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017년 기준, 피트니스 센터 1,185, 회원수 75만 명으로 최근 10 동안 2배 성장 -

- 고객층 다양화 속, 관련 장비 성장세 지속 전망 -

 

 

 

□ 상품명 : 피트니스 장비 (HS 코드 : 950691)

 

□ 시장 동향

 

  2010년대 들어 지속되고 있는 피트니스 센터 증가 추세와 맞물려, 관련 장비 시장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끌고 있음.

    - 오스트리아 일간지 Kurier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오스트리아에는 전국적으로 1185개의 피트니스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 오스트리아 피트니스 센터의 숫자는 지난 10년 동안 약 2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음. 또한, 피트니스 센터에 등록한 회원수는 75만 명인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6%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피트니스 센터를 찾는 사람들이 계속 늘어나면서, 피트니스 장비 시장 규모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오스트리아 피트니스 센터들은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고급형 : 2000㎡ 이상의 넓은 공간에 온갖 종류의 운동 장비 및 체조/요가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전문 트레이너 및 의료상담진 등의 부가서비스까지 갖춘 형태로, Club Danube, John Harris, Holmes Place, Manhattan 등 대형/체인 형태의 센터들이 이에 해당함. 전체 피트니스 센터의 7~10% 차지.

    - 저가형 : 운동 이외의 기타 서비스를 과감히 없앰으로써, 그 가격을 낮춰 틈새 시장공략을 통한 회원층 확대를 겨냥한 형태. 월 회비 10~20유로라는 경쟁력 있는 가격을 내세워 특히 젊은 층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음. Fit Inn, McFit, Happy Fit, CleverFit 등이 이에 해당함. 전체 피트니스 센터의 50~60% 비중.

    - 특화형 : 여성 전용 공간 및 프로그램 제공(Mrs. Sporty), 진동형 운동 기구를 통한 근육 자극 프로그램 제공(Body Street, EMS Station), 근력 운동 프로그램만 제공(Kieser Training) 등 고객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특화 운영. 전체 피트니스 센터의 35% 차지.

 

  ○ 피트니스 장비와 관련해서, 최근 오스트리아에서는 고객층의 확대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음.

    - 과거에는 주로 젊은 층 고객들이 이러한 피트니스 붐을 이끌었으나, 최근에는 노인층이 새롭게 주목받는 소비자 군으로 등장하고 있음.

    -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현재 고객들의 평균 연령은 45세 정도이며 최근 노령층 고객의 증가세가 눈에 띄고 있는 만큼 큰 성장 잠재력을 지닌 ‘50+’ 시장에 마케팅 및 홍보 활동의 중점을 맞춰 가고 있는 추세임.

    - 최근 증가하고 있는 노인층 고객들은 기존의 고객들과는 다른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들 연령층들은 가격보다는 피트니스 장비 및 서비스의 품질 또는 우수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알려짐.

    - 또한, 제품 구입시 의사의 처방 등 외부적인 조언도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이러한 소비자 계층의 다양화 추세에 힘입어, 피트니스 센터용 대형 장비들이 주를 이루던 과거와 달리 2000년대 후반부터는 개인용 중소형 장비들이 빠르게 그 시장 규모를 확대해 가고 있음.

 

□ 수입 동향

 

  ○ 피트니스 장비 제품은, 2017년 한 해 동안 총 1 2천만 유로의 수입 실적을 기록했음.

    - 이 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54.2% 크게 증가한 실적으로, 최근 오스트리아의 피트니스 붐과 맞물려 관련 제품의 수입 규모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여주고 있음.

    - 인접국 독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의 40% 가까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이태리, 폴란드, 네델란드, 체코 등 유럽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이 밖에, 중저가제품 위주로 중국산의 수입 규모도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하면서 독일에 이어 2위 수입국으로 급부상하고 있음.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 950691 기준)

(단위 : 천 유로,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5

2016

2017

2015

2016

2017

17/16

총계

66,986

77,035

118,756

100.0

100.0

100.0

54.2

1

독일

22,774

26,680

46,687

34.0

34.6

39.3

75.0

2

중국

20,840

23,929

33,282

31.1

31.1

28.0

39.1

3

이태리

9,715

11,213

11,948

14.5

14.6

10.1

6.6

4

폴란드

1,793

1,564

6,059

2.7

2.0

5.1

287.4

5

네델란드

1,332

1,406

4,647

2.0

1.8

3.9

230.5

6

체코

549

1,860

4,384

0.8

2.4

3.7

135.7

7

대만

1,836

1,329

2,318

2.7

1.7

2.0

74.4

8

미국

4,977

2,802

1,751

7.4

3.6

1.5

-37.5

9

헝가리

190

2,578

1,078

0.3

3.4

0.9

-58.2

10

말레이지아

104

77

925

0.2

0.1

0.7

1,103.7

42

한국

16

25

14

0.02

0.03

0.01

-44.3

자료원 : WTA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규모는 2017년 기준 1 4천 유로 수준으로, 매우 적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임.

 

□ 경쟁 동향

 

  ○ 현재 오스트리아 피트니스 센터용 장비 시장에서는 이태리 브랜드인 TechnoGym이 오랜 시간 동안 시장 선두업체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 트레드밀(런닝 머신)에서부터 자전거, 크로스트레이너(Crosstrainer), 스텝퍼, 기타 근력 운동 장비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종류의 피트니스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피트니스 센터들이 이 브랜드 제품을 사용하고 있음. 이 밖에 Vision Fitness 제품들도 꾸준히 시장에서 사랑받고 있음.

