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자동차(HS code 8703)
□ 수입 현황
ㅇ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은 자동차 생산국이 아닌 관계로 100% 수입 의존 품목
- 자동차 수입규모는 연 30억~40억 달러 수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일본(15.8%, 1위), 한국(14.4%, 2위) 등임(2016년 8월 말 기준).
이스라엘의 자동차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
1 | 일본 | 684(16.8) | 499 (15.9) | 467(15.8) |
2 | 한국 | 645(16.8) | 455(14.5) | 427(14.4) |
3 | 카자흐스탄 | 298(7.3) | 225(7.2) | 300(10.1) |
4 | 슬로바키아 | 161(3.9) | 219(7.0) | 280(9.5) |
5 | 터키 | 500(12.3) | 354(11.3) | 231(7.8) |
6 | 스페인 | 218(5.3) | 163(5.2) | 165(5.6) |
7 | 영국 | 287(7.0) | 215(6.8) | 159(5.4) |
8 | 독일 | 253(6.2) | 149(4.7) | 151(5.1) |
9 | 미국 | 218(5.0) | 163(5.2) | 146(4.9) |
10 | 벨기에 | 73(1.8) | 135(4.3) | 115(3.9) |
| 기타 | 725(17.8) | 551(17.6) | 510(17.2) |
| 합계 | 4,062 | 3,128 | 2,951 |
주: 금액순, 제3국 수출액 포함된 통계치, 즉 현대·기아차의 경우 터키, 중국 등
공장 증설 로 제3국 수출이 증가, 한국산 자동차임에도 타국 수입으로 집계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대한 수입규모는 2016년 8월 말 기준 4억2,000만 달러이며, 점유율 14.4%로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함.
□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시장 현황
- 2015년 기준 이스라엘의 자동차(신차 기준) 판매 규모는 23만9,771대를 기록했으며 전년대비 6.2% 증가
- 최근 4~5년간 한국산 자동차가 현지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2015년 기준 기아차 3만3,703대, 현대차 3만1,250대를 판매해 신차 시장 판매율 1, 2위 차지
자동차 브랜드별 판매 현황
(단위: 대)
순위 | 브랜드명 | 2014년 | 2015년 |
1 | 기아 | 26,365 | 33,703 |
2 | 현대 | 31,376 | 31,250 |
3 | 도요타 | 27,384 | 29,280 |
4 | 마즈다 | 17,090 | 17,057 |
5 | 미쓰비시 | 13,141 | 16,121 |
6 | 스코다 | 14,289 | 16,083 |
7 | 스즈키 | 13,799 | 12,277 |
8 | 닛산 | 9,872 | 11,960 |
9 | 르노 | 9,436 | 9,337 |
10 | 폴크스바겐 | 7,637 | 7,393 |
| 기타 | 84,359 | 55,310 |
| 합계 | 254,748 | 239,771 |
자료원: Israel Vehicle Importers Association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은 자동차 생산이 없어 100% 수입에 의존
ㅇ 기업 현황
- 대부분의 기업들은 현지법인 또는 지사 없이 대리점만 운영하는 형태로 진출
- 한국 기업인 현대, 기아, 쌍용 등도 대리점만 운영하며, 일본자동차 주요 기업인 도요타, 마즈다, 미쓰비시도 대리점만 운영
ㅇ 수입관세구조
- 자동차 부품의 관세는 0~7%(품목에 따라 다름), 일부 자동차 대상으로는 구매세 30~50% 적용됨.
* 구매세(purchase tax)는 일종의 특별소비세 성격의 세금으로 수입 시 관세 및 부가가치세와는 별도로 부과됨. 구매세의 규모는 품목에 따라 다르며 자동차, 가전제품, 화장품, 담배, 주류, 건설자재 등 일부 품목에 부과됨.
□ 시사점
ㅇ 자동차는 이스라엘 주요 수입 품목이자 100% 수입의존품목으로 경제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해당됨.
- 자동차는 한-이스라엘 교역에 약 4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주요수출 품목으로 간주됨.
2.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 수출입 현황
ㅇ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자동차 부품 수입 규모는 연 2억9,0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2016년 8월 말 기준 독일이 점유율 17.8%로 1위, 중국 11.7% 2위, 일본 10.6% 3위, 이탈리아 10.4% 4위를 차지함.
