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중국, 전 세계 2위 영유아용품 소비시장으로 부상 -
- 소득수준 증가, 안전성 관심으로 외국산 선호도 높아 -
자료원: 全球去哪买
□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 품명 |
1901.10.1010(한국) 1901.10.1000(중국) | 조제분유(供婴幼儿食用的零售包装配方奶粉) |
1901.10.90(한국) 1901.10.9000(중국) | 기타 영유아 식품(其他供婴幼儿食用的零售包装食品) |
자료원 관세법령정보포털
□ 선정 사유
ㅇ 조제분유
- 2000년 이후 중국의 출생인구는 안정세를 유지하며 연간 1600만~1700만 명의 신생아가 출생하고 있음.
- 현재 0~6개월의 신생아의 모유 수유율은 27.8% 수준으로 세계 평균 수준인 38%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임.
- 중국 영유아 조제분유 소매판매액은 2012년 637억 위안에서 2016년 844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연간 복합증가율은 7.3%에 달함.
- 도시화 수준의 확대, 소득수준의 제고 등 요인으로 영유아 조제분유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
- 중국은 전 세계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며 영유아 조제분유시장의 성장이 가장 빠른 나라임.
ㅇ 기타 영유아 식품
- 소득수준과 상승과 함께 부모세대의 교육수준 제고에 따라 기타 영유아 식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음.
- 최근 5년간 관련 시장규모는 매년 평균 15%의 증가속도를 보이며 2배 이상 증가했고, 2016년 시장규모는 약 113억 위안에 달함.
- 둘째출산 완화정책이 시작됨에 따라 2016~2019년간 추가로 출생하는 신생아 수가 1000만 명 이상으로, 2019년 중국의 영유아 식품시장의 규모는 약 17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
자료원: 母婴咨询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영유아 조제분유 시장) 2017년 시장규모 863억 위안 예상
- 중국 조제분유시장은 2012년부터 빠른 속도로 성장해 2014년 893억 위안에 이른 후 2015년, 2016년에 거쳐 출생률 하락과 중국 소비자의 해외직구 수량증가로 주춤세를 보임.
- 2015년의 둘째출산 완화정책 실시와 소비자의 안전에 대한 관심도 증가로 소매판매액은 2016년 844억 위안에서 2017년에는 863억 위안으로 성장할 전망
자료원: 中商产业研究院
- 중국의 영유아 조제분유 소매판매량은 2012년 37만5000톤에서 2016년의 46만5800톤으로 연 복합증가율이 5.6%에 달함. 2016년부터는 연 복합증가율이 2.2%로 하락세가 예상되며 2017년 예상 판매량은 47만 톤 이상으로 전망
자료원: 中商产业研究院
ㅇ (기타 영유아 식품 기타) 보조간식 시장 꾸준히 확대
- 중국의 영유아 보조 간식시장은 늦게 형성됐으나 최근 빠른 성장세를 보.
- 대표적인 유아용 식품인 영유아 곡물가루의 경우 판매규모는 2006년의 11억 위안에서 2008년 18억7000만 위안에 달한 이후 2013년 39억 위안으로 성장
자료원: 前瞻产业研究院
- 2014년 중국 영유아 보조간식의 소비량은 19만6000톤에서 2015년의 26만6000톤으로 증가
2009~2015년 중국 영유아 보조간식 공급 및 수요 현황
(단위: 만 톤)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생산량 | 3 | 3.7 | 4.5 | 5.6 | 6.1 | 7.3 | 8.7 |
수입량 | 6.24 | 6.63 | 7.83 | 9.15 | 12.27 | 12.31 | 17.99 |
수출량 | 0.02 | 0.02 | 0.03 | 0.04 | 0.04 | 0.03 | 0.08 |
소비량 | 9.2 | 10.3 | 12.3 | 14.7 | 18.3 | 19.6 | 26.6 |
자료원: 中国产业信息
□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조제분유(중국 HS Code 1901101000)
(백만 달러, %)
