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용노동부는 21일 올해 상반기에 임금을 결정한 3691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임금체계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조사된 사업장 3650곳 중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한 사업장은 12.4%인 454곳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전체에 걸쳐 임금체계를 개편한 사업장 비중(100인 이상 사업장 1만 283곳 중 556곳, 5.4%) 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올해 상반기의 임금체계 개편 방식을 보면 사업장별로 상황에 맞춰 다양한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근속·연공급을 축소·폐지하는 비중이 거의 절반(47.7%)에 육박하고 있다.
노조가 있는 사업장(13.5%)이나 없는 사업장(12.3%)에서의 개편율은 비슷했으며, 규모가 클수록 개편율은 소폭 하락했다.
또한 6월말 현재 조사대상 사업장(3691곳) 중 연봉제를 운영 중인 사업장은 36.7%(1356곳)이며, 연봉의 일부를 성과와 연동시키는 성과연봉제를 운영하는 사업장은 12.2%(449곳)였다.
연봉제 도입 사업장 중 성과연봉제 운영 사업장의 비중은 100~300인 미만 30.2%, 300~500인 미만 40.6%, 500인 이상 46.8%로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한편, 임금체계 개편 계획과 관련해서 조사대상 사업장(3691곳) 중 500곳(13.5%)이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임금체계 개편 계획이 있는 사업장의 대부분은 성과연봉제 도입·확대(42.2%), 근속·연공급의 연공성 완화(33.6%), 집단성과급·각종 인센티브의 평가 차등(30.6%) 등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체계 개편시 평사원과 관리자급 모두 포괄해 추진하겠다는 사업장이 81.2%를 차지했다. 개편 시기는 1년 이내가 169곳(33.8%)으로 가장 많고, 68개(13.6%)사업장은 현재 개편이 진행중이다.
고용노동부 임서정 노사협력정책관은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는 사업장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현장 노사의 임금체계 개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성과연봉제 등 기업의 실정에 맞는 직무·성과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이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정부는 개편 우수사례 발굴·홍보 및 컨설팅, 임금정보 제공 등 현장의 임금체계 개편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 고용노동부 노사협력정책과(044-202-7588)
[자료제공 :(www.korea.kr)]
'정책 뉴스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적인 자전거 도시, 행복도시 (0) | 2016.09.26 |
---|---|
복지부·문체부 공동 ‘의료관광협의체’ 출범 (0) | 2016.09.22 |
정부, 경주시 특별재난지역 선포 예정 (0) | 2016.09.20 |
급경사지 안전점검 연 1회서 2회 이상으로 강화 (0) | 2016.09.20 |
4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임금 울산 429만원 최대 (0) | 2016.09.19 |
- 말레이시아
- 스페인
- 태국
- 독일
- 리우
- 베트남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중국
- 멕시코
- 리우올림픽
- 프랑스
- 올림픽
- 러시아
- 네델란드
- 삼성전자
- 칠레
- 브라질
- 미국
- 미얀마
- 홍콩
- 삼성
- 남아공
- 캐나다
- 콜롬비아
- 이스라엘
- 화장품
- 브렉시트
- 에콰도르
- 코로나
- 이집트
- 영국
- 이란
- 일본
- 싱가포르
- 전시회
- 터키
- 자동차
- 호주
- 인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