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경제 성장 및 인구 증가의 결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의류와 신발시장 꾸준한 증가세 -
- 사우디 내 한국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젊은 층의 한류에 대한 인기로 유리 -
□ 시장 현황
ㅇ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의류와 신발 분야의 시장은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 이는 경제 성장과 높은 인구증가율(2.8% 증가)의 결과임.
- 저유가와 더불어 이웃국가 예멘과의 전쟁으로 인해 경제적인 상황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직소득의 상승과 실업률 감소가 의류와 신발의 소비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됨.
- 그 외에도 대부분의 선두 브랜드들이 새로운 제품들을 자사 포트폴리오에 지속적으로 추가했으며, 소매유통업자들은 새로운 판매장과 네트워크를 확장한 것이 영향을 미쳤음.
ㅇ 사우디아라비아는 30세 이하의 청소년 인구의 비율이 65%를 넘을 정도로 젊은 세대의 비중이 높으며, 이러한 점이 의류와 신발의 수요를 견인하고 있음. 이들은 대부분이 글로벌 패션 트렌드에 정통하고, 최신 패션 트렌드를 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습득하고 있음.
ㅇ 사우디 의류 및 신발 시장은 대부분의 글로벌 브랜드들이 진출해 거의 완전경쟁시장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음. 그 중에서도 글로벌 탑 브랜드들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여타 중소 브랜드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음.
- 이는 대부분의 젊은 고객층이 인터넷 매체와 잦은 해외 여행을 통해 셰계적인 브랜드들을 접하면서 익숙하고 유명한 브랜드의 선호 경향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임. 또한, 실질소득의 상승으로 의류 및 신발 브랜드에 지출하는 비중을 늘리고 있는 것도 주요 원인임.
- 사우디에서 가장 유명하고 인기가 높은 브랜드는 Zara, H&M, Marks & Spencer and Gap 등임.
연도별 사우디의 의류 신발 시장규모 추이
(단위: 백만 리얄)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의류 | 36,811.5 | 39,896.3 | 43,561.4 | 47,339.3 | 51,726.9 | 56,712.2 |
신발 | 3,959.8 | 3,905.8 | 4,116.4 | 4,350.8 | 4,677.4 | 5,036.5 |
스포츠웨어 | 2,657.5 | 2,789.6 | 2,996.2 | 3,220.9 | 3,332.1 | 3,460.9 |
합계 | 40,771.3 | 43,802.0 | 47,677.7 | 51,690.1 | 56,404.3 | 61,748.7 |
자료원: Euro Monitor
ㅇ 사우디의 의류 신발은 대부분 아웃렛이나 오프라인 전문매장을 통한 판매이며, 온라인을 활용한 인터넷 판매 비중은 매우 낮은 편임. 최근 몇 년 동안 사우디는 인터넷을 통한 구매가 크게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평균 혹은 인근국가와 비교해도 낮은 수준임.
- 사우디는 일반인들이 뚜렷하게 즐길 수 있는 여가시설이 없어 대부분의 서민들은 곳곳에 산재한 쇼핑센터에서 주로 시간을 보내며, 의류와 신발이 주된 판매품목임. 이러한 까닭에 사우디의 쇼핑센터에는 세계 굴지의 의류 및 신발 브랜드들이 광범위하게 진출해 있으며, 어디서나 쉽게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온라인을 통한 구입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임.
- 사우디 소비자들의 특징은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정확한 사이즈, 스타일, 피팅 등을 직접 확인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온라인 판매가 부진한 또 다른 이유임.
ㅇ 2015년 말 기준으로 한 사우디의 의류시장의 규모는 약 567억2000만 리얄(약 151억2000만 달러)이며, 신발은 약 50억3000만 리얄(약 13억4000만 달러), 의류의 경우 전년대비 9%, 신발은 4.9%가 증가했음.
- 사우디의 의류 및 신발 시장은 상대적으로 향후 발전 여지가 많은 저개발 상태에 있지만, 국제적인 의류 및 신발 브랜드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는 더 많은 시장 진입자를 유인할 것이며, 기존의 진출 기업들도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됨.
ㅇ 비록 현재의 사우디 경제가 저유가로 인해 불황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따라 새로운 유통망의 건설 등 인프라 확장과 고용률 상승으로 인한 가처분 소득의 증가 등으로 의류·신발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임.