이스라엘의 자동차 부품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
1 | 독일 | 57(19.7) | 53(18.3) | 38(17.8) |
2 | 중국 | 33(11.2) | 35(12.2) | 25(11.7) |
3 | 일본 | 28(9.6) | 28(9.8) | 22(10.6) |
4 | 이탈리아 | 33(11.4) | 29(9.9) | 22(10.4) |
5 | 한국 | 20(6.9) | 19(6.7) | 13(6.4) |
6 | 미국 | 13(4.6) | 15(5.3) | 11(5.2) |
7 | 터키 | 13(4.5) | 13(4.5) | 9(4.4) |
8 | 대만 | 12(4.2) | 13(4.6) | 9(4.2) |
9 | 스페인 | 11(3.8) | 12(4.2) | 8(4.1) |
10 | 프랑스 | 12(4.2) | 11(4.0) | 8(3.9) |
| 기타 | 62(21.0) | 65(22.1) | 50(23.2) |
| 합계 | 294 | 293 | 215 |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입 현황
- 2016년 8월말 기준 1,300만 달러, 점유율 6.4%로 수입대상국 5위임.
ㅇ 수출 현황
- 이스라엘의 자동차 부품 수출 규모는 연 9,200만~9,4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출 대상국은 2016년 8월 말 기준 미국이 점유율 31.6%로 1위, 독일 20.8% 2위, 영국 16.1% 3위, 러시아 4.8% 4위
이스라엘의 자동차 부품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 국가명 | 2014년(증가율) | 2015년(증가율) |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
1 | 미국 | 31(33.2) | 30(32.6) | 18(31.6) |
2 | 독일 | 20(21.7) | 17(18.6) | 12(20.8) |
3 | 영국 | 19(20.3) | 17(18.4) | 9(16.1) |
4 | 러시아 | 3(3.7) | 6(6.8) | 2(4.8) |
5 | 프랑스 | 3(4.0) | 4(4.3) | 2(3.7) |
6 | 카자흐스탄 | 0.05(0.05) | 2(2.2) | 2(3.5) |
7 | 멕시코 | 1(1.1) | 1(1.7) | 1(2.7) |
8 | 헝가리 | 2(2.3) | 1(1.9) | 1(2.5) |
9 | 슬로베니아 | 0.4(0.4) | 0.5(0.5) | 1(1.8) |
10 | 벨기에 | 2(3) | 0.9(1.06) | 0.8(1.5) |
33 | 한국 | 0.29(0.25) | 0.08(0.09) | 0.04(0.07) |
기타 | 12(12.7) | 12(13.0) | 8(14.0) | |
합계 | 94 | 92 | 57 |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출 현황
- 2016년 8월 말 기준 4만 달러, 점유율 0.07%로 수출대상국 33위 차지
□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에는 약 60개의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 존재
- 생산업체의 다수가 이스라엘이 아닌 미국, 중국 등 제 3국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품목의 제3국 수출이 높음.
- 현지 주요 자동차 부품 생산품목으로는 자동차 액세서리, HVAC 시스템, 차량관리시스템, 에어 브레이크, 엔진오일 온도조절 장치, 기어 및 기어 펌프, 연료분사 장치, 오일, 필터, 윤활제, 엔진 베어링 및 밸브, 전압 레귤레이터 및 정류기 등이 있음.
ㅇ 기업 현황
- 이스라엘에는 약 280개 기업이 자동차 부품 산업에 종사, 그 중 50개사가 OEM 부품 공급, 25개사가 자동차 시스템 공급 및 서비스 제공, 16개사가 버스 및 차량 설계 및 조립 관련 업체임.
- 170개사가 해외로 수출하며, 연평균 수출 규모는 9,000만 달러 수준
- 현지진출 해외 기업으로는 GM, Ford Motor, Toyota등이 R&D 센터를 설립해 진출해있으며, 한국 기업 진출은 없음.
이스라엘의 주요 자동차 부품 생산기업
업체명 | 홈페이지 | 주요 생신품목 | 주요 공장위치 |
Plasan Sasa | Carbon Fiber Parts | 미국 | |
MAG | Electronic Parking Brake | 미국 | |
Raviv | Fuel Venting Systems | 미국, 중국 | |
Raval | Washing Systems, Valves | 미국, 중국 | |
Ditron Precision | Precision Parts | 이스라엘 | |
Montorad | Cooling Systems | 멕시코 | |
Tradir Gan | HPDC Products | 독일, 미국 | |
Omen Casting | Engine Parts | 포르투갈 | |
Foamotive | PE Foam Gaskets | 미국, 캐나다 | |
Nordia Springs | Compression Springs | 이스라엘 |
자료원: Israel Export Institute, DB Israel
ㅇ 수입관세구조
- 자동차 부품의 관세는 0~6%(품목에 따라 다름), 일부 품목 대상으로는 구매세 12% 적용됨.