순위 | 국명 | 2017년 1~5월 | 2016년 | 2015년 | 2014년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 | 총계 | 1,295 | 22.2 | 3,010 | 21.8 | 2,471 | 59.6 | 1,549 | 0 |
1 | 네덜란드 | 401 | 11.6 | 1,023 | 26 | 811 | 93.8 | 419 | 0 |
2 | 아일랜드 | 268 | 23.2 | 563 | 37.9 | 408 | 48 | 276 | 0 |
3 | 뉴질랜드 | 178 | 55.4 | 333 | 70.7 | 195 | 26.8 | 154 | 0 |
4 | 독일 | 139 | 7.7 | 328 | 10.4 | 297 | 407.6 | 59 | 0 |
5 | 프랑스 | 116 | 168.1 | 134 | 1.7 | 132 | -18.9 | 162 | 0 |
6 | 호주 | 55 | 45.4 | 163 | 8.1 | 150 | 186 | 53 | 0 |
7 | 덴마크 | 49 | -0.6 | 145 | 51.5 | 96 | -14.2 | 111 | 0 |
8 | 스위스 | 39 | 111.9 | 69 | 71.7 | 40 | 15.1 | 35 | 0 |
9 | 한국 | 25 | -12.2 | 99 | 13.7 | 87 | 28.8 | 68 | 0 |
10 | 영국 | 8 | -36.4 | 35 | -7.3 | 38 | 159.1 | 14 | 0 |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ㅇ 기타 영유아 식품(중국 HS Code 1901.10.9000)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7년 1~5월 | 2016년 | 2015년 | 2014년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 | 총계 | 27 | 46.9 | 62 | 32.9 | 47 | 173.9 | 17 | 0 |
1 | 미국 | 18 | 92.3 | 62 | 20 | 29 | 203.7 | 10 | 0 |
2 | 독일 | 4 | 61.4 | 35 | 64.6 | 5 | 147.7 | 2 | 0 |
3 | 네덜란드 | 1 | 127.2 | 8 | -12.6 | 1 | 1,939.30 | 0 | 0 |
4 | 대만 | 1 | 68.9 | 1 | -55.9 | 3 | 351.7 | 1 | 0 |
5 | 오스트리아 | 1 | 341.9 | 1 | 156.3 | 0 | 0 | 0 | 0 |
6 | 아일랜드 | 1 | 5.5 | 2 | -10.3 | 3 | 26.4 | 2 | 0 |
7 | 싱가포르 | 1 | 1,337.50 | 1 | 394.9 | - | - | - | - |
8 | 태국 | 0 | 0 | 0 | -100 | - | - | - | - |
9 | 터키 | 0 | 0 | 0 | -100 | 1 | 132.8 | 0 | 0 |
10 | 카자흐스탄 | 0 | 0 | 0 | 0 | - | - | - | - |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ㅇ 조제분유(중국 HS Code 1901101000)
연도 | 금액(천 달러) | 증감률(%) | 물량(kg) | 증가율(%) |
2017년(5월까지) | 24,713 | -12.2 | 2,082,000 | -8.7 |
2016년 | 99,215 | 13.7 | 8,346,655 | 14.4 |
2015년 | 87,266 | 28.8 | 7,298,845 | 26.1 |
2014년 | 67,737 | 0 | 5,786,464 | 0 |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ㅇ 기타 영유아 식품(중국 HS Code 1901.10.9000)
연도 | 금액(천 달러) | 증감률(%) | 물량(kg) | 증가율(%) |
2017년(5월까지) | 8 | -97.3 | 1,706 | -88.4 |
2016년 | 671 | 302 | 39,815 | 84.6 |
2015년 | 167 | 1,563.00 | 21,569 | 1,385.50 |
2014년 | 10 | 0 | 1,452 | 0 |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조제분유: 중국 영유아 조제분유 시장에서 해외브랜드의 비중은 50%를 차지
- 2008년 중국 산루(三鹿)社의 멜라민(三聚氰胺) 사건으로 인해 중국산 조제분유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하락하며 한때 해외브랜드 비중이 60%까지 상승
