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패션·식품·가전·콘텐츠 부문 등 전 산업에서 1990년대 열풍 지속 -
- 미국 30~40대, 학창시절 추억할 수 있는 1990년대 트렌드에 열광 -
□ 미국은 지금 레트로 열풍
ㅇ 1990년대 인기를 끌었던 상품이나 디자인 등이 산업 전반에 걸쳐 부활하고 있음.
- 패션, 뷰티, 가전, 게임, 영화, 완구,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1990년대를 연상시키는 제품이나 콘텐츠가 등장하고 있음.
- 이러한 제품과 콘텐츠는 미국 최대 소비층인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향수를 자극해 소비로 이어지고 있는 추세임.
ㅇ (패션) 1990년대 패션스타일이 부활하면서 의류, 신발, 액세서리 등 당시 스타일을 반영한 아이템들이 대세로 자리를 잡고 있음.
- 배가 드러나는 짧은 크롭탑, 어깨가 드러나는 오프숄더 탑, 밑위가 긴 바지, 오버롤, 초커 목걸이같은 1990년대 스타일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제품들이 의류 매장의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 이밖에 벨벳, 얇은 모직물인 플란넬, 타이다이(홀치기 염색 방식) 등 당시 유행했던 섬유나 섬유 디자인을 활용해 1990년대 느낌을 내기도 함.
- 1990년대 레트로 열풍은 스포츠 의류와 신발 업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스트리트 웨어와 함께 레트로 스타일은 스포츠웨어의 트렌디 스타일로 떠오르면서 나이키, 아디다스 등 유명 브랜드들이 이를 반영한 패셔너블한 스포츠 의류를 선보였음.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인기를 끈 브랜드 '필라(FILA)'가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음.
- 클래식 디자인 스니커즈로 유명한 아디다스의 스탠스미스, 슈퍼스타와 나이키의 에어조던, 푸마의 헤리티지 디자인의 매출 증가
1990년대 트렌드가 반영된 스트리트 패션
자료원: Trend Spotter
아디다스의 슈퍼스타
자료원: Kick on fire
ㅇ (소형가전) 즉석카메라, 사진 프린터, 턴테이블 등 자취를 감췄던 소형가전이 인기를 끌고 있음.
- 리서치 업체 NPD그룹에 따르면 지난 2월까지 1년간 미국에서 판매된 턴테이블 매출액은 16% 증가했으며 판매량은 23% 늘었음.
- 턴테이블은 시장 수요가 증가하면서 출시되는 제품의 가격대와 디자인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임
- LP판 역시 지난 한 해 미국 내에서 1300만 장이 팔려나가는 등 인기가 커지면서, 소니는 올 초 지난 30년간 중단했던 LP판 생산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함.
- 디지털카메라 판매량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즉석카메라 판매량이 증가함. 지난해 후지필름의 즉석카메라 Instax는 500만 대가 팔려나가 전년대비 30% 늘었고 2016년 추산 판매량은 650만 대임.
- 그 외 필름카메라, 사진 프린터 등이 레트로 열풍으로 다시 시장에 등장하고 있음.
라이프스타일 스토어 어반아웃피터스 매장 내 턴테이블과 LP판매 코너
자료원: Tulsa World
후지필름의 즉석카메라 Instax
자료원: Groupon
ㅇ (게임) 1990년대를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게임기와 게임이 출시돼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올해도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지난해 닌텐도가 구형 게임기 모형으로 재탄생시킨 게임기 NES 클레식과 클레식 미니는 출시되자마자 매진됐고, 경매사이트에서 소매판매가의 두 배가 넘는 가격에 거래될 정도로 열풍을 일으킴.
- 게임기로 갤러그, 닥터마리오, 파이널 판타지, 팩맨, 슈퍼마리오, 젤다의 전설 등 추억의 게임 30가지를 즐길 수 있음.
- 전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았던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고 역시 1990년대 인기 만화인 포켓몬스터의 캐릭터를 등장시켜, 최신 기술과 소비자들의 노스텔지어 감성을 적절하게 활용했다는 평가를 받음.
지난해 매진사태를 일으킨 닌텐도 NES 클래식 에디션
자료원: 비즈니스 인사이더
ㅇ (식품) 식품 패키징도 레트로 테마가 각광 받고 있으며, 과거 유행했던 맛(Flavor)도 다시 생산판매하고 있음.
- 미국의 대표적인 맥주 브랜드인 밀러라이트와 버드라이트는 최근 과거의 디자인으로 맥주캔과 병 디자인을 변경했음. 특히 밀러라이트는 2014년 반짝 프로모션으로 맥주캔의 디자인을 1970~1990년대 디자인으로 변경한 후 매출이 급증하자 캔과 병 등 모든 제품의 패키지를 교체함.