- 이스라엘로 수입되는 부품(정품수입 제외)은 ISO, ST 표준 필요
□ 시사점
ㅇ 자동차 부품은 한-이스라엘 교역의 상위 품목 중 하나로 주요수출 품목으로 분류됨.
3. 타이어(HS code 4011)
□ 수출입 현황
ㅇ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타이어 수입 규모는 연 2억 1,0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2016년 8월말 기준 중국이 점유율 48.6%로 1위, 독일 9.5% 2위, 이탈리아 6.2% 3위, 일본 6.0% 4위
이스라엘의 타이어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
1 | 중국 | 100(46.4) | 99(45.6) | 72(48.6) |
2 | 독일 | 21(9.8) | 25(11.8) | 14(9.5) |
3 | 이탈리아 | 12(5.5) | 14(6.5) | 9(6.2) |
4 | 일본 | 17(8.0) | 14(6.5) | 9(6.0) |
5 | 카자흐스탄 | 3(1.6) | 1(0.4) | 6(4.3) |
6 | 터키 | 3(1.8) | 5(2.3) | 5(3.4) |
7 | 미국 | 6(2.7) | 5(2.6) | 5(3.4) |
8 | 스페인 | 1(0.8) | 4(1.8) | 4(2.9) |
9 | 태국 | 9(4.3) | 10(4.7) | 3(2.6) |
10 | 인도 | 6(3.1) | 6(3.0) | 3(2.1) |
13 | 한국 | 6(2.7) | 5(2.6) | 2(1.4) |
기타 | 33(15.2) | 30(13.7) | 17(11.4) | |
합계 | 217 | 218 | 149 |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입 현황
- 2016년 8월 말 기준 218만 달러, 점유율 1.4%로 수입대상국 13위
ㅇ 대세계 수출 현황
- 이스라엘의 타이어 수출규모는 1억 2,000만~1억 6,0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출대상국은 2016년 8월 말 기준 미국이 점유율 25%로 1위, 독일 16.6% 2위, 프랑스 13.3% 3위, 네덜란드 7.5% 4위
이스라엘의 타이어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
1 | 미국 | 27(16.2) | 30(23.4) | 21(25.0) |
2 | 독일 | 32(19.7) | 25(19.7) | 14(16.6) |
3 | 프랑스 | 26(15.6) | 16(12.9) | 11(13.3) |
4 | 네덜란드 | 10(9.3) | 10(7.2) | 6(7.5) |
5 | 벨기에 | 14(8.5) | 10(8.0) | 5(6.8) |
6 | 덴마크 | 4(2.4) | 3(2.6) | 2(3.4) |
7 | 스페인 | 4(2.5) | 4(3.6) | 2(3.1) |
8 | 캐나다 | 4(2.6) | 2(2.2) | 2(3.0) |
9 | 이탈리아 | 3(2.0) | 2(1.3) | 1(2.3) |
10 | 스웨덴 | 2(1.5) | 1(1.3) | 1(1.9) |
55 | 한국 | 0.001(0.00) | 0.02(0.01) | 0.005(0.01) |
기타 | 42(24.8) | 25(19.3) | 18(21.4) | |
합계 | 169 | 129 | 84 |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출 현황
- 2016년 8월 말 기준 5,000달러, 점유율 0.01%로 수출대상국 55위
□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에서 생산되는 타이어는 해외 수출용으로 연평균 해외 수출 규모가 1억 4,000만 달러 수준
- 현지 생산 타이어는 농업용 트랙터 타이어로, 현지기업 Alliance가 주요 생산업체임.
- 일반 차량 및 버스 타이어는 현지 생산이 없으며 해외 수입(특히 중국)에 의존
ㅇ 기업 현황
- 이스라엘에는 약 600개 타이어 판매처가 있으며, 62개의 타이어 수입업체가 존재함(약 80개의 타이어 브랜드를 대표하는 에이전트).