- 최근 중국산 분유가 다시 신뢰를 되찾아가고 있으며 중국산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50%대로 상승
- 2008년 이전, 중국산 상위 3대 분유 브랜드3의 시장점유율은 40%에 달했지만 현재 최대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15% 불과한 수준
중국시장 주요 조제분유 브랜드 판매 현황(2015년)
구분 | 브랜드 | 판매규모 | 세부 브랜드 | 스타 브랜드 | 1단계* 제품가격 (위안/900g) |
해외 브랜드 | 美赞臣 MeadJohnson | - | 安婴儿(Enfamil), 安婴宝(Enfapro), 安儿宝(Enfagrow) | 安婴儿亲舒 (Enfamil) | 300~400 |
惠氏 Wyeth | 100억 위안 | 金装系列(GOLD), 铂臻系列(Ultima), 启赋(illuma) | 启赋(illuma) | 300~400 | |
雅培 Abbott | - | 雅培亲体系列(Similac), 雅培菁智(Eleva), 雅培亲护(Similac), 雅培小安素(PediaSure) | 雅培菁智(Eleva) | 400~500 | |
美素佳儿 Friso | 5억 위안 | 皇家美素佳儿(FrisoPRESTIGE), 美素佳儿金装(FrisoGOLD) | 美素佳儿金装 (FrisoGOLD) | 200~300 | |
诺优能 | 7억 위안 | 诺优能系列(Nutrilon), 诺优能白金版系列(NutrilonPlatinum) | 诺优能系列 (Nutrilon ) | 150~200 | |
Nutrilon | |||||
중국 브랜드 | 贝因美 beingmate | 42억 8400만 위안 | 爱+系列(LOVE+), 绿爱+系列(LOVE+), 经典优选系列(Classic), 宝贝系列(BABY), 金美系列(GOLD), 爱诺达(NUTRILOVE), 爱+360°益亲体系列(LOVE+) | 爱+系列(LOVE+) | 250~350 |
合生元 BIOSTIME | 33억 5600만 위안 | 呵护系列(GOLDEN CARE), 金装系列(PREMIUM), 超级金装系列(SUPREME), 超级呵护系列(SUPREME CARE) | 金装系列 (PREMIUM) | 250~350 | |
伊利 YILI | 64억 위안 (성인 분유 포함) | 金领冠(PRO-KIDO), 伊利(YILI) | 金领冠 (PRO-KIDO) | 300~300 | |
雅士利 YASHILI | 16억 6800만 위안 | 雅士利超级α-金装(SUPER α-GOLDEN STAGE), 雅士利α金装系列(α- GOLDEN STAGE), 雅士利超级金装(SUPER GOLDEN STAGE), 雅士利金装(GOLDEN STAGE), 雅士利能慧金装(Newwit), 雅士利新配方系列(New), 雅士利安贝慧(Ambery) | 雅士利金装 (GOLDEN STAGE), 雅士利α金装系列 (α- GOLDEN STAGE) | 150~200 |
주*: 0~6개월 신생아용
자료원: 中国产业信息
- 2014년 중국 영유아 분유의 판매경로는 마트 30%, 전문점 42%, 온라인 판매 28%로 나타남.
- 해외브랜드는 온라인 판매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2015년도 해외직구를 통해 구입한 분유는 150억 위안에 달함.
- 중국 분유시장의 규모가 800억 위안으로 해외직구 비중은 15~20%에 달함.
온라인 판매채널 대표 해외브랜드 비중(%)
자료원: 中国产业信息
ㅇ 영유아 보조식품: 영유아 곡물가루 시장은 해외브랜드가 절대비중 차지
- 중국 온라인 시장 내 영유아 곡물가루 상위 10대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58%로 그중 중국 브랜드는 4개가 분포
순위 | 브랜드 로고 | 브랜드 명칭 | 원산지 | 시장점유율(%) |
1 | | 亨氏 (HEINS) | 미국 | 12.83 |
2 | | 嘉宝 (GERBER) | 미국 | 10 |
3 | | 喜宝 (HIPP) | 독일 | 6.53 |
4 | | 方广 (FANGGUANG) | 중국 | 5.46 |
5 | | 和光堂 (WAKODO) | 일본 | 5.34 |
6 | | 美林 (MEILIN) | 이탈리아 | 4.78 |
7 | | EARTH’S BEST | 미국 | 3.77 |
8 | | 伊威 (EASTWES) | 중국 | 3.50 |
9 | | 英吉利 (YINGJILI) | 중국 | 3.28 |
10 | | 英式 (ENGNICE) | 중국 | 3.15 |
