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몽골정부, 국가 장기개발정책 2050으로 미래 전략방향 공개 -
- 향후 30년간 추진될 주요 187개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도 포함 –
□ 몽골 장기 개발정책 ‘비전 2050’ 개요
○ 몽골정부는 지난 1.31일 몽골의 장기 개발정책인 ‘비전2050’을 국회에 제출했음. ‘비전2050’은 2019년 4월 30일, 후렐수흐(U. Khurelsukh) 총리가 한국, 중국과 같이 50년, 100년을 내다보는 장기 개발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함에 따라 몽골 총리령 제52호에 의해 전담팀이 구성되었고 이후 7개월간의 작업을 거쳐 완성되었음. 이 전담팀은 오윤에르덴(L. Oyun-Erdene) 내각 사무국장 주재로 각 분야 학자, 연구인력, 13개 부처의 사무국장, 일부 청장, 대학교 학장, 비정부기구 대표 등 총1,500여명으로 구성되었음.
○ ‘비전2050’은 몽골이 1992년부터 단·중·장기계획으로 추진해 온 517개 프로젝트, 프로그램, 정책 및 계획에 대한 평가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30년간 장기 개발계획을 담고 있음. 이번 계획은 지난 1월 26일 국무회의 통과후 국회에 제출된 상태이며, 오는 4월 정기국회에서 심의, 표결후 국가개발계획으로 확정될 예정임.
‘비전 2050’ 장기개발정책 : 9개 카테고리, 50개 개발 목표 ①문화강국 ②인간개발 ③삶의 질 및 중산층 확대 ④경제발전 ⑤바른 정부 ⑥녹색 개발 ⑦평화롭고 안전한 사회 ⑧지역 개발 ⑨울란바토르 및 위성도시 등 총 9개 카테고리로 각 4개에서 57개 실행목표와 이에 따른 세부사업을 제시한 총 479쪽 분량의 방대한 개발계획으로 2020년~2050년간 시행하는 총 187개의 프로젝트를 포함. |
○ 참고로 몽골은 1996년 “몽골개발정책”, 1998년 “몽골 21세기 안정적인 개발 계획”, 2001년 “지역개발정책”, 2007년 “국립 개발종합정책” 등 단기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해 왔으며, 장기 개발계획은 2016년 2월 15년 단위의“국가개발계획 2030”이 최초였으며 이번이 두 번째임.
□ 몽골 장기 개발정책 ‘비전 2050’ 주요 특징
○ 기존 계획 대비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계획안
- ‘비전 2050’는 이전의 ‘비전 2030’과 달리 10년 단위로 전망치를 3단계로 제시해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임.
- 몽골정부는 ‘국가개발계획 2030’에는 20개 목표에 대한 전망치를 발표했으나 이번 ‘비전 2050’에는 각 9개 항목별로 4개에서 57개 세부지표(총143개)에 대한 전망치를 10년 단위로 작성
- 아래는 기존 ‘국가개발계획 2030’에서의 거시지표 20개 기준으로 ‘비전 2050’정책에서의 전망을 비교한 표임.