이스라엘의 주요 타이어 수입업체
(단위: 백만 달러)
업체명 | 홈페이지 | 매출액 | 대표 브랜드 |
Alliance | 407 | Barum, Jinyu and Mickey Thompson | |
Weiss Group | N/A | Dunlop, Nexen, Fulda , Yokohama, | |
Autoluxe | 33 | Goodyear, Debica, Sava. | |
BMB | 17 | Goodyear, Debica, Sava. | |
M.I.H Import | 6 | Dunlop, Pirelli, Continental, | |
Sassel | 5 | Nokian, Michelin, Bridgestone | |
Shlomi Tyres | 1 | Kumho, Dunlop, Bridgestone |
주: 매출액순
자료원: Israel Export Institute, DB Israel
ㅇ 관세구조
- 타이어의 수입관세는 0%, 일부 타이어의 경우 12% 적용
- 이스라엘로 수입되는 타이어는 ECE 또는 FMVSS 표준 필요
□ 시사점
ㅇ 자동차 타이어는 100% 수입 의존 품목으로 경제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해당됨.
4. 통신기기(HS code 8517)
□ 수출입 현황
ㅇ 대세계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통신기기 수입 규모는 연 16억 달러 수준
- 주요 수입대상국은 2016년 8월 말 기준 일본이 점유율 31%로 1위, 베트남 19.7% 2위, 미국 12.6% 3위, 홍콩 7.6% 4위
이스라엘의 통신기기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 8월 말 기준 |
1 | 중국 | 599 (36.5) | 610(36.8) | 321(31.0) |
2 | 베트남 | 247(15.0) | 255(15.3) | 204(19.7) |
3 | 미국 | 187(11.3) | 153(9.2) | 131(12.6) |
4 | 홍콩 | 106(6.4) | 104(6.2) | 79(7.6) |
5 | 한국 | 95(5.8) | 126(7.6) | 59(5.7) |
6 | 말레이시아 | 39(2.3) | 45(2.7) | 34(3.2) |
7 | 대만 | 50(3.0) | 42(2.5) | 26(2.5) |
8 | 네덜란드 | 45(2.7) | 58(3.5) | 22(2.1) |
9 | 태국 | 27(1.6) | 17(1.0) | 13(1.3) |
10 | 아일랜드 | 12(0.7) | 16(0.9) | 13(1.3) |
기타 | 235(14.3) | 230(13.8) | 136(13.1) | |
합계 | 1,642 | 1,656 | 1,038 |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입 현황
- 2016년 8월 말 기준 약 6,000달러, 수입점유율 5.7%로 수입대상국 5위
ㅇ 대세계 수출 현황
- 이스라엘의 통신기기 수출규모는 15억~17억 달러 수준
- 주요 수출 대상국은 2016년 1~8월 기준 미국이 점유율 24.4%로 1위, 인도 12.5% 2위, 중국 4.9% 3위, 네덜란드 4.2% 4위
이스라엘의 통신기기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
1 | 미국 | 385(21.5) | 378(23.8) | 231(24.4) |
2 | 인도 | 159(8.8) | 181(11.4) | 118(12.5) |
3 | 중국 | 79(4.4) | 67(4.2) | 46(4.9) |
4 | 네덜란드 | 77(4.3) | 70(4.4) | 39(4.2) |
5 | 영국 | 58(3.2) | 57(3.6) | 36(3.8) |
6 | 홍콩 | 35(2.0) | 35(2.2) | 34(3.6) |
7 | 프랑스 | 58(3.2) | 40(2.5) | 29(3.0) |
8 | 독일 | 67(3.7) | 50(3.1) | 27(2.8) |
9 | 필리핀 | 35(1.9) | 40(2.5) | 26(2.8) |
10 | 멕시코 | 40(2.2) | 37(2.3) | 24(2.5) |
20 | 한국 | 24(1.3) | 21(1.3) | 11(1.1) |
기타 | 773(43.1) | 614(38.6) | 327(34.4) | |
합계 | 1,790 | 1,590 | 948 |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출 현황
- 2016년 8월 말 기준 1,100만 달러, 점유율 1.1%로 수출대상국 20위
□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에서 생산되는 통신기기로는 무전기, 경찰 및 군용 무선 데이터 단말기 등으로 수출 규모는 15억~17억 달러 수준
- 휴대폰(HS code: 85171290)은 현지 생산 없이 수입에 의존, 이스라엘의 휴대폰 수입 규모는 7억~8억 달러 수준이며, 삼성전자 점유율 30% LG 23%로 현지 시장에서 판매율 상위권을 차지
휴대폰 브랜드별 판매 현황
(단위: 대, %)
주요 브랜드 | 판매규모 | 점유율 |
Apple | 244,610 | 30.5 |
Samsung | 240,600 | 30 |
LG | 184,460 | 23 |
Huawei | 32,080 | 4 |
Meizu | 23,258 | 2.9 |
기타(Sony, HTC, Mio 등) | 76,992 | 9.6 |
