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중국 내 캐릭터·라이선스 산업 가운데 캐릭터 식품 산업은 발전 가능성이 높은 블루오션 -

- 토종 캐릭터에 비해 해외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 높아 -

- 중국 캐릭터 식품 시장 진출시 캐릭터 저작권과 식품 안전성을 주의깊게 검토해야 -

 

 

 

□ 품목 개요

 

 

자료원: 소후(搜狐)

 

품목명

캐릭터 식품

HS CODE

1704.90 (설탕과자류)

관세율

기본 관세율

8%

한·중 FTA 협정세율

4.8%

인증제도

AQSIQ 전산등록과 중문라벨(스티커, 인쇄 모두 가능) 제작

 

  중국의 캐릭터 식품업은 식품 제조업에 속하며, 주로 제과, 유탕류  일반가공 식품의 개발과 디자인, 생산  판촉 등을 진행함.

    - 캐릭터 식품산업은 캐릭터 IP 기업이 자체 제작 캐릭터를 확대 보급하기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됨.

    - 캐릭터 식품을 포함한 파생 상품 생산은 IP 기업이 자체 제작 캐릭터의 원가를 회수하는 주요 경로임.

    - 캐릭터 산업의 수익률 중 70% 이상이 캐릭터 파생상품 개발과 영업에서 나타남.

 

  캐릭터 식품은 일반가공 식품류로 초콜릿 포함 여부에 따라 HS CODE가 달라지며, 설탕 과자 제품군의 경우 중국 통관 시 FTA 협정세율에 따라 4.8%의 세율이 적용됨.

    - 일반가공 식품(라면, 빵, 과자, 아이스크림, 음료수 등)일 경우 CFDA 인허가가 필요 없음.

    - 일반적으로 AQSIQ 전산등록과 중문라벨(스티커, 인쇄 모두 가능)를 제작하여 부착하면 .

    - 보건 식품 여부 혹은 식품의 원자재 함유량에 따라 CFDA 인증 필요 여부가 결정됨.

 

□ 중국 캐릭터 식품 시장 동향

 

  ○ 중국의 캐릭터 식품업은 캐릭터 산업의 주요 영역은 아니지만, 성장 잠재력이 큰 블루오션임.

    - 국제특허산업협회(LIMA)가 발표한 2017 전세계 특허업 조사 보고서(Global Licensing Survey 2017) 따르면 중국의 식품·음료 제품 라이선스 시장규모는 2016년 3억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4.8%의 증가율을 보이며 큰 폭으로 성장함.

    - 중국의 대표적인 캐릭터 식품회사 진티엔동만(金添动漫) 2016년 영업이익은 1억 9100위안, 순이익은 730만 위안에 달함.

 

  ○ 중국의 캐릭터 식품업에 대한 정확한 시장규모는 파악되지 않으나 캐릭터·라이선스 시장규모를 통해 식품을 포함한 캐릭터 상품의 시장규모를 유추할 수 있음.

    - 2016년 중국 캐릭터·라이선스 시장규모는 80억 7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1% 성장하여 세계 캐릭터·라이선스 산업 평균 성장률인 4.4%를 넘어서며 세계 5위 시장을 형성함.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가 발표한 <2017년 해외 콘텐츠 시장 동향>에 따르면 향후 중국 캐릭터·라이선스 시장은 2021년까지 연평균 8.3%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120억 3800만 달러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2013-2018 중국의 캐릭터·라이선스 시장규모

(단위: 백만불)

 

자료원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 중국 내 9억 명이 이용하는 메신저 위챗(WECHAT)에서 사용하는 이모티콘의 경우, 남녀노소 선호도가 높아 이와 관련된 캐릭터 식품 개발이 유망함.

    - 중국의 유망 IP 기업 스얼둥원화(十二文化)의 인기 캐릭터 장차오옌퇀쯔(長草顏糰子)시리즈는 위챗 이모티콘 상점에서 9억 다운로드를 기록함.

    - 스얼둥원화는 알리바바(阿里巴巴), 완다그룹(萬達集團) 등 전자상거래 기업부터, 유제품과 식품, 금융, 보석업계 등의 다양한 브랜드와 협력을 진행함.

    - 스월둥원화는 자체 캐릭터 정품 제품을 접할 수 있는 인형 뽑기 오락장 LLJ자지잔(夾機占)을 개점하여 연평균 하루 이용객이 6000명에 달함.

    - 과이챠오바오바오(乘巧宝宝)는 2017년 1억5000회 다운로드를 기록하였고, 이모티콘 전송량이 50억 회에 달함.

    - 또한, 개인 창작자의 작품이 인기를 얻기도 하여 관련 저작권 획득 및 제품 개발이 용이함.


