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남미공동시장 등 제3국 시장진출기회 확보에 의미 -
- 수교 60주년 맞은 협정으로 대만에 외교적 의미도 -
□ ECA 개요
ㅇ 총 73개 품목 가운데 양측이 각각 54개(대만), 19개 품목(파라과이)의 관세인하에 합의
- 대만은 54개 품목 중 33개에 대해 관세를 즉각 철폐키로 한 가운데 소고기는 쿼터 내 무관세. 나머지 16개 품목에 대해서는 각각 5년(합판 15개), 6년(분유 1개)에 걸쳐 단계적으로 철폐키로 함.
- 파라과이는 대만산 19개 품목에 대해 남미공동시장*보다 낮은 관세율 혜택을 약속
* 남미공동시장(MERCOSUR, 메르코수르): 1995년 출범한 남미 4개국(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경제공동체로 세계 4위 인구 보유 지역(약 3억 명, 중국·인도·미국 다음)
ㅇ 대만은 애초 FTA를 체결코자 했으나 외적 요인으로 '경제협력협정' 방식 채택. 향후 전면적인 FTA 체제로 발전하는 목표로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
- 차이 총통은 지난해 6월 말 첫 해외순방 때 파라과이 대통령 카르테스와 FTA 체결 추진에 대해 인식을 같이함.
- 남미공동시장 회원국은 개별 FTA 협상 시 다른 회원국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데 올 3월에 중국-남미공동시장 FTA 협상이 재개됨에 따라 대만-파라과이 간 무역협정은 '경제협력협정' 방식으로 전환
대만-파라과이 경제협력협정 체결식
주: 오른쪽부터 차이잉원 대만 총통, 오라시오 카르테스 파라과이 대통령
자료원: 총통부
□ 경제교류 현황(대만 통계 기준)
ㅇ 무역
- 2016년 대파라과이 교역액 4754만 달러로 대만 전체 교역액의 0.009%
- 대파라과이 수출 2724만 달러, 수입 2030만 달러
- 주요 교역 품목은 (수출) 플라스틱·방직·오토바이 부품 등 공산품, (수입) 소고기·수수·참깨 등 농산물
대만의 대파라과이 수출입 현황
(단위: 만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ㅇ 투자
- 대파라과이 투자액(2016년 말까지 누계 기준): 1억5705만 달러
- 현지 투자 진출 대만기업 수: 총 37개사
- 투자 업종: 플라스틱 제품·광디스크·목재 가공·피혁제품 제조업, 백화점업·무역업
□ 시사점
ㅇ 대만 정부 싱크탱크는 남미공동시장 및 제3국 시장(남미공동시장 FTA 체결국) 진출기회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보임.
- 대만(산업기술력)-파라과이(풍부한 자원) 상호보완성 활용한 민생 직결 산업(식품가공 등) 공동발전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파라과이와 브라질은 대중 수입의존도 해소 위한 수입대체산업화 정책을 추진하는 상황. 이번 협정 통한 대만 기업의 대파라과이 투자진출·산업협력 기회 확대 예상
- 칠레·멕시코·페루·인도·이스라엘 등 파라과이와 FTA 또는 관세 우대협정을 체결한 국가에 간접 진출 가능
- 파라과이는 남미공동시장 회원국이며 남미공동시장은 EU와 FTA 협상 진행 중. 대만이 파라과이를 거점으로 남미공동시장과 EU에 간접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했다는 평가도 있음.
대만의 파라과이 경제협력협정 활용 전략
자료원: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ㅇ 파라과이는 남미지역 유일의 대만 수교국이며 경제협력협상을 체결한 2017년 7월 12일은 대만-파라과이가 수교를 체결한 지 꼭 60년이 되는 해
- 지난해 12월 21일 서아프리카 수교국인 상투메 프린시페가 대만과 단교. 올 6월 13일에는 대만 첫 FTA 체결국인 파나마가 일방적으로 단교를 선언해 대만 단교 도미노현상이 우려되는 상황
- 대만-파나마 FTA도 폐기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되는 형편 속에 신규로 체결한 무역협정인 만큼 대만엔 외교적 의미도 있음.
- 일각에선 외교적 함의가 경제적 기대효과보다 크다는 평가도 있음.
※ 대만의 무역협정 체결 현황: ▲중미 5개국(파나마·과테말라·니카라과·엘살바도르·온두라스)과 FTA ▲중국과 ECFA ▲뉴질랜드·싱가포르와 경제협력협정(이번에 파라과이 추가)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현지 언론보도(연합보, 금일신문 등),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ITC, 한국산 합성고무(ESBR) 산업피해 유효 최종 판정 (0) | 2017.08.05 |
---|---|
미국의 러시아 경제제재 연장 결정이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17.08.04 |
벌레와 끝없는 싸움, 인도의 살충제 시장 (0) | 2017.08.04 |
[유망] 케냐 LED 조명 시장동향 (0) | 2017.08.04 |
[유망] 필리핀 시멘트 시장동향 (0) | 2017.08.04 |
- 올림픽
- 이스라엘
- 미국
- 남아공
- 미얀마
- 전시회
- 이집트
- 삼성
- 에콰도르
- 터키
- 베트남
- 일본
- 코로나
- 인도
- 리우올림픽
- 프랑스
- 캐나다
- 화장품
- 리우
- 자동차
- 인도네시아
- 영국
- 칠레
- 싱가포르
- 러시아
- 브라질
- 말레이시아
- 네델란드
- 브렉시트
- 필리핀
- 콜롬비아
- 삼성전자
- 독일
- 멕시코
- 중국
- 태국
- 호주
- 스페인
- 홍콩
- 이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