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월평균 153유로 지출…의류, 숙박, 도서 구매 위주 -
- 향후 벨기에 내 모바일쇼핑 시장 성장 기대되고 있어 -
□ 벨기에 온라인 시장 현황
ㅇ 전자상거래 비영리단체 Ecommerce Foundation의 2016년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벨기에 온라인 쇼핑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46.4% 성장한 약 82억 유로로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함. 또한, 총 소매매출액에서 전자상거래를 통한 매출 비중은 14%를 차지하고 있음.
- 이 단체는 벨기에 온라인 시장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2016년 온라인 시장 규모는 96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추정함.
벨기에 온라인 시장 매출액 추이
연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매출액(백만 유로) | 4700 | 5400 | 6140 | 8241 | 9600 |
주: 2016년도 수치는 예상치
자료원: Ecommerce Foundation
ㅇ 벨기에 소비자산업연맹 Comeos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벨기에 전체 인구 중 64%가 지난 1년간 온라인을 통해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 같은 수치는 2012년 46%, 2013년 57%, 2014년 60%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해볼 때, 온라인쇼핑을 하는 벨기에인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음.
- 특히 매달 온라인쇼핑을 이용하는 벨기에인은 33%로, 전년대비 5%p 증가하는 등 주기적으로 온라인쇼핑을 즐기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임.
□ 2015년 벨기에 온라인 구매 트렌드
ㅇ 2015년 한 해 벨기에 소비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가장 많이 구매한 신규 품목은 의류로, 전체 구매의 52%를 이 품목에 지출한 것으로 나타남. 그 뒤로 숙박(50%), 교통티켓(40%), 공연티켓(39%), 도서(38%), 신발(33%) 순으로 많이 구매되고 있음.
- 이 중 의류, 교통티켓, 가구 및 홈데코, 가전제품, DIY 제품의 구매는 전년대비 다소 증가한 반면, CD/DVD/게임, 전자제품, 축제티켓 구매는 감소세를 보임.
- 구매빈도가 높은(1년에 5회 이상) 품목군은 식품, 조리식품, 디지털음악(음원), 의류·신발, CD/DVD/게임 품목인 것으로 나타남.
2015년 벨기에 온라인쇼핑 신규 구매 품목
자료원: 벨기에 소비자산업연맹 Comeos
ㅇ 이 외에도, 온라인 쇼핑 이용 시 지출하는 금액은 월평균 153유로로 밝혀졌으며, 온라인에서 지속 구매할 의향이 있는 제품군으로는 식품, 디지털음악(음원), 의류, 숙박, 의약품, 스포츠 용품, 가전제품 등인 것으로 나타남.
ㅇ 2015년 벨기에 온라인 쇼핑 사용자 현황
- 벨기에 온라인 쇼핑 소비자의 성별 비중은 남성 소비자가 68%, 여성 소비자가 61%를 차지하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 많이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 비중은 18~27세 70%, 28~43세 70%, 44~59세 61%, 60세 이상 55% 등 주로 청장년층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짐.
- 언어권별로 살펴보면 네덜란드어권 온라인 쇼핑 이용률이 68%, 프랑스어권 이용률은 59%로 네덜란드어권에서 온라인 구매가 더 많이 이뤄지고 있음.
· 벨기에는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3개 언어가 공용어이며, 통상적으로 거의 모든 국내 사이트에서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등 두가지 언어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고 있음.
ㅇ 한편, 벨기에 소비자들은 국내 온라인쇼핑몰뿐만 아니라 인근 유럽국가의 온라인에서도 자주 물건을 구매하는 것으로 드러남.
- 주로 독일, 프랑스의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며, 그 외에도 영국, 네덜란드, 스칸디나비아 사이트에서도 구매하는 것으로 밝혀짐. 이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주로 벨기에 내에서 구할 수 없는 품목 위주로 구매하고 있음.
ㅇ 벨기에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결제수단으로는 신용카드(Visa/Mastercard/American Express 등)로, 전체 거래의 37%를 차지하며 가장 보편화된 결제수단인 것으로 나타남. 그 뒤로 직불카드(Bancontact/Mistercash)가 28%, 페이팔(10%), 계좌이체(9%) 순임.
