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인도 정부의 야심찬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10년간 신재생에너지 발전 5배 확대 -
- 태양광산업단지 조성, 농촌지역 태양광 패널 보급 등 사업기회 포착 필요 -
□ 인도 전력 현황
ㅇ 인도 발전수단별 발전량 현황
- 인도는 연 7% 이상 고속성장 중이며, 이에 전력 수요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인도 전력부(Ministry of Power)는 2017/18 회계연도 발전목표를 1조2294억 Unit으로 발표했는데, 이는 전년동기대비 500억 Unit이 증가한 수치임.
- 인도의 2017년 3월 말 기준 발전용량은 326,848.53MW이며, 발전수단별 분포는 다음과 같음.
2017년 3월 말 기준 인도 발전수단별 발전량 현황
(단위: MW)
| 화력 | 원자력 | 수력 | 신재생 | ||||
태양광 | 소규모 수력 | 풍력 | 바이오매스 | 합계 | ||||
발전량 | 218,329.88 | 6,780 | 44,478.42 | 12,288.83 | 4379.86 | 32,279 | 8,311.78 | 57,260.23 |
자료 : 인도 전력부 연간 보고서(2017.3월)
ㅇ 환경문제를 감안, 화력비중을 낮추고 원자력, 수력, 신재생 에너지 비율 상향
- 2017년 3월 말 기준 화력발전의 비중은 약 67%를 차지함. 2015년 파리기후협약 이후 모디 총리는 석탄발전의 비중을 낮추고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함.
- 이러한 인도정부의 정책에 따라 원자력, 수력,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 정부의 계획이 제대로 이루어질 경우 2026/27 회계연도 기준 원자력 발전은 현재의 2배, 신재생에너지는 5배가량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2026/27 회계연도 인도 발전수단별 발전량 예상
(단위: MW)
자료: 현지언론(LiveMint Newpaper) 2017년 3월
□ 태양광 관련 인도 정부의 정책 및 주요 기업
ㅇ 2021/2022 회계연도까지 10만MW의 태양광 발전용량 증설 목표
- 인도 정부는 2010년 National Solar Mission을 통해 2022년까지 태양광 발전을 2만MW까지 늘리겠다고 했음. 이후, 모디 정부는 2015년 6월 내각결의를 통해 목표치를 대폭 확대해 2021/2022 회계연도까지 10만MW까지 증설하겠다고 했음.
- 2017년 2월 23일에는 Solar Park, 즉 태양광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2020/2021 회계연도까지 이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서만 4만MW 규모의 태양광 발전량을 달성하겠다고 공언했음. 이를 위해 810억 루피에 달하는 자금 조달 계획을 제시함.
* Solar Park는 Solar Energy Corporation of India(SECI)라는 공기업와 주정부의 협력을 통해 조성되며, 2019/20 회계연도까지 최소 500MW 용량의 50개 Solar Park를 건립할 계획
* 주정부가 산업단지 부지를 확보, 시행사를 선정해 중앙정부에 사업을 통보하면 중앙정부는 시행사에게 계획단계에서는 250만 루피, 프로젝트 시행단계에서 MW 당 200만 루피 혹은 전체 프로젝트 자금의 30%까지의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계획
ㅇ 주요 기업
인도의 주요 태양광 관련 기업
기업명 | 구분 | 내용 |
Adani Power Limited | 사기업 | - 매출규모 120억 달러에 이르는 Adani 그룹의 계열사임. 인도 최대의 화력발전회사이며, 발전설비용량은 10,480MW에 이름. - 207년 6월 현재 태양광 발전 규모는 838MW임. |
LTPC (National Thermal Power Corporation Limited) | 공기업 | - 1975년 설립된 인도의 대표 전력 공기업. 20개의 화력, 7개의 가스 발전소를 보유해 발전설비용량이 51,527MW에 이름. NTPC는 현재 10개의 태양광 PV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음. * Dadri(5MW), The Andaman & Nicobar(5MW), Ramagundam(10MW), Talcher Kaniha(10MW), Faridabad(5MW), Unchahar(10MW), Rajgarh(50MW), Singrauli(15MW), Anantapuram(250MW), Bhadla(160MW) 등 |
TaTa Power Limited | 사기업 | - 인도 최대의 기업그룹인 TaTa의 자회사이며, 발전설비용량 10,613MW임. - 태양광 발전량은 933MW(기준 시점 미상) 호주의 Sunengy Pty Ltd와 합작해 호수에 띄워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을 추진하고 있음. |
Azure Power Limited | 사기업 | - 인도 태양광 발전산업의 대표적인 기업. 2008년에 설립돼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는 물론 지붕에 설치하는 솔라패널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음. 18개 주에 1000MW가 넘는 태양광 설비를 가진 것으로 알려짐. |
자료 : 각사 홈페이지 및 언론자료로부터 KOTRA 뉴델리 무역관 재구성
□ 인도 태양광 사업기회
ㅇ 태양광 발전 유력 사업지
- 안드라 프라데시(Andhra Pradesh) : 2017년 4월 말 기준 발전용량은 1,867MW임. 동월 SB에너지, 소프트뱅크 에너지 등이 참가하는 Kumool 태양광 산업단지 조성이 시작됐으며 목표 발전용량은 900MW에 이름.
