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침체로 폐업 속출, 리스크 낮은 프랜차이즈 선호 - - 경제위기와 원부자재 조달 어려움에도 꾸준히 성장 - □ 투자리스크 회피를 위해 경제위기에도 프랜차이즈는 오히려 증가 중 ㅇ 프랜차이즈 브랜드, 올해만 23개 증가 - 베네수엘라의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투자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사람들이 늘면서 프랜차이즈의 숫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음.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2015년 말 530개에서 최근에는 553개로 늘어남. - 이 중 62%는 국내 브랜드이고 나머지는 해외 브랜드임. - 베네수엘라에서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90년대 초반에 도입됐으며, 성장을 거듭한 결과 현재는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콜롬비아에 이어 중남미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프랜차이즈 업체가 운영되고 있음. ㅇ 서비스업 직접고용 창출에도..
- 국제 럼 페스티발에서 그 품질 인정받아 - - 내수에만 집중했으나, 경제위기로 해외수출도 활기 - □ 베네수엘라 럼이 좋은 이유 ㅇ 럼(Rum): 사탕수수의 부산물인 당밀이나 사탕수수즙을 발효, 증류시켜 만드는 증류주 - 주로 중미와 카리브 지역에서 만들며, 고급제품은 스트레이트로도 즐기지만, 라이트 럼의 경우에는 진과 보드카와 더불어 칵테일의 3대 베이스 중 하나로 유명함. - 가장 유명한 칵테일은 ‘꾸바리브레(Cuba Libre)’라고도 알려진 럼앤코크(Rum & Coke)이며, 이 외에도 모히또, 피냐콜라다와 과까마야, 오리야, 도라도 등의 칵테일을 만드는 데도 사용됨. ㅇ 베네수엘라의 럼은 가장 품질이 좋은 럼주 중 하나 - 네수엘라 럼은 대부분 프리미엄 급으로, 베네수엘라산 사탕수수의 함유량..
베네수엘라 경제위기에 대한 5가지 오해와 진실- 베네수엘라의 경제위기가 심각한 것은 사실이나, 외신보도는 일부 과장이 있어 -- 현지를 실제로 방문한 사람들은 매스컴 보도와 달리 시장을 긍정적으로 평가 –- 경제회복 시기에 대비해 기존 거래선과의 관계 유지에 주력해야 - □ 최근 베네수엘라 경제위기에 대한 자극적인 기사에 유의해야 ○ 중남미의 대표 자원부국으로서의 위상은 변함없어 - 최근 베네수엘라에 대한 기사를 보면, 먹을 것이 없어 기아에 허덕이고 치안이 극도로 불안해 바깥 출입을 할 수 없다거나, 콜롬비아까지 넘어가 먹을 것을 구하는 등 거의 북한과 비슷한 수준의 위기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음. - 이러한 기사들은 모두 사실에 근거한 것이긴 하나, 일부에 국한된 사실을 마치 전체가 모두 그..
베네수엘라의 어린이날 풍속도- 유아·아동용품 판매 급증 시기 -- 최근 경제위기로 2016년 판매 주춤 - □ 배경 ○ 베네수엘라의 어린이날은 1954년부터 기념하기 시작했으며, 매년 6월 셋째 주 일요일에 해당함(2016년은 6월 19일). ○ 연간 판매량으로는 크리스마스, 어머니날, 신학기(8월 말) 다음으로 판매량이 많은 시기이며, 특히 유아 및 아동용품의 판매가 급증하는 시기임(CAVEFAJ-베네수엘라 장난감·스포츠·오락협회). □ 소비동향 ○ 어린이날 소비 풍속도 - 어린이날에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장난감(60%), 옷이나 신발(20%), 전자제품(15%), 용돈이나 간식거리(5%) 등을 선물함. - 또, 인근의 자연공원이나 해변, 식당, 쇼핑센터(영화관) 등에 데려가는 경우가 많음. - 예전에는..
- 올림픽
- 이란
- 칠레
- 미국
- 화장품
- 중국
- 리우올림픽
- 이집트
- 태국
- 호주
- 콜롬비아
- 리우
- 프랑스
- 네델란드
- 홍콩
- 코로나
- 전시회
- 에콰도르
- 멕시코
- 러시아
- 자동차
- 미얀마
- 말레이시아
- 터키
- 베트남
- 캐나다
- 남아공
- 브라질
- 삼성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삼성전자
- 브렉시트
- 스페인
- 인도
- 일본
- 독일
- 이스라엘
- 영국
- 필리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