몽골 ‘국가개발계획’에서의 일부 경제지표 전망치 현황
№ | 구분 | 단위 | ‘국가개발계획 2030’ 전망 | ‘국가개발계획 2050’ 전망 | ||
기존 통계 (2014년) | 향후 전망 (2030년) | 기존 통계 (2018년) | 향후 전망 (2050년) | |||
1 | 평균 경제성장률 | % | 7.8 | 6.6 | 6.9 | 6 |
2 | 1인당 GNP | 달러 | 4,166 | 17,500 | - | - |
3 | 인간개발지수 | 순위 | 90 | 70 | 92 | - |
4 | 평균 수명 | 년 | 69.57 | 78 | 70.2 | 73.5 |
5 | 빈곤율 | % | 21.6 | 0 | 28.4 | 5 |
6 | 국가경쟁력지수 |
| 104 | 70 | 102 | - |
7 | 사업 운영 |
| 56 | 40 | - | - |
8 | 자연환경 |
| 111 | 90 | - | - |
9 | 경제활동인구 사회보험 가입률 | % | 84.4 | 99 | 73.6 | 100 |
10 | 소득 불평등 수치 |
| 36.5 | 30.0 | - | - |
11 | 신생아 1,000명당 유아사망율 | % | 15.1 | 8 | 13.4 | 2.3 |
12 | 1,000명당 산모 사망율 | % | 30.6 | 15 | 27.1 | 5.0 |
13 | 초중고등학교 1교실당 학생수 | 명 | 27.3 | 20 | 31.5 | 25 |
14 | 세계동물보건기구 검역조건 충족지역 비중 | % | 0 | 60 | - | - |
15 | 사막화된 지역 비중 | % | 78.2 | 68 | - | - |
16 | 보호지역 비중 | % | 17.4 | 30 | 20.1 | 35 |
17 | 몽골 관광객수 | 백만명 | 0.392 | 2.0 | 0.6 | 6 |
18 | 안정적 전기 공급가구 비중 | % | 89 | 100 | 89 | 100 |
19 | 총수출 중 가공업 비중 | % | 17 | 50 | - | - |
20 | 주요 연료의 국내 공급 비중 | % | 0 | 100 | 0 | 100 |
○ SWOT 분석에 따른 계획 수립
- ‘비전2050’은 2018년까지 몽골정부에서 시행한 개발계획 및 정책을 분석, 평가해 강점 및 약점, 기회 및 위협요인을 분석한 후 작성하여 실행력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임.
- 이에 따라 기존 계획안과 달리 목표 달성가능성을 높인 현실적인 목표를 제시하였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장기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몽골의 SWOT분석은 아래와 같음.
강점(Strength) | 기회(Opportunity) |
- 오랜 역사의 몽골 유목민 문화 보유
- 독립국으로 자체적 개발 정책을 시행하며, 여러 국가와 동등한 협력 가능
-국내외의 마찰이 없음.
- 국민의 높은 교육수준
-넓은 영토로 목축업, 오기농업 등으로 식량의 자급자족 가능
- 풍부한 자연자원 보유
- 원자재 수요가 가장 높은 시장과 접경하는 지리적 위치
| - 몽골의 대외 영향력 확대, 문화 및 관광 분야 생산성 증대
- 중국, 러시아와의 평화협력으로 시장 진출 등 경제발전 기회 확대
- IT발전 가속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비용 감소, 신제품 출시 가속화 및 효율 증대
- 글로벌화에 따른 외국인투자자 유치가능성
- 오가닉 제품을 생산 및 수출기회 확대
- 인프라, 철도, 물류센터 체계 구축으로 대외 의존시장 확대 |
약점(Weakness) | 위협(Threat) |
- 불안정하고 일관성이 없는 정부 정책, 잦은 정권교체에 따른 실행력이 낮은 정부조직
- 관료주의 및 만연한 부정부패
- 열악한 비즈니스 환경
- 높은 인구 밀집도와 국경 도시 인구과소 및 삶의 환경 취약 - 질병에 취약
- 제한적인 노동인력과 전문인력 부족
- 비효율적·낙후기술에 따른 낮은 제품 경쟁력
- 적자 재정 및 부족한 외환보유고
- 주요 수출품인 자원가격의 세계 시장가격 변동에 따른 대외 변동성 다대
- 기후 영향을 많이 받는 목축업/농업
- 내륙국 위치 및 미약한 인프라 개발
- 부실한 공무원관련 정책
- 방사성/화학 물질에 대한 검사 부실 | - 문화 자원의 영향력 감소
- 정부의 불안정한 정책으로 인한 불안한 외국인투자환경 위험
- 높은 수준의 외채
- 경제구조에 따른 불안정한 경제성장
- 과도한 광업 의존 경제구조와 수출입 편중도
- 대형 광산개발에 장기간 소유
- 높은 빈부격차
