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럭셔리 관광, 의료관광 등 제안 –
- 럭셔리 제품, 웨딩 및 꽃장식 관련 사업 등 진출 고려 -
- SNS 활동이 일상화돼 있는 점은 태국 하이소도 동일 –
□ 태국 하이소(High-So)의 정의 및 특징
ㅇ '하이소(High society의 준말)'의 사전적인 정의는 돈이 많고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있으며, 패션감각이 뛰어난 사람들임(캠브리지 영어사전).
- 전통적으로 태국에서는 성(姓)이 곧 집안을 나타내고, 집안은 곧 사회적 지위를 나타냄. 태국에는 여전히 로열 패밀리가 존재하므로 그 일원은 모두 하이소로 정의 가능
- 뿐만 아니라 CP 그룹의 Chearavanon가, Redbull의 Yuwittaya가, Central 그룹의 Chirathivat가 등 오래된 부와 명성을 가진 집안, 혹은 정치계와 연관성 있는 집안, 중국계 이민자 부호 등도 하이소에 해당
ㅇ 현대에는 부와 명성이 있는 집안의 일원 이외에도 최근 큰 부를 축적했거나, 셀럽(Celebrity)들 또한 하이소 범주에 포함
- 이들의 특징은 외모를 출중하게 가꾸며, 같은 지위에 있는 다른 하이소들과 어울리며 파티를 즐기고, 보여지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함.
- 해외 명품 브랜드(의류, 가방, 파인 주얼리, 수입자동차, 시계 등)를 즐겨 착용하며 재력을 과시
-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 또한 하이소로 인정함. 이들 중 국제학교 또는 해외 기숙학교 출신들이 많으며, 대다수가 태국어 및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
□ 태국 고소득 인구 및 가계 분포
ㅇ 2016년 기준 태국의 연봉 15만 달러 이상 인구는 8만8900명으로 총 인구(6815만 명, UN기준)의 0.12%를 차지함. 2012년 8만2500명에 비해 6.2% 상승
- 연령대별로는 30~34세가 19.5%로 가장 많으며, 35~39세 19.3%, 40~44세 16.8%의 순임.
2016년 기준 연봉 15만 달러 이상 인구 수 연령별 비교
(단위: 천 명)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2016년 기준 태국의 가처분 소득 7만5000달러 이상 가계수는 전체 가계수의 3.4% 로 총 76만 명임. 2012년 71만8000명 대비 5.9% 상승
태국 가처분 소득 7만5000 달러 이상 가계 수
(단위: 천 명, %)
가처분 소득 | 2012년 | 2016년 | 증감률 |
7만5000달러 이상 | 212.3 | 225.0 | 6.0 |
10만 달러 이상 | 149.4 | 158.2 | 6.0 |
12만5000 달러 이상 | 113.7 | 120.4 | 5.4 |
15만 달러 이상 | 91.0 | 96.3 | 5.8 |
20만 달러 이상 | 64.0 | 67.8 | 5.9 |
25만 달러 이상 | 48.7 | 51.6 | 6.0 |
30만 달러 이상 | 39.0 | 41.3 | 6.0 |
7만5000달러 이상 합계 | 718.1 | 760.6 | 5.9 |
총 가계 수 | 21,301.9 | 22,869.6 | 7.4 |
자료원: 유로 모니터
□ 하이소 라이프스타일 및 럭셔리 제품 분석
ㅇ 하이소들은 대부분 릴랙스한 라이프 스타일 추구
- Pattayatrader.com에 따르면, 태국 하이소들은 대부분 비즈니스 오너이거나 혹은 기업 고위직 종사자로 집안의 부와 명성을 위해 최선을 다함.
- 이들은 일뿐만 아니라 사회적 교류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 일반적인 모임 이외에도 각종 명품 행사, 패션쇼, 런칭쇼 등에 활발히 참여
- 럭셔리한 레스토랑에서 명품 제품을 뽐내며 같은 일원들과 어울리며 파티를 즐기고, 사진찍기를 좋아하며 그것을 SNS 혹은 미디어를 통해 알림.