주: 판매규모순
자료원: Gadgety
ㅇ 기업 현황
- 현지 통신기기 생산 업체 Motorola Israel사는 워키토키, 무선 단말기, 전기, 관개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인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uisition Systems) 시스템 등을 생산했으나 지난 2011년 Flextronics사에 인수
- 이스라엘의 군수 업체인 Elbit Arad(Elbit사가 Arad를 인수해 Elbit Arad라는 명칭으로 활동)는 군수용 통신장비 및 시스템 등 생산
- 현지진출 해외 기업으로는 삼성, LG, 애플사가 이스라엘에 R&D 센터 설립해 진출
이스라엘의 주요 휴대폰 수입업체
기업명 | 홈페이지 | 수입 브랜드 |
iDigital | Apple | |
Sunny Cellular Communication | Samsung | |
Ronlight | LG, Mio | |
Electra Consumer | Sony | |
Touch Group | HTC | |
Bug | Meizu | |
Rampal | All brands | |
CCom(HYE) | All brands | |
Orpark | l All brands |
자료원: DB Israel
ㅇ 관세구조
- 무선통신기기 수입관세는 0%, 구매세 15% 적용
- 이스라엘로 수입되는 무선통신기기는 이스라엘 표준원(SII)의 인증(#6095, #60065) 필요
□ 시사점
ㅇ 무선통신기기 중 휴대폰의 경우, 100% 수입 의존 품목으로 경제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해당됨.
5. 냉장·냉동기기(HS code 8418)
□ 수출입 현황
ㅇ 대세계 수입 현황
- 이스라엘의 냉장·냉동기기 수입 규모는 연 2억 6,000만~2억 9,0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2016년 8월말 기준 터키가 점유율 19.6%로 1위, 중국 15.7% 2위, 이탈리아 15.1% 3위, 태국 10.0% 4위
이스라엘의 냉장·냉동기기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
1 | 터키 | 55(18.6) | 51(19.4) | 41(19.6) |
2 | 중국 | 37(1.7) | 40(15.2) | 31(15.7) |
3 | 이탈리아 | 54(18.1) | 41(15.6) | 31(15.1) |
4 | 태국 | 27(9.2) | 24(9.2) | 21(10.0) |
5 | 프랑스 | 19(6.5) | 17(6.6) | 15(7.4) |
6 | 미국 | 12(4.1) | 11(4.3) | 10(4.8) |
7 | 한국 | 17(5.9) | 16(6.3) | 10(4.8) |
8 | 멕시코 | 13(4.6) | 13(4.9) | 8(4.0) |
9 | 독일 | 8(2.9) | 8(3.0) | 8(3.9) |
10 | 싱가포르 | 2(0.8) | 3(1.4) | 3(1.4) |
기타 | 54(18.) | 42(15.7) | 31(14.8) | |
합계 | 298 | 266 | 209 |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입 현황
- 2016년 8월 말 기준 1,000만 달러, 수입점유율 4.8%로 수입대상국 7위
ㅇ 대세계 수출 현황
- 이스라엘의 냉장·냉동기기 수출규모는 900만~1,500만 달러 수준
- 주요 수출 대상국은 2016년 1~8월 기준 프랑스가 점유율 46%로 1위, 독일 12.9% 2위, 우크라이나 7.4% 3위, 한국 4.9% 4위
이스라엘의 냉장·냉동기기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 8월 말 기준(점유율) |
1 | 프랑스 | 3(19.6) | 4(45.3) | 3(46.0) |
2 | 독일 | 3(21.7) | 2(23.2) | 1(12.9) |
3 | 우크라이나 | 0(0) | 0(0) | 0.6(7.4) |
4 | 한국 | 0.6(3.8) | 0.05(0.5) | 0.4(4.9) |
5 | 영국 | 0.3(2.0) | 0.5(6.3) | 0.3(4.5) |
6 | 미국 | 4(25.7) | 0.6(7.3) | 0.3(4.3) |
7 | 중국 | 0.5(3.6) | 0.1(1.5) | 0.3(4.2) |
8 | 사이프러스 | 0.2(1.6) | 0.2(2.5) | 0.2(3.1) |
9 | 인도 | 0.4(3.1) | 0.09(1.0) | 0.1(1.4) |
10 | 루마니아 | 0.01(0.08) | 0.1(1.1) | 0.1(1.2) |
기타 | 2.9(19.3) | 1.3(14.4) | 1.7(21.2) | |
합계 | 15 | 9 | 8 |
주: 금액순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ㅇ 대한국 수출 현황
- 2016년 8월 말 기준 40만 달러, 점유율 4.9%로 수출대상국 4위
□ 이스라엘 내 산업 현황
ㅇ 생산 현황
- 이스라엘은 상업용 냉장·냉동기기를 생산하며 연 수출 규모가 900만~1,500만 달러 수준
- 가정용 냉장고(HS code: 841821)는 현지 생산이 없어 수입에 의존, 연 수입 규모는 4,000만~5,000만 달러 수준
- 한국의 LG, Samsung 가정용 냉장고가 판매율 1,2위를 차지하며 이스라엘에 진출해 있음.
