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자동차 구매제한 도시의 판매량 전국의 40% 이상 차지 -

- 중국 정부의 시장정비, 정책동향을 예의주시해야 -

 

 

 

규모: 세계 최대 규모

 

  ㅇ 전 세계 50%의 신에너지승용차 판매가 중국시장에서 이뤄지고 있음.

    - 2018년 상반기 중국 신에너지승용차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112% 증가한 35만9000대로 집계됨.

    - 이는 전 세계 신에너지승용차 판매량의 50%에 해당

     * 중국/전 세계 신에너지승용차 판매 비중: ('16) 45%→('17) 47%→('18Q2) 50%

    - 중국의 신에너지승용차 판매량은 한국, 일본, 기타 아세아 국가의 합계의 3배 이상이며 미국의 3배에 가까운 규모임.

 

세계 신에너지승용차 판매량

(단위: 만 대)

연번

지역

2016

2017

20181~6

1

중국

34.3

57.6

35.9

2

일본

4.1

14

7.4

3

한국

0.6

1.4

1.3

4

기타 아세아 국가

0.1

0.7

0.3

5

독일

2.5

4.9

3

6

영국

3.3

4.8

2.8

7

프랑스

3.3

4.1

2.6

8

노르웨이

4.3

5.7

1.5

9

기타 유럽 국가

6.6

7.5

4.5

10

미국

16.1

19.8

11.5

11

기타 북미 국가

0.9

1.3

0.9

자료원: 제일전동망(第一電動)

 

배경: 자동차 구매 제한 정책의 반사이익

 

  ㅇ 전문가들은 중국 신에너지승용차 시장의 급성장은 보조금, 전통차에 대한 구매제한, 충전시설 구축 가속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나 그중에서도 전통차를 대상으로 한 구매제한 정책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고 있음.

 

  ㅇ 중국은 교통체증 해소를 위해 신에너지자동차에만 예외를 두는 자동차 구매 정책을 시행했는데 이는 신에너지승용차 판매량 급증을 추진했다는 분석

    - 지난 2년 간 구매제한도시의 신에너지승용차 판매량 합계가 중국 전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 상회

 

구매제한도시의 신에너지 승용차 판매 비중

 

자료원: 선완훙위안 증권

 

  ㅇ 20189월 현재, 자동차 구매제한정책을 실시하는 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1선 도시를 비롯한 총 8

    - 주로 자동차 번호판 발급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추진해옴.

 

도시별 자동차 구매제한 주요 내용

연번

도시

시행

연도

번호판

취득방식

주요 내용

1

상하이

(上海)

'94

경매

- 자동차 번호판 경매제도

- 매월 신규 번호판 발급량 1만 개로 제한

2

베이징

(北京)

'111

추첨

- '11~2013년 매월 신규 자동차 2만대 이하로 제한, 그 중 88%는 개인용 차량에 배정

- '14~'17년 매년 신규 자동차 15만 대 이하, 5년 간 60만 대로 제한, 그중 17만대는 신에너지 자동차에 배정

3

구이양

(貴陽)

'117

추첨

- 번호판 유형을 소형차, 일반차로 구분해 관리

- 소형차의 번호판 발급은 추첨제로 매월 2천개로 제한

- 일반차량으로 등록된 번호판은 발급수량은 제한 없음.

4

광저우

(廣州)

'127

추첨 및

경매

- 연간 신규 자동차 증가량을 12만대로 제한

- 그 중 7.2만대(에너지 절약형 자동차 1.2만대, 일반 자동차 6만대)는 추첨제로 번호판을 발급하고 나머지 4.8만대는 경매로 발급

- 개인용 자동차 비중은 88%로 규정

5

스쟈좡

(石家莊)

'136

추첨

- '13~'14년까지 연간 신규자동차 증가량을 10만 대로 제한해오다가 '15년부터는 연간 증가량을 9만대(매월 7500만대)설정해 제한폭을 강화

6

톈진

(天津)

'1312

추첨

- '11~'13년까지 매월 신규 자동차 증가수를 2만 대로 제한해왔으며 그 중 88%는 개인용 차량에 배정

- '14년부터 연간 신규 자동차 증가량을 10만 대로 제한

- 그 중 6만대(에너지 절약형 자동차 1만대, 일반 자동차 5만대)추첨제로 번호판을 발급하고 나머지 4만대는 경매

7

항저우

(杭州)

'143

추첨, 경매

- '1445천개, 58천개, 이후부터는 매월 1만개로 번호판 발급 제한

8

선전

()

'151

추첨

- 신규로 등록되는 10만 개 차량 번호판 중 8만 개는 일반 소형 자동차에, 2만 대는 전기자동차에 각각 배정

자료원: 각 정부 발표 의거 KOTRA 베이징 무역관 재구성

 

  ㅇ 경매나 추첨을 통해 어렵게 회득하는 전통 승용차와 달리, 신에너지승용차는 번호판 발급량을 제한하지 않거나 당첨율이 높은 편임.