사우디의 연도별 의류 및 신발 판매량
(단위: 천 개)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의류 | 405,588.5 | 423,564.0 | 443,137.5 | 464,834.3 | 492,767.2 | 529,358.4 |
신발 | 26,087.1 | 27,029.5 | 28,273.8 | 29,326.7 | 30,994.6 | 33,169.8 |
합계 | 431,675.6 | 450,593.4 | 471,411.3 | 494,161.1 | 523,761.1 | 562,528.3 |
자료원: Euro Monitor
□ 수요 및 경쟁 동향
ㅇ 사우디 의류와 신발의 주된 소비자는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도 패션의 트렌드나 유행에 민감한 젊은 층임. 사우디는 인구의 65% 이상이 30대 미만의 젊은 층이며, 이 비율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
- 이들은 전자 기기 및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글로벌 패션정보를 습득하며 인지하고 있는 계층임. 여기에 많은 사우디 남성과 여성이 고용인구로서 의류와 신발에 많은 소득을 소비하고 있음.
- 이런 이유로, 사우디에 진출한 대다수 의류 및 신발 브랜드, 예를 들면, Zara, Bershka, Splash, H&M, Gap and Next 등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는 브랜드임. 유통상들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어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최신 패션 트렌드에 부합하는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음.
ㅇ 사우디는 향후 몇 년 동안 젊은 인구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전 세대와는 달리 디지털 기기를 통해 서구 패션 트렌드를 보다 빠른 속도로 받아들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또한, 대용량의 데이터와 이미지 파일의 유통이 가능한 통신 인프라의 출현으로 보다 많은 패션 관련 정보들이 전파되고 있음. 더욱 다양한 전자기기들을 통해 인터넷 접근이 가능해짐에 따라 세계 패션 트렌드 및 브랜드 정보가 소비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ㅇ 일반적으로 사우디 소비자는 유명브랜드에 집착하며, 자기만족적 소비와 동시에 남에게 과시를 위한 구매도 종종 이루어짐. 특히 외관으로 비쳐지는 의류와 신발의 경우는 다른 제품에 비해 더욱 브랜드의 인지도를 중시하며, 소득과 관계없이 잘 알려진 브랜드를 선호
- 사우디의 젊은 소비자들이 국제적인 패션 트렌드에 대한 지식을 더 많이 습득함에 따라, 대중 브랜드이든 고급 디자이너 의류 브랜드이든 상관없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패션 라벨의 의류 및 신발을 선호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음.
ㅇ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의류와 신발은 매우 다양한 브랜드가 완전 경쟁에 가까운 경합을 벌이고 있으며, 국제적인 유명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Zara, H & M, Gap, Marks & Spencer, Next, Aldo and Clarks 등이 사우디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 군이며, 이들은 충성스러운 사우디 소비자들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Emporio Armani, Ralph Lauren, Hugo Boss, Tod 's Louis Vuitton 및 Givenchy와 같은 명품은 소득이 높은 고소득층에서 즐겨 구매하는 브랜드임.
사우디 의류·신발 Top5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단위: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Al Bandar Trading | 15.2 | 16.0 | 16.8 | 17.7 | 18.5 |
Fawaz Abdulaziz Al Hokair | 5.2 | 5.3 | 5.3 | 5.2 | 5.1 |
M.H. Alshaya | 3.1 | 3.3 | 3.4 | 3.4 | 3.5 |
Addidas Group | 1.6 | 1.6 | 1.6 | 1.6 | 1.7 |
Lals Group | 1.0 | 1.1 | 1.1 | 1.1 | 1.2 |
자료원: Euro Monitor
□ 전망
ㅇ 향후 사우디의 의류 및 신발 수요는 젊고 감각적인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층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사우디의 의류 및 신발 시장이 여전히 발전 여지가 많고 국내산업이 미성숙단계여서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ㅇ 따라서 아직 사우디 시장에 선보이지 않은 의류 및 신발분야의 신규 브랜드가 지속 유입될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 우리 브랜드의 진출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임.
- Al Bandar Trading Co, Fawazz Abdulaziz Al Hokair & Co, MH Alshaya Co와 같은 패션 및 의류 시장에서 선도하는 소매 유통업체들은 다양한 국제 의류 및 신발 브랜드의 사우디 내 에이전트로 활약 중임.