- 학교수에 비해 낮은 교육 품질
- 도시와 지방간 격차가 크고 높은 실업률과 빈곤율
- 높은 인구 밀집도로 인한 토지 및 공기오염
- 중장기적 노동인력 부족 및 노동력의 대외 유출 증가세
- 국민 질병인 심장질환과 암 사망률 증가세
- 사이버범죄 발생 및 정보보호 취약 |
자료: ‘비전 2050’ 장기개발정책
○ 국민수요 중심으로 정책 개발
- ‘비전2050’은 기존의 개발정책과 달리 추상적이고 막연한 내용보다는 국민의 생활 향상을 목표로 두고 정책을 수립
- 이에 따라 정부안 초안 작성후 인터넷을 통해 국민의견을 수렴하는 등 국민 중심의 정책개발에 노력 경주
“비전 2050” 장기개발정책 주요 9개 목표
№ | 목표 | 세부 내용 | № | 목표 | 세부 내용 |
1 | 문화강국
| 문화유산에 대한 개념이 강한 민족이 될 것(세부 목표 4개) | 6 | 녹색 개발 | 녹색 개발을 통해 존중하여(중요시하여) 자연환경의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것(세부 목표 28개) |
2 | 인간 개발 | 몽골 인간개발지수를 0.9에 도달하고, 행복지수로 세계 상위 10개국에 포함될 것(세부 목표 57개) | 7 | 안전한 사회 | 몽골 민족의 이익 보호를 위한 국내외 환경을 구축(세부 목표 9개) |
3 | 삶의 질 및 중산층 | 만족스러운 삶의 환경으로 구성된 중산층의 비율을 2050년에는 전체 국민의 80%에 도달시킬 것(세부 목표 17개)
| 8 | 지역중심개발 | 안정적인 인구 정착 및 경쟁력 있는 몽골내 지역 개발(세부 목표 9개) |
4 | 경제발전 | GDP 6.1배 증가, 1인당 GDP 15,000US달러 도달, 세계 선진국 기준 도달할 것(세부 목표 11개)
| 9 | 울란바토르 및 위성 도시 | 살기 좋고, 친환경적이고, 국민 중심의 도시 개발(세부 목표 2개) |
5 | 바른 정부 | 안전한 정부, 인권 보호 및 공평한 체계 가동, 뇌물 없는 국가(세부 목표 6개) |
|
|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 ‘비전2050’중 9개 목표 및 세부내용
① 문화강국
- 몽골의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국가브랜드 등 대외적인 평가 제고
- 몽골의 유목민 문화와 전통 글씨 등 문화유산에 대한 교육확대
2018~2050년 문화강국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기존 통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Nation brand index | 순위 | - | 70이상 | 60이상 | 50이상 |
2 | 공무원의 몽골어 및 전통문자시험 평균점수 | 평균 점수 | - | 80+ | 90+ | 100 |
3 | 신 발명품 국내 특허 신고 수 | 개 | 82 | 200+ | 400+ | 600+ |
4 | 세계적인 문화 작품 수 | 개 | - | 5+ | 20+ | 100+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② 인간개발
- 인간 개발을 교육, 보건, 가정, 기술 및 혁신, 삶의 환경, 노동시장 등 6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개발 정책 수립
2018~2050년 인간개발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기존 통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인간개발지수 | 지수 | 0.74 | 0.8 | 0.85 | 0.9 |
2 | 유치원 참여율 | % | 75.3 | 95 | 99 | 100 |
3 | 초등학교 참여율 | % | 96.6 | 100 | 100 | 100 |
4 | 초중교 참여율 | % | 97.1 | 100 | 100 | 100 |
5 | 초등교육에 대한 대외 평가 | % | 41.7 | 75 | 80 | 90 |
6 | 초중교육에 대한 대외 평가 | % | 37.1 | 75 | 80 | 90 |
7 | 초중고교육에 대한 대외 평가 | % | 39.9 | 75 | 80 | 90 |
8 | 전공 근무 대학 졸업자 비중 | % | - | 95 | 100 | 100 |
9 | 교사 및 해당 분야 평균 임금 | 천 투그리크 | 760.2 | 1,509.2 | 2,069.8 | 2,630.5 |
10 | 유치원 학급별 평균 학생 수 | 명 | 33 | 20-30 | 20-30 | 20-30 |