자료원: 母婴咨询
주요 해외 영유아 보조간식 브랜드 온라인 판매현황(2015년)
브랜드 | Tmall SKU (단품)(개) | Tmall 월 판매건수 | Tmall 평균 제품가격(위안) | 비고 |
亨氏 HENIZ | 34 | 7,223건 | 114.5 | 2011년 Tmall 점 개설, JD, Suning, YHD에서도 판매중 |
嘉宝 GERBER | 10 | 47,845 | 63 | Tmall, JD, Suning에서도 판매중 |
喜宝 HIPP | 51 | 3,899 | 149.3 | 2012년 Tmall점 개설, YHD, Suning에서도 판매중 |
美林 MEILIN | 61 | 1,512 | 294.6 | Tmall, JD, Suning에서도 판매중 |
Earth’s Best | 36 | 1,108 | 164.5 | Tmall에서만 판매중 |
자료원: 母婴咨询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관세율
- 조제분유, 기타
구분 | 세율(%) |
관세율 | 40 |
최혜국 세율 | 15 |
잠정 세율 | 5 |
증치세율 | 17 |
자료원: 관세법령정보포털
ㅇ 영유아 조제분유 등록제도
- 중국정부는 2016년 10월 1일부터 약품관리방식을 영유아 조제분유 산업에 도입해, 해당 산업의 규범화를 실현하고 저품질 분유를 퇴출시키기 위한 제도를 마련
- 해당 등록제도는 업체당 브랜드 3개, 제품 9개 이내로 등록을 제한하고 있음. 영유아 성장기에 맞춰 0~6개월을 1단계, 6~23개월을 2단계, 12~18개월을 3단계로 구분해 관리
대 중국 식품 수출 통관 절차
절차 | 기간 | 담당기관 | |
통관 전 포장라벨 심의 | 신청 | 10일 | 지정검험검역기관 |
심의 | 30일 | ||
통관신고 | - | 3일 | 통관업무 위탁업체 |
세금납부 | - | - | 각 지역 세관 |
검역심사 | 라벨 | 10일 | 출입결 검험검역국 식품안전감관처 |
샘플 | 10~15일 | ||
위생허가증 | 3일 | ||
라벨합격증 | |||
통관허가 | - | - | - |
자료원: KOTRA 중국 화장품, 식품 수출 핸드북
ㅇ 포장라벨
- 2011년 4월에 발표한 '수입 포장식품 라벨관리 시스템 운영에 관한 공고'에 따르면, 수입되는 모든 포장식품은 중국어 라벨을 부착해야 함.
- 라벨에는 운산지와 중국 내 대리상 명칭, 주소, 연락처 등을 기재해야 하며 중문라벨은 보통 수입대행사를 통해 신청함.
□ 전망 및 시사점
ㅇ 소득수준의 제고와 부모세대의 학력수준 향상으로 외국산 영유아 식품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
-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1선 도시를 중심으로 수입제품 시장이 보편적으로 형성돼 있으며 2·3선 도시 지역으로 확산 중
ㅇ 선전은 중국 내 소득수준이 가장 높고 젊은 도시로 영유아 제품의 테스트 마켓으로 활용 가능
- 시민의 평균 연령은 33세로 고소득 타깃 소비층이 집중돼 있어 영유아 제품 진출에 유리한 시장
- 특히 홍콩과 인접하고 있어 외국산 제품에 대한 수용도가 높아 수입제품의 시장잠재력이 매우 높게 형성
자료원: 中商产业研究院, 母婴咨询, kita 무역통계, KOTRA 중국 화장품·식품 수출 핸드북, KOTRA 선전 무역관 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 타이어시장, 안정화로 추가 수요 전망 (0) | 2017.08.03 |
---|---|
2017 인도네시아 물 산업 비즈니스 현장 (0) | 2017.08.03 |
멕시코 2017년 경제동향 및 전망 (0) | 2017.08.03 |
[스페셜현장리포트] 바이오산업 2편: Bio International 2017에서 드러난 글로벌 트렌드 (1) (0) | 2017.08.03 |
일본, 63조 엔 규모 5G 기반 서비스시장 개척에 나서 (0) | 2017.08.02 |
- 화장품
- 호주
- 이란
- 네델란드
- 독일
- 올림픽
- 이스라엘
- 터키
- 싱가포르
- 필리핀
- 자동차
- 일본
- 캐나다
- 리우올림픽
- 영국
- 태국
- 남아공
- 멕시코
- 베트남
- 말레이시아
- 프랑스
- 삼성전자
- 칠레
- 전시회
- 콜롬비아
- 인도네시아
- 인도
- 브렉시트
- 이집트
- 리우
- 미얀마
- 미국
- 스페인
- 코로나
- 홍콩
- 삼성
- 러시아
- 중국
- 에콰도르
- 브라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