- 이들 역시 매출을 증대하기 위해 보다 많은 해외브랜드 도입을 시도하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 개발에도 역량을 쏟고 있음. Fawaz Abdulaziz Al Hokair & Co는 2015년 후반에 Old Navy 브랜드를 진출시킨 것을 시작으로 후속 브랜드 역시 지속 진출시킬 것으로 예상됨.
ㅇ 사우디 경제는 현재 저유가로 침체를 보이고 있으나 2017년 이후에는 점진적인 회복세로 접어들 것으로 보이며, 안정적인 경제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여기에 고용 창출에 역점을 두는 사우디 정부는 자국민의 취업을 최우선적인 과제로 시도하고 있어, 취업 후 가처분소득이 증가하는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보임. 이는 자연스럽게 의류 및 신발류의 소비를 크게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며, 의류 및 신발의 시장은 이전보다 더 커질 것으로 보임.
- 아울러 기존 업체들의 공격적인 신규 브랜드 도입과 자체브랜드 개발 등 공격적인 매출 확대로 인해 시장 자체도 확장될 것으로 보임.
사우디의 연도별 향후 의류 신발 판매 예상액
(단위: 백만 리얄)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의류 | 61,110.1 | 65,951.3 | 71,283.9 | 77,248.7 | 83,911.7 |
신발 | 5,325.0 | 5,630.6 | 5,967.5 | 6,334.1 | 6,740.5 |
스포츠웨어 | 3,529.5 | 3,603.6 | 3,687.5 | 3,785.2 | 3,894.6 |
합계 | 66,435.0 | 71,581.9 | 77,251.5 | 83,582.7 | 90,652.2 |
자료원: Euro Monitor
□ 시장 확대방안
ㅇ 사우디는 자국 유통업체 보호를 위해 외국기업 단독으로 사우디 시장에 대한 서비스나 재화를 유통시킬 수 없음. 이는 수출입과 같은 무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원칙임. 따라서 외국기업 단독으로 의류나 신발류를 사우디 시장에 유통시키는 것은 제도적으로 금지돼 있음.
- 이에 따라 외국의 브랜드들은 사우디 내 유력기업을 에이전트로 활용해 자사 브랜드를 진입시키고 있으며 우리기업 역시 사우디 시장의 진출을 위해서는 동일한 방법을 활용해야 함.
ㅇ 다행히 사우디는 한국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와 신뢰도가 높아 의류나 신발과 같은 일반소비재의 진출에 좋은 환경을 구비하고 있음. 아울러 사우디의 대표적인 의류, 신발유통업체인 Al-Hokair 사는 한국브랜드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브랜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도입을 검토하고 있음.
ㅇ 더욱이 사우디는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보이지 않는 한류가 강하게 일고 있어 패션의류와 신발의 경우는 매우 높은 시장확대 잠재력을 보이고 있으므로 자사 제품에 대한 홍보물과 카탈로그를 사우디 내 의류 신발유통업체에 송부하고 면대면 협상을 통해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사우디 유통체인에 합류하는 것이 바람직함.
자료원: Euromonitor, Arab Consumer Market, Arab News, KOTRA 리야드 무역관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콜롬비아 석유, 가스 박람회 참관기 (0) | 2016.12.19 |
---|---|
OPEC 감산 합의에 따른 전망 및 러시아 입장 (0) | 2016.12.19 |
2017년 대베트남 수출 유망품목 전망 (1) | 2016.12.16 |
중국 식물보호용 무인기 시장동향 및 전망 (0) | 2016.12.15 |
기지개 펴기 시작한 터키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 (0) | 2016.12.15 |
- 태국
- 삼성전자
- 일본
- 이스라엘
- 캐나다
- 러시아
- 베트남
- 칠레
- 중국
- 에콰도르
- 홍콩
- 인도네시아
- 올림픽
- 삼성
- 남아공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이란
- 이집트
- 전시회
- 호주
- 영국
- 리우올림픽
- 네델란드
- 리우
- 미얀마
- 코로나
- 미국
- 자동차
- 인도
- 브라질
- 스페인
- 독일
- 브렉시트
- 터키
- 콜롬비아
- 멕시코
- 화장품
- 프랑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