11 | 초중고 학급별 평균 학생 수 | 명 | 도시 35, 지방 28 | 25 | 25 | 25 |
12 | 에코 프로그램 참여 학교 비중 | % | - | 80 | 100 | 100 |
13 | 에코 프로그램 참여 유치원 비중 | % | - | 30 | 50 | 80 |
14 | 외국어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 개 | - | 20+ | 100+ | 300+ |
15 | 보건분야 전체 지출에서의 국민 부담 지출 비중 | % | 41 | 23 | 18 | 15 |
16 | 의료보험 가입자 수 | 명 | 2824700 | 3752549 | 4596540 | 5010310 |
17 | 의료보험 가입자 비중 | % | 88.9 | 95 | 100 | 100 |
18 | 사회보장보험 가입 노동자 비중 | % | 73.6 | 88 | 96 | 100 |
19 | 노동자 비중 | % | 56.3 | 60 | 70 | 80 |
20 | 실업률 | % | 8.6 | 7 | 5 | 3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③ 삶의 질 및 중산층
- 몽골 중산층 비중을 16.2%에서 80%까지 증가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
- 몽골 근로자 지원 제도로 가구 소득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는 등 중산층을 전체 인구의 80%까지 확대하는 것이 주 목표임.
2018~2050년 삶의 질 및 중산층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기존 통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중산층 비중 | % | 16.2 | 55 | 70 | 80 |
2 | 인구 성장률 | % | 1.9 | 1.6 | 1.7 | 1.8 |
3 | 총인구중 지방 인구비중 | % | 32.6 | 40 | 45 | 50 |
4 | 아파트 저금리 대출자 | 명 | 71,073 | 90,000 | 110,000 | 130,000 |
5 | 신규 법인설립 수 | 개 | 2,641 | 8,857 | 14,509 | 20,161 |
6 | 활동중인 중소기업 수 | 개 | 62,128 | 120,218 | 173,026 | 225,835 |
7 | 중소기업의 직원수 | 명 | 2,335 | 6,136 | 9,592 | 13,048 |
8 | 수출 중소기업 수 | 개 | 358 | 885 | 1,365 | 1,845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④ 경제발전
- 몽골정부는 2050년에 전체 GDP를 777억 달러, 1인당 GDP를 15,000달러까지 확대하기 위해 기존 광업 의존적 경제구조에서 탈피
- 제조업(중공업, 경공업, 식품), 광산업, 에너지산업, 운송업, 관광업 등 업종 중심으로 개발 예정
2018~2050년 경제발전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2018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GDP/2018년 환율 기준/ | 억달러 | 130 | 321 | 540 | 777 |
2 | 1인당 GDP | 달러 | 4,009 | 8,299 | 12,004 | 14,682 |
3 | 경제성장률 | % | 6.9 | 6 | 6 | 6 |
4 | 경제부문별 GDP기여율 | % | 100 | 100 | 100 | 100 |
5 | 광업 | % | 24.3 | 31.4 | 26.8 | 25.3 |
6 | 제조가공업 | % | 10.9 | 14.6 | 20.3 | 27.4 |
7 | 운송업 | % | 4.6 | 4.8 | 9.7 | 11.6 |
8 | 기타 | % | 60.2 | 49.2 | 43.2 | 35.7 |
9 | 인플레이션 | % | 8.1 | 6 | 4 | 2 |
10 | 빈곤율 | % | 28.4 | 15 | 10 | 5 |
11 | 수출 | 백만 달러 | 7,011.8 | 20,000 | 36,000 | 52,000 |
12 | 외국 관광객수 | 백만 명 | 0.6 | 2 | 4 | 6 |
13 | 환승 화물 | 백만 톤 | 3.4 | 10 | 20 | 30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⑤ 바른 정부
- 스마트 정부, 전자정부, 능력 있는 공무원, 인권 보호, 뇌물 없는 정부 구성 등을 목표로 설정