중국 메신저 위챗(WECHAT) 주요 이모티콘 캐릭터

캐릭터명

장차오옌퇀즈

(长草颜团子)

과이챠오바오바오

(乘巧宝宝)

미타오마오

(蜜桃猫)

이미지

 

자료원: 위챗(WECHAT), KOTRA 난징무역관 정리

 

  ○ 캐릭터 식품의 주요 품목인 설탕 과자류에 대해 중국은 수출금액이 수입금액보다 많음.

    - 중국의 한국산 설탕 과자 수입 금액은 2016년 6위를 기록했지만, 2017년에는 8위를 기록하며 하락추세임.

    - 특히, 2014년 이후 중국의 대한 설탕 과자 수입 금액이 지속해서 하락하는 추세임.

    - 중국의 캐릭터·라이선스 시장 규모 성장률을 기반으로 유추하면, 캐릭터와 식품의 합작 제품이 한국 식품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됨.

 

2017년 중국 설탕과자 수입금액 상위 10개국

(단위: 천불, %)

순위

국가명

2017년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총계

186,941

3.7

781,656

3.4

1

태국

26,377

8.0

25,903

12.9

2

말레이시아

23,940

2.6

24,658

-40.8

3

대만

17,757

-9.1

1,362

18.5

4

일본

13,717

37.5

5,328

13.7

5

미국

12,318

-4.4

132,038

1.0

6

독일

12,009

-5.6

5,682

5.3

7

벨기에

9,219

40.3

2,358

32.4

8

한국

7,976

-36.0

31,853

75.6

9

호주

7,975

79.1

41,287

-3.4

10

홍콩

6,554

-17.2

21,428

-3.2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KITA)

 

2013-2017 중국의 대한 설탕과자 수입금액

(단위: 천불)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 중국은 토종 캐릭터보다 해외 캐릭터의 인지도가 높아 다양한 해외 캐릭터 식품이 중국 시장에 진출함.

    - 한국 캐릭터 '뽀로로'의 음료 제품은 TMALL(天猫) 수입 아동 식품 음료 카테고리 1위를 기록함.

    - 한중미 합작 캐릭터 '슈퍼 윙스'는 타오바오 완구류 1위를 기록하였고 2017년 중국 닝보에서 개최된 중국 과자 식품박람회에 참가하며 파생 상품 품목이 다양해지고 있음.

    - 한중 콘텐츠연구소에 따르면 한국 토종 캐릭터 라바, 넛잡 등의 중국 시장 진출이 활발함.

    - 기타 해외 브랜드로는 영국의 아동만화 페퍼피그(PEPPA PIG)가 중국에서 2015년 처음 방영된 이후 300억 건 이상이 재생되며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파생상품을 시장에 유통하고 있음.

    - 진티앤동만(金添动漫) 디즈니, 울트라맨, 마루코, 도라에몽 등 수많은 외국 브랜드의 중국 시장권을 확보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해외 캐릭터 주요 브랜드

브랜드명

이미지

캐릭터 식품 사진

뽀로로

 

 

슈퍼윙스

 

 

페파피그

(PEPPA PIG)

 

 

자료원: TMALL(天猫), KOTRA 난징무역관 정리

 

  ○ 현재 중국은 캐릭터 식품만 취급하는 기업들은 많지 않지만, 캐릭터 파생 상품업계 혹은 식품업계와 캐릭터 IP 기업 관련 업체들은 많음.

    - 주로 아동 식품에 집중하며, 애니메이션이나 캐릭터를 바탕으로 식품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킴.

    - 진티엔동만(金添动漫)에 경우 상하이진티엔(上海金添)과 상하이 식품회사를 설립해 캐릭터 제작과 식품 제조, 유통까지 전부 관리함.

    - 중국은 아직 토종 캐릭터보다 해외 캐릭터의 입지가 견고한 편으로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브랜드가 시장에 진출한다면 향후 성장이 기대됨.

 

중국 캐릭터식품 품목 주요 브랜드

브랜드명

브랜드 로고

제품 사진

진티엔동만

(金添动漫)

 

 

웨이누오관

(唯诺冠)

 

 

빈치식품

(滨崎食品)

 

 

자료원: 요우시일보(游戏日报), KOTRA 난징무역관 정리

 

  ○ 한국 캐릭터 제품 바이어 인터뷰

 

Q1. 최근 중국 소비자의 한국 캐릭터 식품 혹은 기타 상품에 대한 관심도는 어떠한가?

A1. 뽀로로, 코코몽 등 한국 캐릭터들이 이미 중국 소비자에게 여러 유통 경로로 유명해진 상품은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정도로 시장은 좋으나, 기타 캐릭터는 아직 시장에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지 않다고 보아 만화영화 등 TV 및 인터넷을 통한 광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Q2. 그렇다면 중국 소비자의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는 어떠한가?