가정용 냉장고 브랜드별 판매 현황
(단위: 대, %)
순위 | 브랜드명 | 판매규모 | 점유율 |
1 | LG | 61,283 | 35 |
2 | Samsung | 52,528 | 30 |
3 | Sharp | 22,765 | 13 |
4 | Hair | 14,007 | 8 |
5 | Beko | 7,003 | 4 |
기타 | 17,509 | 10 | |
합계 | 175,095 | 100 |
주: 점유율 순
자료원: 이스라엘 경제지 Calcalist
ㅇ 기업 현황
- 이스라엘에는 7개의 냉장·냉동기기 생산 업체가 존재하며 특히 상업용 냉각 장비(Freezing Equipment, Hs code 841869) 생산에 집중돼 있음.
- 2016년 8월 말 기준 이스라엘의 냉각장비 수출규모는 199만 달러 수준
이스라엘의 냉장 및 냉동기기 생산 업체
기업명 | 홈페이지 | 생산품목 |
Kirur-Benny Ltd |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 |
Kirur Feldman Ltd |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 |
Iceman Ltd |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 |
Afkor Ltd |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 |
Damians Ltd |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 |
Agrikor Ltd |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 |
New center Ltd | 상업용 냉장고·냉동기 |
자료원: DB Israel
ㅇ 관세구조
- 품목에 따라 수입관세는 9.5~12% 수준
- 이스라엘로 수입 냉장 및 냉동기기는 이스라엘 표준원(SII)의 T.Y.900-2.24, T.Y.62552 표준 필요
□ 시사점
ㅇ 냉장 및 냉동기기 중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 100% 수입 의존 품목으로 경제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해당됨.
- 한국기업인 Samsung, LG가 시장에서 판매율 1, 2위를 차지하는 품목으로 한-이 교역에 민감한 품목으로 간주됨 .
자료원: GTA, DBIsrael, 이스라엘 경제지 The Marker, Calcalist,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멕시코, 한국산 강관 덤핑 조사 및 페로망간에 반덤핑관세 부과 (0) | 2016.12.27 |
---|---|
2017년 뉴질랜드 주요 경제 이슈 (0) | 2016.12.27 |
‘K-글로벌 차이나 2016’, 한중 ICT 기업 협력의 장 (0) | 2016.12.27 |
12월 이란 동향 3호 (0) | 2016.12.26 |
벨라루스 수출 확대, 공공조달 시장진출이 해답이다 (0) | 2016.12.26 |
- 에콰도르
- 캐나다
- 칠레
- 삼성
- 전시회
- 화장품
- 필리핀
- 독일
- 네델란드
- 브렉시트
- 호주
- 삼성전자
- 태국
- 브라질
- 인도
- 러시아
- 영국
- 일본
- 베트남
- 올림픽
- 자동차
- 리우올림픽
- 미국
- 콜롬비아
- 터키
- 리우
- 이스라엘
- 중국
- 홍콩
- 인도네시아
- 싱가포르
- 코로나
- 말레이시아
- 이란
- 스페인
- 멕시코
- 미얀마
- 프랑스
- 이집트
- 남아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