- 1992~2017년간 총14개의 정부를 통한 국정운영으로 한 정부당 평균 유지 기간은 1.8년으로 나타나 정책의 일관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
2018~2050년 바른 정부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기존 통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WB 정부 지수: 정부 효과 | % | 45.7 | 71.9 | 80 | 85 |
2 | WB 정부 지수: 조정 품질 | % | 54.8 | 78.2 | 80 | 85 |
3 | WB 정부 지수: 법률 체계 | % | 44.7 | 46.7 | 47.7 | 51.8 |
4 | WB 정부 지수: 국민 목소리 및 책임 | % | 57.1 | 70.2 | 75.5 | 76.7 |
5 | 전자 정부 개발 지수 | 점 | 0.5824 | 0.8 | 0.85 | 0.9 |
6 | WB 정부 지수: 뇌물 감시 | % | 39.9 | 45.3 | 52.2 | 60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⑥ 녹색 개발
- 비계획적 도시 확대, 인프라 부족, 낙후된 장비, 빈곤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한 공기오염과 국민 삶의 환경 악화로 녹색개발 계획 추진
2018~2050년 녹색 개발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기존 통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EPI | 점 | 57.21 | 59 | 60 | 61+ |
2 | 국가 보호 지역 비중 | % | 20.1 | 30 | 33 | 35 |
3 | 광산 재생면적 비중 | % | - | 30 | 60 | 80 |
4 | 생수 공급받는 인구 비중 | % | 82.5 | 87 | 90 | 90 |
5 | 재활용 쓰레기 비중 | % | 7.6 | 30 | - | - |
6 | 파괴 쓰레기 비중 | % | 25.6 | 64 | 45 | 50 |
7 | 정부의 녹색 구입 비중 | % | - | 20 | 40 | 50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⑦ 안전한 사회
- 몽골정부는 국방력 강화, 인권, 자유, 사회규칙, 안전한 생활환경 등으로 재난 리스크를 감소시켜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계획 수립
2018~2050년 안전한 사회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기존 통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세계 평화 지수 | 지수 | 1.79 | 1.49 | 1.26 | 1 |
2 | 글로벌화 지수 | 지수 | 56.97 | 63.99 | 69.39 | 74.79 |
3 | 국방부의 GDP 기여율 | % | 0.7 | 1.5 | 1.8 | 2.0 |
4 | 사이버 안전 관련 지수 | 점 | 0.465 | 0.490 | 0.530 | 0.550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⑧ 지역 중심 개발
- 몽골정부는 몽골을 6개(서부, 항가이, 알타이, 중앙, 고비, 동부)지역으로 분류해 국가 안전, 경제, 사회, 정치, 행정, 역사, 문화 등 기준으로 각 지역 중심의 개발 계획 수립
2018~2050년 지역중심개발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2018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경제 Mikro지역 로지스틱 센터 | 개 | - | 63 | 59 | 68 |
2 | 신규 설립된 식품경공업 공장 수 | 개 | - | 2 | 2 | 2 |
3 | 광업 분야에 신규 설립된 기업 수 | 개 | 4 | 378 | 307 | 217 |
4 | 준공업 공장 수 | 개 | 1 | 33 | 26 | 26 |
5 | 국제공항 수 | 개 | 1 | 8 | 7 | 9 |
6 | 정보통신단지 | 개 | - | 48 | 48 | 48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⑨ 울란바토르 및 위성도시