    - 이외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차량 2부제, 5부제 실시기간 내 신에너지자동차는 제한하지 않은 등 다양한 정책적 혜택을 부여함.

 

신에너지자동차 번호판 정책적 혜택

연번

도시

신에너지자동차 번호판 정책

정책 혜택 차종

1

베이징

별도 추첨

순수 전기차에 限함

2

상하이

무료 발급(경매 시 8만 위안)

순수 전기차와 일부 PHEV

3

톈진

무료 발급

순수 전기차 및 PHEV

4

광저우

추첨, 당첨율 높음

5

선전

무료 발급

6

항저우

무료 발급

7

구이양

무료 발급

8

스쟈좡

무료 발급/1인당 자동차 보유 제한에 미포함

자료원: 각 정부 발표자료 의거 KOTRA 베이징무역관 재구성

 

시장동향: 3대 세력 각축전, 현재는 로컬계 시장 장악

 

  ㅇ 전통차 시장을 기반으로 중국 신에너지승용차시장에 스타트업 기업들이 “신흥세력”으로 가세하며 시장경쟁이 날로 치열해짐.

    - 중국 정부는 자동차 제조업에 대해 외자지분 규제를 최근에야 완화했으므로 중국엔 아직 외자독자 자동차(전기차 포함) 제조업체가 없음.

     * 테슬라는 올 7월 상하이에 독자 전기차 공장 설립을 선언했으나 아직 기획·건설단계

    - 따라서 기존 전통차 시장은 합자 공장이나 수입 업무를 위한 외자기업과 로컬 기업 등 세력이 존재했음.

    - 최근 신에너지승용차시장에 스타트업 기업들이 급부상하면서 신흥세력으로 자리매김.

     * 웨라이(), 샤오펑(), 웨이마() 등이 대표 기업임.

 

중국 신에너지승용차시장의 3대 세력

 

자료원: 선완훙위안 증권

 

  ㅇ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신에너지승용차 시장은 주로 로컬업체가 장악

    - 순수 전기 승용차 분야에서 베이치, 지리, 창안/장링, BYD, 중타이 등 5대 로컬 브랜드가 절반 이상(51.4%) 비중 차지('17년 기준)

     * 시장점유율: 베이치 16.8%, 지리 12.4%, 창안/장링 9.2%, BYD 7.3%, 중타이 5.8%

    - PHEV 분야에서 시장점유율 상위 3대 브랜드 모두 로컬계, 점유율 합계는 83.3%에 달함.

 

2017년 중국 신에너지승용차 시장동향

 

자료원: 중국자동차공업협회

 

  ㅇ 로컬계와 수입산 신에너지승용차의 기술수준을 비교해 보면 격차가 줄어들고 있으며 가격 면에서는 로컬계가 경쟁력 있다는 분석(선완훙위안 증권)

    1) (배터리) 삼원계 배터리가 상대적으로 우수하므로 로컬계도 대부분 삼원리튬배터리 장착

    2) (에너지 밀도) 테슬라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나 타 브랜드와는 큰 차이가 없음.

     * 반면, 테슬라는 충전시간이 오래 걸림.

    3) (주행거리) 베이치 신에너지를 제외한 로컬계는 300~400㎞ 수준에 도달하는 반면, 테슬라, 재규어 등 수입산은 500㎞ 이상임.

    4) (가격) 테슬라의 1/4 수준인 로컬계가 월등한 가격경쟁력 보유

 

로컬계와 수입산 신에너지승용차 비교

기업

베이치

신에너지

BYD

상하이

자동차

지리

(吉利)

BMW

(수입)

테슬라

(수입)

재규어

(수입)

차종

EC200

()

EV450

룽웨이

()

ERX5

띠하오

(帝豪)

EV450

i3

MODEL

X

I-PACE

EV400

배터리

삼원 리튬

삼원 리튬

삼원 리튬

삼원 리튬

삼원 리튬

NCA 삼원

삼원 리튬

배터리

공급업체

궈쉬안가오커

(国轩高科)

BYD

CATL

CATL

삼성SDI

파나소닉

LG화학

유형

순수 전기차

배터리 용량KWh)

20.5

60.48

48.3

52

33

100

81

주행거리 ()