ㅇ 이 밖에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주요 요인은 '시간 절약'이 전체 응답의 42%를 차지, 벨기에 소비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 뒤로 '오프라인 대비 저렴한 가격'(39%), '집 앞까지의 배송서비스'(38%), '24시간 이용 가능한 편리성'(35%), '프로모션 및 각종 할인'(31%) 등이 따름.
ㅇ 한편, 벨기에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임. 벨기에 스마트폰 유저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2012년 스마트폰 유저 비율은 전체 인구의 22%였으나 2013년 34%, 2014년 40%, 2015년에는 55%까지 증가함.
- 2015년도 벨기에 전자상거래 사용자 중 21%가 모바일을 이용해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벨기에 전체 인구의 13%). 또한, 이중 87%의 응답자가 앞으로도 계속 모바일 구매를 할 것이라고 응답함.
- 모바일을 통해 가장 구매를 많이 한 품목으로는 교통티켓, 의류, 콘서트 티켓, 숙박, 장난감, 도서 등임.
- 한편, 벨기에 소비자들이 꼽은 모바일 구매의 단점으로는 스마트폰 화면이 너무 작아 쇼핑하기에 불편하다는 사실과, 모바일 구매의 불안정성(해킹 등)인 것으로 나타남.
□ 전망 및 시사점
ㅇ 2016년 10월 15일, 벨기에 연방정부는 국내 온라인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관련 업체들에 한해 밤 8시부터 새벽 6시까지 야간근무를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마련한다고 밝힘.
- 1971.3.16., 노동법 제 35조(art. 35 de la loi du 16 mars 1971 sur le travail)에 의거, 벨기에 내 야간근무(밤 8시~새벽 6시) 시행은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음(다만, 호텔 등 숙박, 언론, 여행사 등 예외 분야가 존재).
ㅇ 이번 정부 조치에 따라 향후 3년 내에 약 3000명의 고용 창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벨기에 전자상거래 협회 Becommerce는 이 같은 정부 발표에 큰 환영의 입장을 밝히며, 향후 벨기에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경쟁력이 증대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함.
ㅇ 스마트폰 유저 확대에 따른 벨기에 모바일 쇼핑 활성화와 정부의 정책에 힘입어 향후 벨기에 온라인 쇼핑시장 성장이 기대됨. 이 같은 성장 추세에 맞춰 벨기에 진출을 원하는 우리 기업들은 온라인 시장을 활용한 시장 진출을 고려해볼 수 있음.
ㅇ 한편, 벨기에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도 오프라인보다 저렴한 제품의 가격과 빠르고 쉽게 가격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임. 즉, 가격 요소가 소비자들의 구매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므로 가격경쟁력을 갖춘 후 진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ㅇ 이 외에도, 벨기에 온라인 구매자의 1/3 이상이 구매 전에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를 검색해 특정 할인 및 이벤트가 있는지 알아본 후 구매하는 것으로 밝혀짐. 이에 따라, 벨기에 시장을 진출하려는 우리 기업은 이 같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세워 소비자와의 소통에도 신경써야 할 것임.
자료원: 벨기에 전자상거래협회 BeCommerce, 벨기에 소비자연맹 Comeos, 일간지 RTBF, KOTRA 브뤼셀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질, 프리미엄 커피를 마시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0) | 2017.01.12 |
---|---|
2017 베트남 경제, 부진 딛고 재도약 노린다 (0) | 2017.01.12 |
2016 주요 산업 대콜롬비아 수출 증감 요인 분석 (0) | 2017.01.12 |
콩고민주공화국, 잠재 농업대국의 불편한 진실 (0) | 2017.01.12 |
DR콩고, 중국산 짝퉁 및 불량제품의 실상 (0) | 2017.01.11 |
- 리우
- 멕시코
- 이스라엘
- 코로나
- 화장품
- 프랑스
- 네델란드
- 일본
- 싱가포르
- 남아공
- 캐나다
- 브렉시트
- 러시아
- 브라질
- 에콰도르
- 인도네시아
- 칠레
- 태국
- 말레이시아
- 중국
- 이란
- 필리핀
- 호주
- 홍콩
- 미국
- 올림픽
- 미얀마
- 독일
- 터키
- 리우올림픽
- 삼성
- 영국
- 인도
- 콜롬비아
- 이집트
- 스페인
- 베트남
- 자동차
- 삼성전자
- 전시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