- 보여지는 모습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언행과 행동에 신중을 기하는 점도 특징임.
ㅇ (럭셔리 가죽제품) 럭셔리 가죽제품 시장은 2016년 기준 134억 밧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9.8% 상승
-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제품은 여성용 럭셔리 가방이며, 전년대비 11% 성장
- LVMH Moet Hennessy Louis Vuitton 업체가 2015년 기준 시장점유율 25.7%를 차지 하며 선두를 달림.
-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은 루이비통 18.4%, 프라다 11.2%, 구찌 7.1% 보테가 베네타 6.6%, 코치 6.1%, 샤넬 3.6% 등의 순임.
- 럭셔리 가죽제품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 6%대를 유지하며 2021년 179억 밧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태국 럭셔리 가죽제품 판매
(단위: 백만 밧, %)
구분 | 2014 | 2015 | 2016 | 2021f | |
매출액 | 증감률 | ||||
럭셔리 여행 제품 | 514.1 | 558.3 | 591.8 | 6.0 | 694.7 |
럭셔리 가방 | 8,515.9 | 9,480.0 | 10,438.6 | 10.1 | 14,228.7 |
- 남성용 럭셔리 가방 | 3,344.5 | 3,662.2 | 3,980.8 | 8.7 | 5,182.5 |
- 여성용 럭셔리 가방 | 5,171.4 | 5,817.8 | 6,457.8 | 11.0 | 9,046.2 |
럭셔리 스몰 가죽제품 | 1,994.9 | 2,170.5 | 2,370.3 | 9.2 | 3,019.6 |
- 남성용 럭셔리 스몰 가죽제품 | 486.7 | 526.6 | 571.9 | 8.6 | 727.0 |
- 여성용 럭셔리 스몰 가죽제품 | 1,508.2 | 1,643.9 | 1,798.4 | 9.4 | 2,292.6 |
합계 | 11,024.8 | 12,208.8 | 13,400.7 | 9.8 | 17,943.0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international from official statistics, trade associations, trade press,
company research, store checks, trade interviews, trade sources)
ㅇ (럭셔리 주얼리) 2016년 기준 태국의 럭셔리 주얼리 시장은 전년대비 9.6% 상승한 88억 밧 수준
-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제품은 럭셔리 파인 주얼리로 전년대비 10% 상승
- LVMH Moet Hennessy Louis Vuitton 업체가 전체 럭셔리 주얼리 시장의 12%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음.
- 2016년 기준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 시장점유율은 불가리가 9.7%로 1위, 까르띠에 9.6%, 스와로브스키 9.4%, 판도라 6.6%, 샤넬 1.8% 등이 뒤따르고 있음.
- 럭셔리 주얼리 시장은 연평균 6%대의 성장률을 유지하며, 2021년 119억 밧 시장에 달할 것으로 예측
태국 럭셔리 주얼리 매출액
(단위: 백만 밧, %)
구분 | 2014 | 2015 | 2016 | 2021f | |
매출액 | 증감률 | ||||
럭셔리 의류 주얼리 | 1,285.5 | 1,414.1 | 1,541.3 | 9.0 | 2,041.2 |
럭셔리 파인 주얼리 | 5,947.5 | 6,582.1 | 7,218.9 | 9.7 | 9,901.0 |
- 남성용 럭셔리 주얼리 | 1,306.2 | 1,430.3 | 1,551.8 | 8.5 | 1,997.5 |
- 여성용 럭셔리 주얼리 | 4,641.3 | 5,151.9 | 5,667.0 | 10.0 | 7,903.5 |
합계 | 7,233.0 | 7,996.2 | 8,760.2 | 9.6 | 11,942.2 |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럭셔리 타임피스) 럭셔리 타임피스(시계) 시장은 2016년 기준 53억 밧에 달하며, 전년대비 5.6% 상승
- 2016년 남성용 럭셔리 타임피스 시장 성장률은 6%로, 여성용 시장의 성장률인 5%를 상회했으며 여성들도 남성용 사이즈 선호
- 2015년 기준 롤렉스가 시장점유율 43.3%를 차지하며 단연 선두임. 까르띠에 8.2%, 오메가 7.1%, 태그호이어 6.6%, 불가리 4.3%, 에르메스 2.5% 등이 뒤따름.