- 수도 울란바토르시는 전체 면적의 0.3%를 차지하나 전체 인구의 45%가 거주하고 있어, 인구 밀집으로 인한 공기오염, 교통, 인프라 부족 등 여러 문제 발생
- 인구 밀집도를 해결하기 위해 위성도시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또한 초중고등학교 및 유치원 환경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설 내 체육관, 도서관 등 부대시설을 갖추는 등 세부적인 사업계획 포함
2018~2050년 울란바토르 및 위성도시 부문 세부목표
№ | 지수 | 단위 | 기존 통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1 | 도시개발지수(CDI) | 지수 | 0.68 | 0.75 | 0.81 | 0.88 |
2 | 도시 지수 | 지수 | 0.5 | 0.63 | 0.76 | 0.93 |
자료: ‘비전 2050’장기개발정책
□ 시사점
○ ‘비전 2050’은 기존 개발계획에 비해 보다 달성가능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개발계획으로 평가되며 몽골 정부가 30년 뒤의 미래를 그린 청사진으로 참고할 가치가 있음.
- 몽골 최초로 30년 단위의 장기개발계획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 집단을 총동원해서 작성되었으며 인프라개발, 프로젝트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
- '비전 2050' 장기개발정책을 수립한 몽골 경제학자 Dorj(도르지)씨 인터뷰에 따르면, 일본, 한국, 싱가포르, 대만 등 국가들은 40~50년 단위로 개발정책을 수립해 이를 5년 단위로 중간 평가하여 짧은 기간내 우수한 발전 효과를 보였으며, '비전 2050'도 30년 단위 개발정책이지만 10년 단위로 중간 평가가 있어 상기 국가들과 같은 발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강조함.
○ 기존의 2030에서는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제시했으나 ‘비전2050’에서는 4차 산업혁명, IT산업 발전 등 글로벌 트렌드에 맞는 제조업 및 산업 발전방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외국인 투자유치 필요성에 대해 강조
- 몽골정부는 SWOT 분석을 통해 몽골의 강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외국인투자유치 필요성 제시
○ 또한 ‘비전 2050’ 시행을 위해 현재가치 기준으로 약 145.1조 투그리크(527.3억US달러) 규모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여기에는 지역개발, 도로·철도·에너지 등 인프라개발 등 187개의 다양한 프로젝트가 추진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관련된 우리 기업의 관심이 요망됨.(187개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정보는 국회 통과 및 확정후 세부내용 게재할 예정임.)
정보원: ‘비전 2050’, 몽골 장기개발정책 2030, KOTRA울란바토르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 코로나19로 관광 및 서비스업 침체 우려 (0) | 2020.03.05 |
---|---|
2020년 트럼프 행정부 무역정책 아젠더 보고서 발표 (0) | 2020.03.04 |
아프리카, 4차 산업혁명을 꿈꾸다! 아프리카개발은행 세미나 참관기 (0) | 2020.03.04 |
에티오피아 최적의 비즈니스 파트너를 찾아라! (0) | 2020.03.03 |
다양한 전략 펼치는 미국 패스트푸드 업계 (0) | 2020.03.03 |
- 이스라엘
- 말레이시아
- 삼성전자
- 터키
- 이집트
- 화장품
- 이란
- 중국
- 칠레
- 캐나다
- 싱가포르
- 삼성
- 올림픽
- 네델란드
- 영국
- 홍콩
- 자동차
- 일본
- 멕시코
- 미얀마
- 에콰도르
- 전시회
- 태국
- 호주
- 필리핀
- 프랑스
- 인도
- 남아공
- 러시아
- 브라질
- 코로나
- 브렉시트
- 독일
- 리우올림픽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콜롬비아
- 미국
- 스페인
- 리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