- 식품업체 제너랄 밀스는 지난 2015년 1980~1990년대 유행하던 만화캐릭터를 씨리얼 박스에 삽입해 시장의 주목을 받는 데 성공한 후, 매년 2월마다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하는 패키지를 선보여 호응을 얻고 있음.
- 캔디 브랜드인 Mike and Ike는 2015년 Retro Flavor로 루트비어와 솜사탕 맛을 추가하고, 박스 디자인도 이에 걸맞게 레트로 스타일로 변경함.
밀러라이트 맥주캔 디자인의 변화
자료원: 비즈니스 인사이더
제너랄 밀스의 만화캐릭터 삽입 씨리얼 박스 디자인
자료원: 제너랄 밀스 블로그
□ 향수 마케팅 주요 타깃층
ㅇ 1980~1990년대 향수 마케팅의 주요 타깃층은 당시 10~20대를 보냈던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임.
- 퓨리서치센터는 지난해 밀레니얼 세대(2015년 기준 18~34세)의 인구는 베이비부머(2015년 기준 51~69세)를 앞질렀다고 발표했음.
- 지난해 밀레니얼 세대의 인구는 7540만 명, 베이비부머는 7490만 명이었음. 오는 2028년이 되면 X세대 인구가 부머 인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현재 30~40대인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는 미국 내 최대 소비층으로 현재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고 있음.
ㅇ 향수 마케팅은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에게 편안함과 좋은 기억을 떠오르게 하고, 이를 소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함.
- 행복했던 학창시절을 떠오르게 하는 향수 마케팅은 바쁜 스케줄에 치이고, 사회적 책임감에 짓눌린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에게 감정적 보상을 안겨줌.
-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화되기 전인 1980~1990년대의 감성을 마케팅에 활용함으로써, 대중들에게 브랜드에 대한 인간적이고 따뜻한 이미지를 심어주고, 긍정적인 느낌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략을 폄.
□ 시사점
ㅇ 1980~1990년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복고 트렌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패션, 게임, 완구, 영화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1980~1990년대 복고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과 콘텐츠 판매가 예고돼 있음.
- 1990년대 큰 인기를 끌었던 TV 쇼 '프렌즈'가 영화로 제작돼 내년 개봉을 앞두고 있으며, 1995년 개봉했던 토이스토리가 2019년 '토이스토리4'로 돌아오는 등 1990년대 히트를 친 TV쇼와 영화 등이 리메이크 되거나 시리즈를 이어갈 예정임.
- 게임 산업 역시 포켓몬스터, 슈퍼마리오 등 1990년대 인기 캐릭터를 이용한 새로운 게임들이 올 하반기 줄줄이 출시를 앞두고 있음.
- 복고 캐릭터가 등장하는 영화와 게임 등 콘텐츠의 인기는 완구나 캐릭터 상품의 판매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ㅇ 미국 시장 진출을 염두하고 있다면 미국의 이러한 레트로 트렌드를 파악하고, 기존 제품의 판로 개척과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
- 즉석카메라, LP판, 턴테이블 등 디지털에 밀려 시장에서 한동안 자취를 감추었던 제품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으므로, 이러한 추세를 이용해 새로운 대미 수출 품목 발굴을 발굴하는 등 수출 확대 기회를 잡을 수 있음.
- 제품과 패키징 디자인에 미국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1990년대 감성을 가미함으로써 레트로 트렌드를 활용한 마케팅도 가능함.
- 섬유·패션 부문 역시 1990년대 스타일을 연구하고, 이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디자인 개발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함.
자료원 : 유로모니터, NPD, 비즈니스 인사이더, WSJ, 포브스, 퓨리서치 및 KOTRA 뉴욕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의 나라 몽골의 새 대통령을 소개합니다 (0) | 2017.08.02 |
---|---|
말레이시아, 회복의 기지개 켜는 해양플랜트시장 (0) | 2017.08.01 |
인도, 세계 경제성장의 중심으로 자리매김 (0) | 2017.08.01 |
유아용품전을 통해 살펴본 중국 영유아용품시장 (0) | 2017.08.01 |
경기불황에도 손톱은 예쁘게, 남아공 네일아트시장 (0) | 2017.08.01 |
- 베트남
- 에콰도르
- 올림픽
- 캐나다
- 리우올림픽
- 싱가포르
- 칠레
- 인도
- 필리핀
- 미얀마
- 코로나
- 일본
- 멕시코
- 중국
- 삼성전자
- 스페인
- 호주
- 태국
- 말레이시아
- 영국
- 네델란드
- 브라질
- 터키
- 홍콩
- 삼성
- 이집트
- 전시회
- 프랑스
- 콜롬비아
- 독일
- 남아공
- 화장품
- 리우
- 브렉시트
- 인도네시아
- 러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미국
- 자동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