A2. 중국 소비자의 한국 식품에 대한 생각은 일반적으로 품질이 중국상품보다는 좋다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나 중국 소비자의 성향상 정치적인 문제에 민감하기에 추후 남북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방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인다.

 

Q3. 한국 식품을 왜 유통하기로 결정했나?

A3. 중국 소비자의 소득이 증대함에 따라 안전한 먹거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수입상품 관련해서 한국과의 지리적인 접근성에 따라 한국상품이 가격 경쟁력 및 보관, 관리가 쉽다고 생각하여 진행했다.

자료원: 난징 한국 식품유통점 청은 마트 관계자 KOTRA 난징무역관 인터뷰

 

중국의 캐릭터 식품 유통구조

 

  ○ 상위업계

    - 식품의 각종 원자재 제작업체와 기술 설비업체를 포함하며 캐릭터를 직접 구상하거나 이미지 상업권을 보유하고 이를 공급함.

    - 시장 트렌드, 고객 니즈를 유도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자체 제작 캐릭터를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장 디자인, 식품 디자인, 마케팅 설계 등을 진행함.

 

  ○ 식품업계

    - 캐릭터 IP 기업이 필수적인 원자재나 포장재 등을 외주 방식으로 제작하고자 캐릭터 이미지 사용권을 국내  캐릭터 식품 업체 또는 대리상에 제공함.

    - 혹은 식품업계가 캐릭터 IP 기업으로부터 캐릭터의 이미지 권리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개발비용을 제공하고, 캐릭터 식품 혹은 상품을 제조함.

 

  ○ 하위업계

    - 하위업계는 캐릭터 식품을 중개방식으로 판매, 유통함으로써 캐릭터 식품산업 수익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온 오프라인 쇼핑몰, 시장 등을 통해 전국 각지에 제품을 판매하며 판매 대리상의 역할을 .

    - 시장과 중개상의 수요를 결합하여 전국 또는 지역적인 마케팅을 실시하며 직접적인 판매 이윤을 창출함.

 

캐릭터 식품 유통구조

 

자료원 : 진티엔동만(金添动漫)

 

□ 전망 및 시사점


  ○ 중국의 캐릭터 식품산업은 캐릭터·라이선스 산업 내 주요 영역은 아니지만, 잠재적 발전 가능성이 크며 한국 캐릭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 향후 유망할 것으로 조망됨.

    - 특히 아동 식품 분야 중 한국 캐릭터 식품과 파생상품이 중국에 진출하여 성공한 사례가 존재함.

    - 한국의 대표적 IP 기업 라인(LINE)의 라인 프렌즈는 중국 내에만 12개의 오프라인 스토어를 개장했으며, TMALL(天猫) 글로벌 스토어를 오픈하여 다양한 캐릭터 파생상품을 판매하고 있음.

    - 또한, 뽀로로는 중국 거대 가구업체 중 하나인 쥐란즈지아(居然之家) 합작하여 베이징, 광저우 등 3개 도시에 뽀로로 테마파크를 설립하는 등 캐릭터 오프라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중국에 진출한 한국 캐릭터 식품의 입지가 우수한 편이며 시장이 발전하고 있는 만큼 성장 폭이 넓은 블루오션이라는 장점이 있음.

    - 유통과정도 비교적 명확한 편으로 새롭게 개척할 필요없이 일반 식품업계의 유통 과정을 바탕으로 하며, 특히 전자상거래를 다양하게 이용한다면 시장 내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음.

 

  ○ 중국 내 캐릭터 식품 산업에서는 식품 품질 안전과 저작권 관련 문제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

    - 중국의 식품 기준은 유럽인증을 바탕으로 자국 산업에 맞게 업그레이드했으며, 오히려 유럽보다 더 까다로운 기준도 있음.

    -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과자의 경우 중국의 일반 세균수 기준은 1g당 750마리 이하인 반면, 한국은 1g당 7000마리 이하로, 중국이 한국의 기준보다 무려 10배 가까이 까다로움.

    - 특히 캐릭터 식품의 주력 분야인 아동 식품에 대한 식품인증제도에 주의해야함.

    - 중국은 저작권 관련 법규가 아직 체계적이지 않은 편으로 IP 보호 방법에 대해 주의할 필요가 있음.

    - 중국과의 공동 애니메이션 제작이나 합작 캐릭터 개발 등이 저작권 보호 신시장 개척의 열쇠일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중상상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산업정보(中国产业信息),한국무역협회(KITA),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위챗(WECHAT), 요우시일보(游戏日报) , 진티엔동만(金添动漫),TMALL(天猫), 국제특허산업협회(LIMA), 난징무역관 인터뷰

 작성자:  KOTRA 난징무역관 최수지



자료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경제 무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