-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이 점점 더 복잡해짐에 따라, 구매력을 가지고 있고 장인정신에 가치를 두고 있음에도 소비자 신뢰의 부족으로 구매를 늦추거나 쇼핑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
- 럭셔리 타임피스류는 연평균 성장률 4% 수준으로 2021년 예상 매출액은 65억 밧에 달할 것으로 보임.
태국 럭셔리 타임피스 판매
(단위: 백만 밧, %)
구분 | 2014 | 2015 | 2016 | 2021f | |
매출액 | 증감률 | ||||
남성용 럭셔리 타임피스 | 2,863.4 | 3,135.4 | 3,323.5 | 6.0 | 4,169.4 |
여성용 럭셔리 타임피스 | 1,780.6 | 1,892.8 | 1,987.4 | 5.0 | 2,337.7 |
합계 | 4,644.0 | 5,028.2 | 5,310.9 | 5.6 | 6,507.0 |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럭셔리 자동차) 주요 선호 자동차는 Benz와 B.M.W이며 럭셔리 스포츠카 중에서는 Ferrari가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음. 그 뒤를 Lamborghini, Maserati가 잇고 있음.
- 2016년 Benz의 판매량은 2012년 대비 77% 상승했으며, 같은 기간 중 BMW의 판매 상승률은 37.7%임.
- 단, 태국 하이소들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기사가 동반된 차량을 타고 다닐 때에는 밴(Van) 형태를 선호
2012년 vs 2016년 자동차 연간 판매량 비교
(단위: 대, %)
럭셔리 자동차 | 2012년 연간 판매량 | 2016년 연간 판매량 | 2012~2016 증감률 |
Benz | 6,693 | 11,844 | 77.0 |
B.M.W | 5,752 | 7,923 | 37.7 |
Lexus | 765 | 770 | 0.7 |
Land Rover | 69 | 57 | -17.4 |
럭셔리 스포츠카 | 2012년 연간 판매량 | 2016년 연간 판매량 | 2012~2016 증감률 |
Ferrari | 16 | 40 | 150.0 |
Maserati | 5 | 12 | 140.0 |
Lamborghini | 14 | 0 | -100.0 |
자료원: 도요타(Toyota) 타일랜드
□ 얼리어댑터 역할을 하는 하이소(High-So)
ㅇ Verythai.com 에 따르면, 하이소는 트렌드 세터임. 특히 유명인사(셀럽)들은 새로운 유행을 주도하며 얼리어댑터 역할을 함.
- 과거 하이소들의 파티 사진은 한 달에 한번 잡지를 통해 발간됐으나, 최근에는 참여한 파티 사진을 바로 다음 날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Highsoparty.com).
ㅇ (럭셔리 휴대용 전자기기) 럭셔리 휴대용 전자기기 시장은 전년대비 4.2% 상승한 1억600만 밧에 달하며, 2021년에는 1억1300만 밧에 다다를 전망
- 아이폰, 삼성 갤럭시 노트, 화웨이의 라이카 장착 시리즈 등 럭셔리 휴대폰은 하이소에게 가장 중요한 아이템임.
- Vertu가 럭셔리 휴대용 전자기기 제공업체 중 시장점유율 72%로 선두를 차지함. 해당 제품은 핸드메이드이고, 타 브랜드와 상이한 재질을 사용하며 벤틀리(Bentley)와 콜라보를 진행하기도 함.
