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대구공항 통합이전과 관련해 올해 말까지 후보지를 선정해 발표하기로 했다. 정부는 11일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열린 ‘대구공항 통합이전 TF’ 3차 회의에서 ‘대구공항 통합이전’ 사업의 추진방식과 추진일정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사업 추진방식으로는 통합 이전하되 민간공항 이전은 국토부 사업으로 추진한다.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통합 이전하되 공항별로 관리주체가 다르고 군 공항은 별도로 법이 정한 절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군 공항은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군공항이전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민간공항은 현 민항부지 매각대금 등을 활용해 국토부(공항공사)가 지역 거점공항으로서 장래 항공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규모로 건설하기로 했다. 다만,..
정부는 12일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위한 TF를 구성하고 이전 작업을 최대한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대구 군공항(K2)과 민간공항을 통합해 이전하는 작업을 추진하기 위한 ‘대구공항 통합이전 TF’를 즉시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무조정실장을 팀장으로 하는 ‘대구공항 통합이전 TF’에는 기획재정부, 국방부(공군), 환경부, 국토교통부, 행정자치부, 문화체육관광부, 국무조정실 등이 참여하게 된다.TF는 군공항(K2) 이전사업 방식과 절차, 민항기능 이전방안, 이전후보지 선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 대구시가 이날 이전건의서를 제출함에 따라 관련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이를 위해 정부는 ‘대구공항 통합이전 TF’ 1차 회의를 대..
- 브라질
- 이란
- 올림픽
- 리우
- 코로나
- 일본
- 이집트
- 스페인
- 프랑스
- 삼성
- 화장품
- 인도
- 브렉시트
- 네델란드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에콰도르
- 태국
- 콜롬비아
- 자동차
- 베트남
- 중국
- 전시회
- 필리핀
- 호주
- 인도네시아
- 칠레
- 캐나다
- 이스라엘
- 미국
- 러시아
- 남아공
- 영국
- 리우올림픽
- 터키
- 홍콩
- 미얀마
- 독일
- 멕시코
- 삼성전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