- 라자스탄(Rajasthan) : 인도에서 면적이 가장 큰 주이며, 많은 지역이 사막으로 덮여있어 태양광 발전에 적합한 사업지로 알려져 있음. 2017년 3월말 현재 발전용량 1,784MW로 안드라 프라데시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발전용량을 자랑하고 있음. 대표적인 태양광 산업단지로 Dhirubhai Ambani 태양광 산업단지가 있음. 인도 전력공사인 NTPC의 주도로 Bhadla 태양광 산업단지에 4단계에 걸쳐 2,255MW 용량의 시설이 조성계획 중에 있음.
- 타밀나두(Tamil Nadu) : 조성 중인 Kamuthi 태양광 산업단지의 648MW를 포함하면 주 내의 발전용량은 2,100MW에 이름.
- 기타 : 구자라트(Gujarat)주의 Charanka 태양광 산업단지,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주의 Sakri 태양광 산업단지, 마디야 프라데시(Madhya Pradesh)주의 Welspun 태양광 산업단지 등이 있음.
ㅇ 농촌지역 전기보급 사업
- 인도는 넓은 국토로 인해 송전망 보급에 어려움이 있는 바, 도시지역과 이격된 농촌 마을에는 태양광 발전시설을 적극 설치하여 전력을 보급하려는 계획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
- 라자스탄 주의 경우 2016/17 회계연도 기간 91개 마을에 태양광 전력시스템을 통해 전력을 보급한 바 있음. 이 사업을 통해 6,200가구가 100W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됨.
□ 시사점
ㅇ 파리기후협약의 적극적인 실천자 인도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화석연료로의 회귀를 주장하면서 신재생에너지 관련 예산을 대폭 삭감하고 파리기후협약을 탈퇴를 천명했음. 이에, 파리기후협약을 이끌어갈 새로운 리더쉽이 요구되는 상황임.
- 인도는 모디 총리가 파리기후협약 이행에 큰 관심을 보이고, 최근 내각의 결정을 통해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크게 늘리겠다고 선언했음.
- 인도 대도시의 공기오염은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지난해 인도 고등법원이 노후 디젤차의 등록갱신을 전면 허용금지하는 등 화석연료 사용에 대한 사회적 반발이 매우 큰 상황임. 인도와 중국은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를 대안 전력원으로 적극 추진하는 상황임.
ㅇ 태양광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한편으로는 사업성 검증도 필요
- 상술한 바와 같이, 인도정부는 태양광 산업단지 조성 시 시행사에 현금 인센티브를 주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 참가를 독려하고 있음.
- 다만, 인도 정부는 태양광 에너지로 발생한 전력의 구매가격을 KW당 4.43루피에서 4루피로 감액했음. 이에 대해 가파르게 떨어지는 태양광 장비의 가격을 감안했다고 발표했음.
- 인도의 태양광 산업이 유망한 것은 분명하지만, 불충분한 송전망과 전력거래 인프라, 투명하지 못한 프로젝트 절차, 정부의 변덕스러운 행정절차는 인도 태양광산업 진출 시 염두에 둬야 할 부분임.
작성자: KOTRA 뉴델리 무역관 임성식 과장, Jaya Soin S.Mng, Ashshi Verma Executives
자료: 인도 전력부 연간보고서(2017년 3월), 현지언론 Live Mint, 인도 전력관련 회사 홈페이지, 각 주정부 태양광 산업단지 관련 홈페이지, 현지 관계자 인터뷰 등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코드 커팅으로 TV 안테나 돌아온다 (0) | 2017.07.14 |
---|---|
패션의 심장부를 공략하자 '2017 뉴욕섬유전 KPNY' (0) | 2017.07.14 |
하늘을 날기 시작한 중국 항공산업 (0) | 2017.07.13 |
美, 대수단 경제제재 해제 관찰기간 3개월 연장 (0) | 2017.07.13 |
아랍에미리트 정부 구성과 토호국별 영향력 (0) | 2017.07.13 |
- 이집트
- 미얀마
- 터키
- 러시아
- 삼성전자
- 멕시코
- 호주
- 올림픽
- 화장품
- 남아공
- 리우올림픽
- 칠레
- 브라질
- 에콰도르
- 이란
- 베트남
- 리우
- 이스라엘
- 스페인
- 말레이시아
- 네델란드
- 프랑스
- 미국
- 일본
- 자동차
- 싱가포르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전시회
- 독일
- 콜롬비아
- 태국
- 캐나다
- 인도
- 브렉시트
- 홍콩
- 코로나
- 삼성
- 중국
- 영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