- 웨어러블 기기는 태국 소비자들에게 아직은 낯설지만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고 운동 관련 활동을 하는 소비자들의 사용에서 점차 인지도를 넓혀감. 태그호이어의 고무 스트랩 출시, 스와로브스키의 액티비티 트래킹 주얼리 출시 등 럭셔리 웨어러블 기기가 태국 시장에 진출 하기 시작
- 소비자들의 구매성향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부티크를 방문해 직접 착용해 보고 만져보기를 원함.
럭셔리 휴대용 전자기기 판매
(단위: 백만 밧, %)
구분 | 2014 | 2015 | 2016 | 2021f | |
매출액 | 증감률 | ||||
럭셔리 휴대폰 | 97.1 | 101.6 | 105.9 | 4.2 | 112.8 |
자료원: 유로모니터
□ 태국 하이소의 성향 및 선호 주거형태
ㅇ (가족 중심적 성향) 하이소는 매우 가족 중심적 성향을 지니고 있으며, 주로 방콕 외곽의 대저택 혹은 방콕 중심지의 럭셔리 콘도를 소유
- 결혼 전 주로 부모님과 함께 살고, 결혼 후에도 가족들과 대저택에서 같이 사는 경우가 많은 등 가족을 매우 중시하며 주말 중 하루는 가족들과 보내는 경향이 있음.
- 대부분 가족사업을 하고, 가족들과의 모임, 가족들에게 인정받는 것을 중요시 여김.
ㅇ (부동산 선호도) 고급 자동차 주차가 가능하며, 최고급 해외 브랜드의 가전제품이 빌트인돼 있는 집 선호
- 태국 하이소들은 방콕 외곽의 럭셔리 하우스 혹은 방콕 도심의 럭셔리 콘도를 소유 하고 있으며, 명품 브랜드의 가구는 필수임.
- 하우스 파티를 주최하고 온라인이나 잡지에 출연해 다른 하이소들에게 준거 기준 설정의 역할을 함.
ㅇ (럭셔리 부동산) 2016년 콘도 평균 분양가는 1㎡당 10만~15만 밧이나, 17개의 콘도가 1㎡당 30만 밧에 분양됨.
- 부동산 조사기관 Colliers International Thailand Research에 따르면, 방콕의 지상철인 BTS 주변 콘도의 분양가는 1㎡당 25만 밧 이상에 거래
- Ritz Carton Residence의 평균 분양가는 1㎡당 35만729밧이며, 가장 저렴한 133㎡(40.2평)의 2베드룸·2배쓰룸이 5000만 밧(16억4500만 원)에 거래됨.
- 대부분의 콘도는 빌트인 가구 및 전자제품이 포함된 가격임. Ritz Carton Residence의 경우 유명 인테리어 회사인 David Collins Studio에서 디자인함.
□ 하이소의 휴양 및 웨딩
ㅇ (휴양) 태국 하이소들은 여행에 큰 제한이 없기 때문에 주로 일본, 유럽 등지로 여행을 자주 다니는 편
- 비즈니스 클래스 이상을 타고 럭셔리한 호텔에 머물기를 좋아하며, 유명하고 화려한 레스토랑에서 식사하며 사진찍기를 좋아함.
- 특히 태국은 사계절 여름이기 때문에 겨울 지역으로의 여행을 선호하는 편이며, 태국에서는 즐길 수 없는 겨울용 의상들을 뽐내며, 일본 및 유럽 각지로 스키여행을 즐김.
ㅇ (웨딩) 하이소의 웨딩은 주로 5성급 이상의 유명 호텔에서 열리며, 파티 형식으로 진행됨.
- 화려한 플라워 장식이 특징이며 사진과 비디오 촬영을 중요시하는 만큼 포토존이 따로 있고, 하객들 또한 화려한 드레스를 입고 참석
- Mandarin Oriental Hotel Wedding Package의 경우, 칵테일 메뉴는 1인당 1300~1700밧 선이며, 뷔페 메뉴는 1인당 2000~2400밧임. 10인 기준 테이블 당 장식 비용 평균 2만 밧 등이 기본 금액으로 인원수에 따라 가격이 다름.
