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러시아 GDP 대비 서비스 분야 비중
현재 러시아 정부에서 제공하는 통계 자료 중에서 GDP 대비 전 서비스 분야의 비중은 공시된 통계가 존재하지 않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음. |
ㅇ 2014년 경제침체 본격화 이후 서비스 비중은 다소 감소했음.
- 동식 통계자료는 부재하나 관련 기사 및 현지 전문 보고서 보면, 러시아 GDP 대비 전 서비스 분야 비중은, 2013년에는 69%, 2014년에는 59.7%, 2015년에는 56.2%라고 추정할 수 있음.
- 소련이 붕괴돼 자본주의가 수립돼가던 1990년대 평균 32.6%였던 것에 비하면 비약적인 발전이라고 볼 수 있음.
ㅇ 2014-2015년 러시아 GDP 구성 내 서비스 분야별 비중 변화 미비
- 러시아 경기 침체 시기인 2014년과 2015년 각 분야별 GDP 구성 비율의 변화는 대동소이함.
- 그 중 두드러진 서비스 분야의 변화는 부동산 서비스, 건강관리 서비스, 호텔 및 케이터링 서비스 등은 소폭이지만 비중이 증가했음.
- 전체 러시아 서비스 시장 내 산업별 비중 통계를 보면 주거서비스, 교통서비스, 통신서비스 등의 분야가 전체 유료 서비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함.
2015년 러시아 서비스 산업별 비중, 단위: 10억 달러 자료원 : 러시아 통계청 최근 3년간 각 서비스 산업의 월별 가격 변동 자료원: 러시아 고등 경제 대학
- 러시아 경기침체가 본격화하던 2014년 5월부터 서비스 가격은 전 분야에 걸쳐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음.
- 주택서비스, 해외여행서비스, 교육 서비스 등은 급격한 가격 상승 등 민감한 변화를 보이는 반면, 통신, 국내여행, 교통 서비스는오히려 감소하거나 유지 혹은 완만한 가격 상승을 보임.
* 해외여행의 급격한 가격 상승은 러시아 현지화 가치 급락에 따른 것으로 보임.
* 환율 변동(1달러당 루블/년도): 31.84(’13), 38.27(’14), 60.88(’15), 65.31(’16.6월)
□ 러시아 서비스 분야 대외교역 추이
◦ 서비스 분야 대외 교역은 전반에 걸쳐 적자 기록
- 대중교통서비스, 노동력이 필요한 제조 서비스, 수선 서비스를 제외하고 최근 5년간 서비스 분야 전반에서 꾸준한 교역 적자를 보이고 있음.
- 적자폭이 큰 순으로는 여행서비스가 1위(-264억 달러), 지적재산권 사용료(-49억 달러), 정보통신서비스(-15억 달러), 건설서비스(-11억 달러) 순임.
2011-2015년 외국 자본 서비스 기업 규모
(단위 : 10억 달러, 개사 )
| |
자료원: 러시아 통계청
- 외국 자본으로 운영되는 러시아 내 서비스 기업의 전체 수익은 2011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 외국 자본이 포함돼 운영되는 러시아 내 서비스 기업의 수는 도소매,자동차 수리, 가정용품 제화 제작 등 업체가 8천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부동산 서비스가 5천여 개로 그 뒤를 잇고 있으며 교통·통신 서비스도 3위를 차지하며 약 1700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러시아 서비스 분야 외국인 투자 현황
◦ 서비스 분야 대외 교역은 전반에 걸쳐 적자 기록
- 대중교통서비스, 노동력이 필요한 제조 서비스, 수선 서비스를 제외하고 최근 5년간 서비스 분야 전반에서 꾸준한 교역 적자를 보이고 있음.
2011-2015년 경제활동 분야 러시아 직접 투자 동향
(단위 : 100만 달러)
- 보험 및 금융 분야가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외국인 직접 투자 누적 총액은 2194억 달러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2015년에는 전년 대비 41% 감소를 보이며 급감함.
* 2014년 : 316억 달러 → 2015년 186억 달러
- 건설 분야는 2012년 이후 투자액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로 2012년에는 67억 달러였으나 2015년에는 20억 달러에 그침.
- 투자액 규모는 적지만 호텔 및 식당 분야 투자 2013년 3억4000만 달러, 2014년 3억8000만, 2015년 4억6000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ICT 분야의 경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50억 달러대의 투자를 유지하지만 동시에 투자액을 초과하는 투자 회수 금액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 결국 2015년 투자 24억 달러, 투자 회수 89억 달러를 기록함.
□ 시사점
◦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러시아 서비스 시장의 잠재력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이나 외국인 직접 투자액을 분야별로 보면 대부분 총액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임
◦ 투자액이 감소할 뿐 아니라 투자 회수 금액이 투자액을 초과하는 ICT 분야도 확인되는 등 외국인 투자자들이 잠재력 높은 러시아 서비스 시장 진입을 망설이는 요인이 있을 것임
◦ 한국 기업 중 이미 러시아 서비스 시장에 진출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인터뷰 등을 진행한 결과 분야별 진출 및 성장 장애 요인이 확인되었음.
◦ 이어지는 [러시아 서비스 유망 분야 및 진출 한계(2부)에서는 이 부분을 점검해보려함
- 러시아 서비스 시장 현황 및 진출 기업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진출 유망 분야
- 각 분야 애로사항 및 진출 한계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테러방지 및 관광객 유치강화정책으로 보안장비 확충 계획 (0) | 2016.11.23 |
---|---|
인도 스모그 악화일로, 공기청정기 시장은 탄탄대로 (0) | 2016.11.23 |
러시아 서비스 진출 유망분야 및 현실적 한계(2부) (0) | 2016.11.22 |
독일의 새로운 기회, 스마트 전기계량기시장 (0) | 2016.11.22 |
캄보디아 봉제산업의 현재 (0) | 2016.11.22 |
- 스페인
- 태국
- 리우올림픽
- 이스라엘
- 싱가포르
- 자동차
- 올림픽
- 홍콩
- 프랑스
- 남아공
- 멕시코
- 브렉시트
- 캐나다
- 인도
- 삼성전자
- 호주
- 독일
- 에콰도르
- 터키
- 중국
- 네델란드
- 브라질
- 리우
- 말레이시아
- 삼성
- 코로나
- 화장품
- 인도네시아
- 이집트
- 미국
- 콜롬비아
- 베트남
- 이란
- 영국
- 러시아
- 미얀마
- 필리핀
- 전시회
- 칠레
- 일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