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차량정체를 피할 일상교통수단으로 주목받으며 전기자전거 시장은 성장세 -

- 정부의 자전거 관광산업 육성 정책으로 시장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 - 




상품명 : 전기자전거(E-bike)

 

  ㅇ HS CODE : 871160 (2017년 6차 개정, 871190 → 871160)


  ㅇ CN CODE : 87116010(최대출력 250W 이하 페달보조 전기자전거)

    - 크로아티아는 모든 EU 회원국과 마찬가지로 8자리의 EU 상품 분류 제도(CN CODE)를 적용함.

    - CN CODE 앞 6자리는 HS CODE와 일치

 

선정사유

 

  ㅇ 정부의 인프라 구축 노력 및 자전거 ·퇴근자의 증가

    - 크로아티아 정부는 자전거 도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자전거가 일상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 중

    - 이러한 정부의 노력으로 유럽 자전거 연맹(ECF)의 조사결과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는 EU에서 6번째로 자전거 이용비율(10.1%)이 높은 도시로 나타남.

    - 또한자그레브는 세계 겨울 자전거 통근의 날 대회(International Winter Bike to Work Day)에서 2018년까지 유럽에서 4년 연속 가장 많은 참가자를 배출하는 등 자전거 이용 열기가 높음.


  ㅇ 관광산업의 성장

    - 크로아티아 정부는 폭발적으로 성장한 관광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자전거 관광육성은 2021년 마스터플랜의 주요계획 중 하나

    - 크로아티아 남부 지역의 섬인 라스토보(Lastovo)가 자전거 대여 프로그램인 넥스트바이크(Nextbike)에 참여하는 등 정부는 크로아티아 주요 관광지에 자전거/전기자전거 대여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임.

    - 또한, 오시옉(Osijek)시가 2018Eurovel and Cycle Tourism conference 개최지에 입후보하는 등, 정부는 자전거 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음.


  ㅇ 지방정부 및 관공서의 전기자전거 도입

    - 크로아티아 우체국은 EU 프로젝트인 Pro-Ebike에 참여하여 2015년에 180개의 전기자전거를 도입하여 우편물 배달에 활용하고 있음.

    - 퓰라(Pula)시도 EU 프로젝트 Movesmart를 통해 전기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도입, 현재 24개의 전기자전거를 보유하고 있으며 점차 그 숫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임.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여타 EU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크로아티아의 일반 자전거 시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러 판매 대수가 정체되었음.

    - 반면 전기자전거는 정부의 육성전략과 함께 도시의 차량정체를 피해갈 수 있는 일상교통수단으로 주목받으면서 2016년 수입액이 전년 대비 298%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보임.

    - 또한 크로아티아의 2013EU 가입 후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자전거 시장은 통합되는 양상을 보여, 이를 고려 시 시장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


    크로아티아 전기자전거 연도별 수입량 추이                                      크로아티아 전기자전거 연도별 수입액 추이

             (단위 : 대수)                                                                                         (단위 : USD)     

external_image

주 :  `15년, `16년 수치는 CNCODE  87119010, `17년 수치는 CNCODE 87116010

자료원 : 크로아티아 통계청(DZS)

       

  ㅇ 시장동향

    - 크로아티아 전기자전거는 250W 이하, 최고속도 25km/h인 모델로 제한되며 그 이상은 원동기장치 자전거로 분류됨.

    - 유통되는 모델 대부분은 페달보조방식(Pedal Electric Cycle)으로 파워어시스트방식(Electronic Power Assisted Cycle)의 점유율은 낮음.

    - 주요고객은 직장인들로서, 출퇴근용 일상이동수단으로 인기를 얻고 있음.

    - 이외, 정부는 자전거 관광산업 육성 전략에 따라 주요 관광지를 중심으로 공공/민간 전기자전거 임대서비스가 확대되는 추세임.

    - 크로아티아 우체국이 2015년에 180대의 전기자전거를 도입해 우편물 배달에 활용하는 등 물류 시장에서도 수요가 있음.

    - 이에 따라, Greyp Bikes(전기 슈퍼카 업체 Rimac 자회사), Grunner(Mobile Vehicle Technology), Freeduck(Ducati) 등 크로아티아 전기자전거 생산업체 수도 확대되고 있음.

    - 수입량 기준으로 볼 때, 2017년 전기자전거의 수입은 크게 줄었으나, 수입액은 전년동기대비 수입액을 웃돌아, 전기자전거 시장의 프리미엄화가 진행되는 것을 엿볼 수 있음.


