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8일 삼계탕 등 닭요리 섭취가 증가하는 여름철에는 닭 등 가금류의 조리과정에서 교차오염에 의한 ‘캠필로박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캠필로박터균(Campylobacter sp.)은 동물, 가축, 조류의 위장에 존재하는 식중독균이다. 특히 닭 등 가금류의 장내에서 쉽게 증식돼 도축 등 가공단계에서 식육에 오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캠필로박터균의 잠복기는 2~7일이며 일반적인 식중독 증상인 구토·복통·설사가 나타나기 전에 발열·두통 등이 먼저 나타는 특징이 있다.
캠필로박터 식중독은 2011~2015년 총 67건이 발생했고 이 중 29건(43%)이 닭 요리를 많이 먹는 7~8월에 집중됐다.
이들 식중독 발생은 생닭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생닭과 접촉했던 조리 기구나 조리자의 손 등을 통해 교차오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지난 6월 대전의 한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한 식중독은 생닭을 씻는 과정에서 캠필로박터균에 오염된 물이 튀어 과일·채소에 교차오염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캠필로박터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생닭을 냉장고에 보관할 때에는 밀폐용기를 사용해 맨 아래 칸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생닭을 밀폐하지 않은 채 냉장보관하면 생닭에서 나온 육즙이 냉장고 내 다른 식품을 오염시킬 수 있다.
위생 처리돼 포장된 생닭은 별도로 씻는 과정없이 조리에 사용해도 무방하다.
다만, 생닭을 씻어야 할 때는 물이 튀어 주변 조리기구나 채소 등 식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식재료는 채소류, 육류, 어류, 생닭 순으로 씻어야한다.
생닭을 다뤘던 손은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로 씻은 후에 다른 식재료를 취급해야 하며 생닭과 접촉했던 조리기구 등은 반드시 세척·소독해야 한다.
조리 시 생닭과 다른 식재료는 칼·도마를 구분해서 사용하고 부득이 하나의 칼·도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재료 종류를 바꿀 때마다 칼·도마를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조리할 때에는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하고 특히 분홍색의 덜 익은 살이 남아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닭구이를 할 때에는 구이용 접시 바닥에 육즙이 남아있지 않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해야 한다.
문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안전국 식중독예방과 43-719-2105
[자료제공 :(www.korea.kr)]
'정책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소 자신의 모습 기록해야 완성도 높은 자소서 쓸 수 있죠” (0) | 2016.07.10 |
---|---|
박 대통령, 태릉선수촌 방문…리우올림픽 선수단 격려 (0) | 2016.07.10 |
“일자리 창출로 빈곤 퇴치가 꿈이에요” (0) | 2016.07.09 |
K-스포츠 타운 조성…스포츠 한류 확산 (0) | 2016.07.09 |
여름휴가를 두 배로 즐겁게! 길보드 차트! (0) | 2016.07.09 |
- 프랑스
- 캐나다
- 중국
- 삼성전자
- 스페인
- 칠레
- 호주
- 이스라엘
- 독일
- 러시아
- 브라질
- 이란
- 화장품
- 리우
- 말레이시아
- 미국
- 이집트
- 일본
- 네델란드
- 콜롬비아
- 삼성
- 인도
- 리우올림픽
- 에콰도르
- 남아공
- 터키
- 필리핀
- 태국
- 싱가포르
- 코로나
- 멕시코
- 영국
- 미얀마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브렉시트
- 홍콩
- 자동차
- 전시회
- 올림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