162

480

320

400

271

565

500

충전시간(h)

8

1.5

7

9

3.8

10.5

11.4

쾌속충정

(80%, min)

36

-

40

30

-

2700

90

에너지밀도(Wh/kg)

121

140.67

135.3

142.1

120

250

146.8

가격(만 위안)

5.7~6.3

24.1~26.1

27.2~29.7

22.8~23.8

34.98

110.67

71.8

자료원: 선완훙위안 증권

 

전망

 

  ㅇ 크레딧 제도 실시 임박에 따른 전통차 제조업체의 협업 강화

    - 내년 11일부터 시행될 크레딧(=더블마일리지 포인트, 雙積分) 제도는 중국 전통차 업체들이 신에너지자동차 생산 확대 또는 신에너지자동차 생산업체와의 제휴 가속화를 재촉하고 있음.

     * 크레딧 제도란 자동차 업체의 신에너지자동차 생산 의무화를 의미하는데 내년부터 중국 내 자동차 업체들은 신에너지자동차 생산 비중이 10%, 2020년엔 최소 12%에 달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신에너지 포인트를 타 기업으로부터 구매해야 함.

 

최근 1년 간 외자자동차기업의 신에너지자동차 분야 제휴

연번

외자계

로컬계

제휴/협업 모델

1

다임러 AG

베이치

- 신에너지판 Smart 중국 내 생산에 대해 협상('18.8)

2

BMW

창청(長城)

- 합자법인 광수(光束)자동차 설립, 산캐파 연간 16만 대로 계획('18.7)

3

폭스바겐

장화이(江淮)

- 합자법인 장화이·폭스바겐 설립('17.12), 9월 첫 신에너지차 SOL 출시 예정

4

포드

ZOTYE(衆泰)

- 합자법인 설립('17.11)

5

르노-닛산

둥펑(東風)

- 합자법인 설립('17.8)

자료원: 현지 언론보도 의거 KOTRA 베이징무역관 정리

 

  ㅇ 보조금 삭감 기조로 인해 품질 강화 필요성 대두

    - 중국은 2020년까지만 신에너지자동차 보조금을 지급하며 단계적으로 인하한다는 방침

    - 2월 발표한 보조금 정책에 따르면 주행거리가 짧은 신에너지자동차는 보조금을 대폭 삭감

    - 이러한 정책 기조에 따라 자동차 제조업체의 주행거리 연장, 배터리 업체의 기술수준 향상이 더욱 시급해짐.

 

2018년 신에너지자동차 보조금액 및 변동 상황

(단위: 만 위안)

 

: 과도기는 신 보조금 정책 발표일 213일부터 612(발효일)까지임.

자료원: 창청(長城)증권연구소

 

  ㅇ 전통차 기업의 신에너지차 생산 확대 및 이에 따른 경쟁 과열화

    - 지난해 12월 베이치(北汽) 그룹은 “2025년엔 중국 내 전통차 생산 및 판매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발표

    - 8월 토요타도 “2030년까지 신에너지차의 비중을 절반까지 확대하겠다”고 선언

 

시사점

 

  ㅇ 중국 정부의 자격미달 기업 난입을 막기 위한 시장정비도 진행되고 있으므로 관련 정책 모니터링 필요

    - 지난 94,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1년간 신에너지자동차 생산·판매 실적이 없는 30개 사의 “신에너지자동차 생산자격” 정지 잠정안 공고

     * 화천(華晨), 광치 혼다(廣汽本田), 창안 스즈키(長安鈴木) 등 대표 로컬·합자 자동차 업체도 포함

    - 이는 최근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신에너지자동차 시장에 자격미달의 생산자가 난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로 풀이됨.

 

  ㅇ 신에너지자동차분야의 한중 협력 모색 필요

    - 정부의 정책 변화로 중국 자동차 업계도 대외 협력 강화가 절실함.

     * 베이징 신에너지 자동차의 위안청인(原成寅) 부총재는 환경보호, 신에너지 자동차육성 등 정책기조에 따라 중국 자동차산업은 향후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에 주력해야 하는데 대폭 축소된 보조금 등 정책으로 중국 업체들은 기술력이 막강한 글로벌 전기차 업체들과 경쟁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밝힘.(KOTRA 베이징무역관 인터뷰)

    - 또한 중국 정부의 자동차 관련 정책을 집중 모니터링해 관련 분야 핵심 기술개발 및 투자, 다양한 사양의 부품 연구·개발(R&D) 등이 필요함.

 

 

자료원: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선완훙위안(申萬宏源) 증권연구소, 창청(長城)증권연구소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종합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경제 무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