최근 3개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최근 3개년 수입규모

    - 2016년 크로아티아의 전기자전거 수입량은 4,036, 수입액은 114만 달러를 기록, 수입액 기준으로 전년 대비 298%의 높은 성장세를 시현

    - 2017년에는 수입량은 줄었지만, 3분기 누적 수입액이 2016년 수입액의 89%에 이르는 등 전기자전거 수입은 지속증가하고 있음.

 

최근 3개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단위 : USD)

순위 국가 2015년 2016년

2017년
3/4분기

0 전체 383,491 1,141,634 1,018,561
1 독일 87,459 305,307 547,858
2 중국 81,441 511,452 197,941
3 영국 92,000 81,326 85,833
4 슬로베니아 6,601 30,379 65,502
5 네덜란드 1,981 49,805 41,583
6 체코 2,439 3,629 29,329
7 이탈리아 76,727 39,061 24,200
8 프랑스 0 546 8,490
9 폴란드 0 30,020 6,411
10 룩셈부르크 0 0 5,819

주 :  `15년, `16년 수치는 CNCODE  87119010, `17년 수치는 CNCODE 87116010

자료원 : 크로아티아 통계청(DZS)


  ㅇ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 수입액 기준 주요수입국은 독일, 중국, 영국, 슬로베니아 순이며, 유럽국가가 수입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 2016년에는 중국이 점유율 1위였으나, 20173분기 기준 독일에 1위자리를 내어주었으며, 수입국이 다변화되는 양상을 보임.

 

대한수입 규모 및 동향

 

  ㅇ 미개척시장, 크로아티아

    - 여타 유럽국가와 마찬가지로 아직 크로아티아는 한국전기자전거 업계에 있어 신시장임.

    - 일반 자전거(HSCODE : 871200)의 경우 2016년에 1102달러 수입을 기록하며 대크로아티아 마수걸이 수출에 성공한 바 있음.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독일, 영국, 이탈리아 브랜드 강세

    - Cube, Haibike, A2B, Italwin 등 유럽브랜드 선호가 뚜렷함.

 

  ㅇ 선호가격 및 모델

    - 가장 선호되는 가격대는 1000유로~1500유로이나 2000유로 이상의 프리미엄 모델 수요도 두드러짐.

    - MTB 모델보다는 실생활용 전기자전거 수요가 높음.

 

  ㅇ 주요 배급사

    - 비교적 소규모 시장인 크로아티아의 특성상 대부분의 전기자전거 업체들은 하나의 에이전트나 유통상을 두고 있음.

    - 주요 전기자전거 업체들은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두 국가를 하나의 시장으로 간주, 하나의 에이전트사를 두는 경향이 있음.


크로아티아 주요 전기자전거 브랜드 및 유통업체

회사명 홈페이지 취급 브랜드

BASTA

http://www.basta-prelog.hr/ Apache

BECIKLIN

http://prodaja-bicikla.com/ Kreidler

BIM BIKE

http://www.bim-bike.hr/ Lombardo, KTM, Torpado, Cinzia

CALIMERO

http://www.calimero-sport.hr/ Cube

DUCATI KOMPONENTI

http://www.ducati-komponenti.hr/ Ducati

E2GO

http://e2go.eu/ TilGreen, A2B Gocycle

HUNI BIKE SHOP

http://www.huni-bike-shop.hr/ Haibike

KRK MOTO

http://krkmoto.hr/ Govecs, Kymco

MAR

http://mar.hr/ X-Plorer

MATIS ADRIA

http://www.matis.com.hr/ Cross, Felt

PROMOTO

http://www.pro-moto.hr/ Krpan

SOLERE

http://ebike.hr/ Apache

Uljanik TESU elektronika

http://www.ute.hr/hr/index.php/parkomati/ Urbikes

자료원 : 업체별 홈페이지

  

  ㅇ 크로아티아 전기자전거 및 전기스쿠터 전문판매점 E사 인터뷰

    

무역관) 크로아티아 전기자전거 시장이 성장세라고 들었다. 실제로 전기자전거를 찾는 고객이 많은가?

E사) 그렇다. 최근 들어 전기자전거를 찾는 고객 수가 많이 늘었다. 하루평균 최소 5명의 고객이 전기자전거 및 전기스쿠터 제품을 문의하고 있으며 하루평균 1, 2개의 제품이 꾸준히 팔리고 있다.