□ 결론 및 시사점
ㅇ 태국은 소득불균형이 큰 나라 3위에 오르는 등 소득 계층의 격차가 큰 나라이며, 구조적으로 부의 대물림이 용이한 나라임.
- 세계적인 투자은행 크레딧 스위스의 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태국 상위 1% 집단이 국가 전체 부의 58.0%를 차지해 세계에서 러시아와 인도 다음으로 소득불균형이 높은 나라 3위를 차지
소득불균형 상위 9개국
자료원: 방콕 포스트(2016년 11월 29일 자)
ㅇ 태국 하이소에게 럭셔리 한국 관광 제안 가능
- 태국인들의 한국 방문은 오랜 기간 전부터 30일간 무비자이나 2013년 7월부터 태국인들의 일본 관광 시 15일간 무비자 체류, 2016년 8월부터 1년간 대만 관광 시 30일간 임시 비자 면제 정책 등이 시행되면서 한국 재방문 유인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
- 한국을 다시 찾고 싶은 나라로 만들 수 있는 계절별 럭셔리 여행(특히 겨울철 럭셔리 스키여행) 제안, 우리나라 항공사의 비즈니스 클래스 + 5성급 호텔 + 핫 플레이스 패키지 제안 등이 가능할 것임.
- 또한 태국 하이소들 역시 사진 찍기와 SNS 활동에 매우 적극적인 만큼 여행 일정에 매우 한국적인 장소 및 사진 찍기 좋은 핫 플레이스 포함은 필수임.
ㅇ 하이소들은 외모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한국으로의 의료 및 성형 관광 장려도 고려 가능
- 태국인들은 피부 관련 안티에이징, 화이트닝, 리프팅에 매우 관심이 많은 만큼 피부관리 분야와 한국의 성형 기술, 다양한 레이저 시술, 쁘띠 시술 등을 알려 성형 관광 제안 가능
- 단, 잠재 환자와의 충분하고 안전한 상담 및 시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태국어 가능 인력 확보 및 전문용어 관련 교육 등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함.
ㅇ 태국 내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가 다대하지만 꾸준히 한국의 의류, 가방, 타임피스 등의 럭셔리 브랜드를 소개할 필요가 있음.
- MCM은 태국에 진출해 Emquartier 백화점을 포함 태국 내 5개의 매장에 진출한 상태임.
- 하이소들을 위한 런칭 파티 및 이벤트를 진행해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일반 소비자들에게까지도 어필이 가능하도록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함.
ㅇ 그 밖에도 다양한 옵션 선택이 가능한 럭셔리 밴 수출 또는 태국의 호텔 웨딩 사업을 고려해 웨딩 드레스·하객용 드레스 및 꽃장식 관련 사업 등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도요타 타일랜드, 방콕포스트, 유로모니터, Colliers International Thailand Research, highsoparty.com, pattayatraders.com, verythai.com 및 KOTRA 방콕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기능성섬유로 세계를 리드한다 (0) | 2017.07.24 |
---|---|
日, 리모델링용 건자재 시장을 잡아라! (0) | 2017.07.24 |
케냐가 동아프리카 할랄시장의 허브로 떠오르다 (0) | 2017.07.21 |
英, 서브스크립션 서비스시장의 확대 (0) | 2017.07.21 |
오만의 물류 인프라 현황 (0) | 2017.07.21 |
- 에콰도르
- 이란
- 홍콩
- 러시아
- 칠레
- 브렉시트
- 삼성전자
- 중국
- 필리핀
- 코로나
- 인도네시아
- 콜롬비아
- 독일
- 자동차
- 브라질
- 미국
- 이스라엘
- 싱가포르
- 호주
- 삼성
- 화장품
- 프랑스
- 올림픽
- 네델란드
- 태국
- 이집트
- 남아공
- 캐나다
- 리우
- 멕시코
- 인도
- 말레이시아
- 베트남
- 전시회
- 리우올림픽
- 영국
- 미얀마
- 일본
- 터키
- 스페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