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동전없는 사회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이제는 쓰는 사람도 들고 다니는 사람도 많지 않은 동전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매년 동전 제조비용은 약 500억원

동전을 만드는데 필요한 비용 대비

사용빈도와 효율성을 고려해보면

점차 제조비용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있다.

실제 10원 동전 하나를 만드는데

약30원이 소요된다.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2020년까지 동전 없는 사회를 추진하겠다.

한국은행은 금융기관,IT업체 등과 공동연구를 토대로

2020년까지 동전없는 사회를 구현할 계획인다.

한 가지 방안으로 거론되는 것은

거스름돈을 카드에 충전하거나 계좌에

입금하는 방법이다.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동전없는 사회의 양면

장점은 ?

1. 동전 제조비용 감소

2. 동전 소지와 거스름 거래의 번거로움 해소

3. 동전 보관과 관리비용 절감

단점은?

1. 지폐 단위에 따른 물가 상승

2. 고령자 등 전산거래 취약층 불편 초래

3. 전산 오류 및 보안 관련 문제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이미 동전 없는 사회에 들어선 국가들

덴마크, 스웨덴 : 일부 소매업종과 대중교통요금 현금결제 금지

프랑스 : 1000유로 이상 거래 시 현금결제 금지

라오스 : 동전 대시 지폐로 화폐발행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현금 없는 사회의 전단계?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동전없는 사회를 넘어

현금없는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이는 단순히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

지하경제 축소, 금융업 생산성 증대 등

투명한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동전 없는 사회, 새로운 미래

금융 산업과 IT기술의 발달로 인해

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되었지만 도입에 앞서

전자시스템 강화, 소액결재망 구축 등

필요사항이 먼저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여러분의 10원짜리는 안녕하신가요? 동전 없는 사회

나경제는 방청소를 하다가 우연히 굴러다니는 동전들을 보며 감상에 빠졌어요. 이제는 쓰는 사람도, 들고 다니는 사람도 많지 않은 동전. 한국은행은 2020년까지 동전 없는 사회를 구현할 계획인데요, 동전 없는 사회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자료제공 :(www.korea.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