무역관) 주요고객층은 누구이며 구매 시 주요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E사) 20~40대 직장인들이 일상교통수단으로 전기자전거를 많이 찾고 있다.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디자인이다. 전기자전거의 기능은 상향 평준화 되어가고 있기에 많은 사람이 디자인을 보고 제품을 선택하고 있다. 


무역관) 디자인이 최우선 고려대상이라면 선호가격대는 어떠한가?

E사) 1000유로~2000유로대 제품이 가장 많이 팔린다. 하지만 2000유로 이상의 프리미엄 제품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크로아티아인들에게 있어 전기자전거는 매우 고가의 제품으로 중산층 이상이 주 고객층이다. 구매력이 되는 중산층 사이에서 가격보다 기능과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소비행태가 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세율, 수입 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관세율 : 0%

 

  ㅇ 인증제도 : CE 인증 취득이 필수

    - 국내에서 제품시험 후 국내 진출 유럽인증기관을 통해 제품품질 테스트 및 인증서 발급 가능

    - 기본적으로 EN 14764(자전거규격) EN15194(전기자전거규격)에 따라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는 적합성선언서(Declaration of Conformity)와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기술문서를 통해 자체 CE마크 부착가능

    - 하지만 인지도가 낮은 한국전기자전거의 실태를 고려할 때, EU 지정 인증기관(Notified Body)의 적합성 평가검사를 통해 인증서를 발급할 것을 권장함.


국내 진출 유럽인증기관(Notified Body)-CE

인증기관

연락처

Homepage

Bureau Veritas

02)555-8922

http://www.bureauveritas.co.kr/

DNV

02)734-7328

http://www.dnv.co.kr/

ECMKOREA

02)2628-5200

http://www.ecmkorea.or.kr/

Intertek

02)774-8201

http://intertek.co.kr/

NEMKO

031)322-2333

http://www.nemkokorea.co.kr/

SGS

02)709-4500

http://www.sgsgroup.kr/

SZU

031-995-6270

http://www.szukorea.com/

TUV-Austria

070-8272-8222

http://tuv-austria.co.kr/

TUV-NORD

02)6000-4222

http://www.tuv-nord.co.kr/

TUV-Rheinland

02)860-9860

http://www.kor.tuv.com/

TUV-SUD

02)3215-1114

http://www.tuv-sud.co.kr/

UL DEMKO

02)2009-9000

http://korea.ul.com/

자료원 : 중소기업 80대 수출유망품목 해외인증제도(KOTRA)

시사점

 

  ㅇ 작지만 성장하고 있는 크로아티아 시장

    - 크로아티아의 전기자전거 시장은 비록 규모는 작지만, 일상교통수단으로서 관심증대 및 관광산업의 급성장으로 꾸준한 수요증가가 예상됨.

    - 시장 확대로 인해 크로아티아산 전기자전거 생산도 증가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수입제품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유럽 브랜드 외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제품들의 선전도 두드러짐.

    - 한국산 가전제품의 높은 시장점유율 및 평창올림픽 개최, 한국관광객의 급증 등으로 한국국가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으로 지금이 크로아티아 진출의 적기인 것으로 보임.


  ㅇ 중소규모의 에이전트사를 통한 시장진출 추천

    - 유연한 의사결정 구조와 신규 브랜드 출시에 적극적인 중소 에이전트사를 통한 시장진출이 주효할 것으로 보임.

    - 시장규모가 작아 소량 주문사례가 많으므로 물류창고를 설치하거나 동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에이전트 물색이 필요함.


  ㅇ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자전거 시장 통합 양상 뚜렷

    - 2013년 크로아티아의 EU 가입 이후 두 국가의 자전거 시장의 통합 양상이 두드러짐.

    - Cube, Giant 등 주요 자전거 브랜드들은 두 시장을 하나로 간주하여 하나의 에이전트사만을 두는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확대되고 있음.

    - 장기적으로 크로아티아 시장뿐만 아니라 슬로베니아를 염두에 둔 시장진출이 요구됨.


자료원 : 크로아티아 통계청(DZS), 유럽 자전거연맹(ECF), 크로아티아 자전거연맹(sindikat bicilista), 현지뉴스, 기업별 홈페이지, 기업 인터뷰, KOTRA 발간자료 및 KOTRA 자그레브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경제 무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