중국 | 210 | 235 | 261 | 287 | 314 | - | |
합계 | 2,229 | 2,497 | 2,771 | 3,048 | 3,338 | 1.50 |
자료원: 경제산업성(2015 전자상거래 관련 시장조사)
□ 일본의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ㅇ 일본의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2016년 기준 15조2000억 엔으로 2010년 대비 약 2배의 성장을 보이고 있고, 2021년에는 25조6000억 엔 규모로 1.7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일본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추이
자료원: 경제산업성
□ 시사점
ㅇ 중국의 국제 전자상거래 정책 변화에 맞춰 우리 기업도 중국시장에 직접 진출하거나 일본의 온라인 시장에 진출해 중국 소비자를 겨냥하는 등의 마케팅 필요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는 제품 유형
순위 | 일본 | 중국 | ||
구입상품 | 비중 | 구입상품 | 비중 | |
1위 | 의류, 어패럴 | - | 의류, 어패럴 | 59% |
2위 | 여행 | - | 화장품류 | 57% |
3위 | 책, 음악.영상상품 | - | 식품, 주류 | 42 |
4위 |
|
| 전자제품 | 39% |
5위 |
|
| 여행 | 37% |
자료원: 경제산업성(2015 전자상거래 관련 시장조사)
ㅇ 일본 경제산업성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전자상거래 이용자는 젊은 층, 고학력, 고수입, 1급 도시 거주 등으로 분류됨.
- 해외로 상품을 판매할 때 소비국의 사정과 소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반영하는 것은 해당 시장 진출의 기본이며, 성공으로 이끄는 열쇠가 될 수 있음.
자료원: 일본경제신문(1117), 경제산업성 및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의 전시컨벤션산업 현황 및 2017년 주요 전시회 (0) | 2017.01.13 |
---|---|
美 특허청의 상표등록 거절 사유 (0) | 2017.01.12 |
2017년도 일본 경제 전망 (0) | 2017.01.12 |
브라질, 프리미엄 커피를 마시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0) | 2017.01.12 |
2017 베트남 경제, 부진 딛고 재도약 노린다 (0) | 2017.01.12 |
- 에콰도르
- 이란
- 이스라엘
- 삼성
- 네델란드
- 베트남
- 필리핀
- 전시회
- 인도
- 리우
- 자동차
- 브렉시트
- 독일
- 멕시코
- 말레이시아
- 홍콩
- 캐나다
- 남아공
- 이집트
- 올림픽
- 코로나
- 싱가포르
- 삼성전자
- 미얀마
- 화장품
- 리우올림픽
- 브라질
- 미국
- 콜롬비아
- 스페인
- 일본
- 태국
- 터키
- 프랑스
- 러시아
- 호주
- 중국
- 인도네시아
- 영국
- 칠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