    - 가정용 및 기타 장비들의 경우 Kettler 등 독일의 유명 브랜드부터, Horizon, Tunturi, U.N.O. Fitness 등 중저가 브랜드까지 가격/기능별로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 선보이고 있음.

 

  ○ 주요 경쟁제품 현황

종류

브랜드명

모델명

가격(유로)

사진

트레드밀

Technogym

Run Forma

2,300

Technogym Laufband Run Forma

Kettler

Run 7

1,700

Kettler Laufband Run 7

Horizon

Elite T7.1

1,850

Horizon Laufband Elite T7.1 Viewfit

Vision Fitness

T80 Classic

4,000

Vision Fitness T80 Classic Laufband

크로스

트레이너

Kettler

Skylon 3.1

850

Kettler Crosstrainer Skylon 3.1

Horizon

Elliptical Andes 3

800

Horizon Crosstrainer Andes 3

자료원 : 무역관 자체조사

 

□ 유통 구조

 

  ○ 가정용 피트니스 장비의 경우, 다른 스포츠용품들과 마찬가지로 주로 스포츠용품 소매유통 매장을 통해 유통됨.

    - 오스트리아 스포츠용품 소매유통 시장은 2013년 발생한 2건의 대형 합병 이후, 시장의 절대 강자 없이 Intersport, Sports Direct, Sport 2000, Hervis 4개 업체가 시장 선두업체를 놓고 치열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음.

    - 이 밖에 홈쇼핑이나 통신 판매, 온라인 유통점 등의 유통 채널도 존재하고 있으나,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크지 않은 상황임.

 

  ○ 피트니스 센터용 대형 장비들의 경우, 전문 대형 수입업체 또는 피트니스 센터에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음.

 

□ 수입 규제, 관세율, 인증 등

 

  ○ 필수 인증 현황

    - 피트니스 장비 제품과 관련한 별도의 인증은 필요치 않으나,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EU 국가 내에서 판매 유통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CE 인증 마크를 획득해야 함. 이 밖에 수입업자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 TUeV, ISO 인증 등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음.

 

  ○ 관세율 등

    - 관세율 : -EU FTA 발효(2011 7 1) 이전에는 2.7%의 수입관세율이적용됐으나, FTA 발효로 현재 관세는 부과되지 않고 있음.

    - 관련 제품의 오스트리아 내 부가세율은 20%.

 

□ 전망 및 시사점

 

  ○ 최근의 지속적인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 피트니스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평가됨.

    - 빈 상공회의소(WKÖ Wien) 산하 스포츠/피트니스 센터 협회 대표인 마틴 베커(Martin Becker)氏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국민 중 피트니스 센터 회원의 비율은 8.6%(2009 : 5.5%)인 것으로 조사됨.

    - 이는 다른 유럽 국가들인 독일(12.3%), 영국(14.1%), 스페인(10.9%) 등과 비교하면 아직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성장의 여지가 많은 것이 사실임.

    - 건강/웰빙 등의 테마가 지속적으로 높은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개인 블로그, 유투브 등을 통해 건강한 몸에 대한 직간접 홍보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 것을 감안할 때 향후 피트니스 회원 및 관련 장비 시장의 성장세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임.

    - 마틴 베커氏는 앞으로 5년 내에 국민 중 피트니스 회원의 비율이 최대 12%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장 성장세와 맞물려 피트니스 장비 시장도 연평균 4~5%대의 성장세를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마틴 베커氏에 따르면, 효율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장비별로 차별화된 진출 전략이 필요함.

    - 가정용 제품의 경우 가격대별, 제품의 기능별로 다양한 고객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렴한 가격대 제품의 경우 다수의 무명 브랜드 제품들도 시장에 진출해 있기 때문에 타켓 고객층에 맞는 마케팅 및 유통 전략이 필요함.

    - 피트니스 센터용 제품의 경우, TechnoGym 제품의 시장 지배력이 너무 높아 시장 진출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최종 수요자(피트니스 센터)를 대상으로 한 직접 마케팅 활동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됨.

 

오스트리아 주요 피트니스 센터

구분

이름

홈페이지

매장수

고급형

Club Danube

www.clubdanube.at

9

Injoy

www.injoy-wien.at

35

John Harris

www.johnharris.at

11

Holmes Place

www.holmesplace.at

5

Stars Fitness

www.starsfitness.at

4

Vita

www.vitaclub.at

3

Manhattan

www.manhattan.at

2

저가형

Fit Inn

www.fitinn.at

34

McFit

www.mcfit.com

14

Happy Fit

www.happyfit.eu

23

CleverFit

www.clever-fit.com

22

특화형

Mrs. Sporty

www.mrssprty.at

100

Body Street

www.bodystreet.com

30

EMS Station

www.ems-station.com

23

Kieser Training

www.kieser-training.at

8

자료원 : 빈 무역관 자체 조사

 

  ○ 향후 지속 성장이 기대되는 오스트리아 피트니스 센터 및 관련 장비 시장에 한국의 관련 기업들의 보다 많은 관심이 요구되고 있음.

 

 

자료원 : Kurier, WTA 및 관계자 인터뷰 자료 종합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경제 무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